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용
사용
응용
굴절
적용
끝바꿈
어미변화
뉴스
"
활용
"(으)로 총 15,82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사극장] 파블로프는 개 실험에 종소리를 쓰지 않았다?
과학동아
l
2024.05.25
정말 드물게 그다지 중요하지 않은 상황에서만 쓰였다. 파블로프의 실험이 종소리를
활용
했다는 통설은 파블로프의 연구를 영어로 번역하는 과정에서 러시아어로 전자 버저를 의미하는 '즈보녹(звонок)'을 종으로 오역하면서 만들어졌다. 1906년 10월 6일 의학 분야의 국제학술지 '랜싯'에 실린 ... ...
미래 제약산업, 우주에 답 있다…보령·스페이스린텍도 '정조준'
과학동아
l
2024.05.25
말 단백질 구조 기반 신약 개발의 붐이 일아나면서 단백질 결정 성장을 위해 우주 환경을
활용
하려는 시도가 있었다"고 말했다. 이후 1998년에 발사된 ISS에 과학 실험을 할 수 있는 데스티니 모듈이 탑재되면서 ISS는 오랫동안 단백질 결정을 성장시키는 플랫폼 역할을 해왔다. 한국 우주 의학 기업 ... ...
물리학계 "한국, CERN 연구에 숟가락만 얹는다 압박받아"
동아사이언스
l
2024.05.24
윤 교수는 “한국이 한-CERN 협력사업을 통해 역량을 많이 키워왔고 회원국 이상의
활용
인력이 있다”며 “이제는 숟가락막 얹지 말고 밥상 차리는 작업을 도울 필요가 있다"고 했다. 연구자들이 받는 압박에 대한 이해도 있어야 한다고 지적도 제기됐다. 윤 교수는 “연구자들이 많이 압박을 ... ...
[과기원NOW] KAIST, 폐플라스틱 재
활용
위한 해중합 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5.24
합성과정에서 자기조립이 일어날 때 해중합 온도가 낮아지는 점을 발견해 폐플라스틱 재
활용
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찾았다. 연구 결과는 미국화학학회저널‘에 지난 8일 온라인 게재됐다. ■ 포스텍은 가톨릭대 의생명공학연구원과 24일 포스코국제관에서 제1회 ‘Meet the PoCanian’ ... ...
값싼 신약·색감 바꾸는 OLED, 계산화학으로 가능해진다
2024.05.24
자체는 제법 축적됐지만 문제는 데이터의 질이다. (계산화학이) 단백질 구조 규명에
활용
되기 위해선 좋은 데이터를 확보하는 것이 관건이다." Q. 그간 한국이 계산화학 모델에서 성과를 낼 수 있었던 비결은. "지금까지는 계산화학이 기초과학연구원(IBS)에서만 가능했다. IBS처럼 연구단이 ... ...
뇌 신경망 본딴 소자로 만든 차세대 '전자 코'
동아사이언스
l
2024.05.24
인공 후각 시스템은 냄새를 감지하고 분석해 의료, 보안, 환경, 식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된다. 화합물의 종류와 농도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고 인간이 접근하기 어려운 환경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중요 기술로 인식된다. 현재 인공 후각 기술은 아직 인간 후각의 성능보다 매우 낮은 ... ...
베이킹소다 성분 이용해 탄소를 유용한 물질로 바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24
합성하는 세계 최초의 방법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혁신적”이라며 “다양한 새로운
활용
처 또한 개발 중에 있다. 기존 산업과의 연계성이 강한 기술을 개발해 추후 상용화까지 빠르게 나아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권 교수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공정을 기반으로 추후 다양한 ... ...
지하엔 '강'·도시 전역은 '스펀지'...극한호우 막는 극한전략
2024.05.24
비를 지하 저류조에 모았다가 비오톱(인공 생물 서식지)에서 정화해 화장실용수로 재
활용
한다"고 설명했다. 1990년대 들어 '베를린의 여의도'라고 할 수 있는 포츠담 광장에도 우파 파브릭의 설계를 적용했다. 전체 지붕 면적 4만4000제곱미터(m2)인 포츠담 광장에 내리는 비는 모두 포츠담 광장 ... ...
한국에도 오로라 내린 '태양폭풍' 비밀 400년만에 풀릴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5.24
수 있는 새로운 수치 시뮬레이션을 개발했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슈퍼컴퓨터를
활용
해 태양 표면 근처의 가스와 플라즈마의 운동 패턴을 시뮬레이션 분석한 결과 태양 자기장의 근원지가 태양 표면 아래 약 2만 마일 지점에서 시작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태양 표면에 훨씬 가까운 곳에서 태양 ... ...
흑과 백을 더욱 분명하게 구분하는 이유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24
못한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시각을 묘사한 인공 신경망 모델인 알렉스넷(AlexNet)을
활용
해 사람의 시각 인식 능력이 발달하는 과정을 모방했다. 한 모델은 정상 시력을 가진 사람이 자라는 과정과 비슷하게 학습 초반 흑백 이미지만 보여준 다음 나중에 컬러 이미지를 학습시켰다. 또 다른 모델은 ... ...
이전
256
257
258
259
260
261
262
263
2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