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마귀
사항
얼룩
닷
포인트
지점
간반
스페셜
"
점
"(으)로 총 3,464건 검색되었습니다.
최기영 장관 "새해 AI 강국의 길 열기 위해 누구나 AI 배우는 환경 만들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31
뿐 올해 첫 연구개발 20조 원 시대를 열었음에도 새로운 과학기술 성과를 제시하지 못한
점
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다음은 최기영 장관의 신년사 전문. 존경하는 국민 여러분! 과학기술·정보통신인 여러분! 2020년 새해가 밝았습니다. 새해에는 모두가 행복하고, 다같이 잘사는 한해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냄새와 페로몬에 대한 우리 뇌의 ‘극단적인 융통성’
2019.12.31
셈이다. 후각망울이 없음에도 냄새를 맡는 데 문제가 없는(심지어 평균(100)보다 테스트
점
수가 높다!) 현상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이에 대해 연구자들은 5가지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먼저 태아 발생 과정에서 후각망울이 뇌의 다른 부위에 만들어진 결과일 수 있다. 물론 이미지 ... ...
멸종위기 생물 100만종 구하려면 무엇을 해야 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9.12.29
거리만 8000km가 넘는다. 문제는 이 여정 동안 목숨을 위협하는 수 많은 위기를 겪는다는
점
이다. 이미 수많은 습지들이 개발돼 서식지가 사라졌고, 일부 지역에서는 조류 사냥이 이뤄지고 있는 탓이다. WWT는 이미 오래 전에 "넓적부리도요가 멸종되는 것은 시간 문제"라고 결론 내렸다. 전 세계를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갈팡질팡은 성장하고 있다는 증거
2019.12.28
자신의 실력을 과대평가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실제 상위 10%에 속한 학생들은 자신의
점
수가 상위 20% 정도될 것이라고 비교적 현실적으로 평가한 것과는 비교되는 반응이다. 반면 중간 수준의 사람들은 이렇게도 풀었다가 저렇게도 풀어보는 다소 갈팡질팡한 모습을 보였다. 스스로 자신의 ... ...
[이정아의 미래병원] 바이오 인공장기 시대가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27
있다. 췌장이 완성되면 대리 동물에게 이식할 예정이다. 하지만 동물을 사용한다는
점
때문에 일각에서는 여전히 윤리적인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학계에서는 인간의 줄기세포를 3차원으로 층층이 쌓아 배양해, 혈관과 조직을 분화시켜 오가노이드를 만드는 연구도 진행하고 있다. 지난 4월 ... ...
[사이언스N사피엔스]뉴턴이 있으라 하시매
2019.12.26
초가 지났을 때의 속도가 가벼운 물체의 속도보다 더 크다. 이 차이는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더 커질 것이다. 그 결과는? 무거운 물체가 더 빨리 떨어진다! 그러니까, 체중이 많이 나갈수록 가속도가 더 커진다는 말은 400년 전의 갈릴레오를 부정하는 말이다. 그럼에도 우리는 체중이 클수록 썰매에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빙판길은 왜 그렇게 미끄러울까
2019.12.25
못했다. 그럼에도 연구자들은 이번 연구결과가 얼음이 미끄러운 이유를 전혀 새로운 관
점
에서 제시했고 이를 증명할 수 있는 실험을 설계하는 데 영감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자평했다. 정작 본인은 ‘이게 아닌 것 같은데...’라고 찜찜하면서 사람들에게 빙판이 미끄러운 이유를 압력이나 ... ...
월성1호기 ‘영구정지’ 의결…감사원 감사·수명연장 취소 소송 변수(종합)
동아사이언스
l
2019.12.24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에 대한 감사원 감사 결과가 나오기 전 원안위에서 의결됐다는
점
에 논란의 여지가 남게 됐다.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을 둘러싼 갈등이 앞으로 격화될 것이란 전망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월성 1호기 설계수명 만료에서 수명연장, 소송까지 월성 1호기는 2012년 11월 ... ...
'대한민국 인재산실'이라는 과기원 네 곳 청렴도는 '꼴찌'
동아사이언스
l
2019.12.24
결과가 나온 것 같다”고 설명했다. 반면 전체 국공립대 종합청렴도는 10
점
만
점
에 7.69
점
으로 2015년부터 5년 연속 상승했다. 다만 대학 중 종합청렴도 1등급은 없었으며 서울대는 KAIST와 UNIST, GIST와 마찬가지로 5등급을 받았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사이언스가 선정한 올해 최고의 연구성과 '블랙홀 관측'
동아사이언스
l
2019.12.22
1915년 일반상대성이론에서 그 존재를 제시한 이후 한 세기만에 이를 증명했다는
점
에서 의미가 깊다. 우주에서 가장 빠른 존재인 빛조차 빠져나가지 못해 어둡고, 지구와의 거리가 너무 멀어 직접 그 존재가 증명된 적이 없었다. 관측에 성공한 M87과 지구와의 거리만 해도 5500만 광년(1광년은 빛이 1년 ... ...
이전
256
257
258
259
260
261
262
263
2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