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내아이
보이
남자아이
소년
아들자식
꼬마
동자
d라이브러리
"
남아
"(으)로 총 2,992건 검색되었습니다.
낙타
과학동아
l
199008
「사막의 배」는 열흘 정도는 물을 마시지 않고도 견딜 수 있다.우리는 영화나 관광사진에서 낙타를 타고 황야를 방랑하는 유목민을 자주 보게 된다. 차가운 북서 ... 늦은 봄부터 서서히 환모(換毛, 털갈이)를 하므로 여름철에는 벌거숭이에 약간의 단모만
남아
있다. 낙타의 수명은 30~40년 ... ...
상처를 찾아라
과학동아
l
199008
어디에 있을까?물론 지워져 버렸을지도 모른다. 6천5백만년이나 지났으니 조그만 자국만
남아
있을 것이라는 짐작뿐이다. 그러나 과학자들은 열심히 그 어떤 자취라도 찾으려 하고 있다. 이유는 간단하다. 그 충돌의 최초의 표시는 전세계에서 발견된 6천5백만년 된 암석의 얇은 층이며 여기엔 희귀한 ... ...
과학고·과기대 가는 길
과학동아
l
199008
해 서울과학고를 수석입학한 박종원군은 "'과학특별반'에 들어가 방과후에 실험실에
남아
과학전문잡지도 보고 실험도 해가면서 탐구정신을 키웠어요. 또 천체망원경을 통해 별자리를 살펴보기도 했어요"라고 자신의 '과학공부비결'을 소개했다.박군처럼 일찍부터 '실험실'과 친하게 지내는 것이 ... ...
세계 최고(最古)의 금속활자본을 파헤친다
과학동아
l
199008
주자소에서는 본격적인 인쇄가 시작됐다. 그로부터 수많은 책들이 인쇄되었다. 지금
남아
있는 1백여종의 갑인자 인쇄본을 보면 그것이 얼마나 훌륭한 것이었는지 금방 알 수 있다. 확언하건대 15세기 전반기의 책들 중에서 세계에서 가장 아름답고 선명한 인쇄물이다. 이것은 사실상 조선식 ... ...
기름을 분해하는 박테리아
과학동아
l
199008
형태로 영양염을 해수에 뿌려도 금세 확산, 유실되어 버림으로 말미암아 오염구역에
남아
있지 않을 것이라는 점, 또 인산염은 해수수중의 다량의 칼슘염과 결합하면 불용화되어 침전된다는 점 등이 난점으로 지적된다. 또한 다량의 질소 인의 첨가에 의한 해역의 부영양화가 식물성플랑크톤의 ... ...
Ⅲ 인슐린과 당뇨병의 알쏭달쏭한 관계
과학동아
l
199007
수상을 전후한 네 사람 사이의 갈등과 연구과정은 과학사에 아주 흥미로운 부분으로
남아
있다. 살 찌게 하는 호르몬벤팅과 베스트는 인슐린이 가져다줄 경제적 부에는 흥미가 없었으나, 미국의 엘라이릴리사, 덴마크의 노르디스크사 등 지금은 세계적인 제약회사가 된 연구소들이 인슐린의 발견과 ... ...
수동식 변속기 대(対) 오토매틱 변속기
과학동아
l
199007
널리 쓰이고 있는 액체식 토크 컨버터다.이 토크 컨버터에도 한가지 골칫거리가
남아
있었다. 액체를 통해 힘을 전달하게 되므로, 아무래도 기계적으로 전달하는 MT보다 힘의 손실이 많았던 것. 쉽게 말해 기름이 더 들었다.그래서 자동차공학자들은 이 숙제를 풀어내기 위해 고심에 고심을 거듭했다 ... ...
손에 쥔 리모콘 안에는…
과학동아
l
199007
이러한 신뢰성 확보의 문제는 가전제품에서보다 산업용 기기에서 더욱 중요한 과제로
남아
있다. 수 톤(ton)의 무게가 나가는 기계를 공장의 천장을 통해 운반하는 컨베이어가 오동작에 의해 기계를 떨어뜨렸을 때 발생되는 상황은 설명하지 않아도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군사용일 경우에는 이보다 ... ...
Ⅱ 생명체의 사령탑─뇌하수체
과학동아
l
199007
이루어져 있는 것은 알아냈으나 정작 아미노산 서열을 결정하는데 필요한 양은
남아
있지 않았다. 그래서 그들은 다시 인공적으로 합성하기로 마음 먹고 조합가능한 여섯개의 TRH를 만들어 보았지만 TRH의 생물학적 특징을 지니게 하는데는 실패했다. 그러나 그들은 결국 C-말단과 N-말단의 모양을 ... ...
동물원 밖에서는 이미 찾기 힘들다
과학동아
l
199007
수컷 한마리와 1916년 12월 부산 낙동강 하류에서 잡힌 암컷 한마리 등 네마리가 지구상에
남아
있는 표본이다. 소련 것은 덴마크의 국립박물관에 있고 우리나라에서 잡힌 암수는 일본 야시다조류연구소에 보관되고 있다. 그후 1971년 3월의 관찰기록과 1964년의 관찰기록은 확증이 없다. 그후 1980년 ... ...
이전
257
258
259
260
261
262
263
264
2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