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연
만물
내추럴
자연계
네추럴
자연상태
상태
뉴스
"
자연
"(으)로 총 4,821건 검색되었습니다.
[주말N수학] 수학 교과서는 거짓말쟁이
수학동아
l
2019.04.07
어렵고 쉬운 문제의 차이가 아닌 생각하는 방식의 차이를 담고 있기 때문에 단계에 따라
자연
스럽게 달라진 겁니다. 삼각형 내각의 합은 180˚(도)가 아니다?! 유클리드 기하학과 비유클리드 기하학 수학 교과과정 중 가장 많은 거짓말이 들어있는 분야는 단연 ‘기하학’이라고 할 수 ... ...
데이터 분석→드론 투입→소화탄 투하…대형산불과 맞선 첨단기술들
동아사이언스
l
2019.04.05
1명을 포함해 35명에 이르렀다. 세계 최고 수준의 산불진화 기술력을 보유한 미국도
자연
의 힘 앞에서는 속수무책이다. 지난해 11월 8일 미국 캘리포니아 새크라멘토에서 산불이 18일동안 이어졌다. 6만2053ha의 면적을 소실시켰고 85명의 목숨을 앗아갔으며 1만8804개의 건물을 파괴시켰다. 18조760 ... ...
딱총새우로 잠수함 탐지하고, 주머니쥐로 지뢰 제거하고
동아사이언스
l
2019.04.05
이를 딱총새우가 내는 소리로 대신하는 방안을 찾고 있다. 새우가 내는 소리는
자연
산 음파이기 때문에 탐지를 당하는 쪽에서는 감지를 당했음을 알 수 없다. 미 해군은 이미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잠수함을 일본의 항구로 은밀히 잠입시킬 때 소음을 숨기기 위해 딱총새우 떼를 활용한 일이 있다. 이 ... ...
잘 찢어지는 쓰레기봉투 안녕...나일론처럼 질긴 친환경 비닐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05
비닐봉투는 잘 찢어지는 게 단점이다. 국내 연구팀이 이 문제를 해결해 질기면서도 100%
자연
적으로 분해되는 친환경 비닐봉투 시제품을 개발했다. 한국화학연구원은 황성연 바이오화학연구센터장과 오동엽, 박제영 선임연구원팀이 땅에 묻으면 6개월 이내에 100%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면서, 기존 ... ...
전문가 500명이 뽑은 10년 뒤 가장 큰 걱정거리는 저출산·초고령화, 저성장
동아사이언스
l
2019.04.04
양극화와 제조혁명도 10대 이슈에 포함됐다. 지난해부터 급변하고 있는 남북관계와
자연
재난, 건강수명증대도 10대 이슈로 꼽혔다. 기후변화에 대한 적응 실패와 그에 따른 한반도 기온 상승은 4년 전과 현재 모두 10년 뒤에 영향을 미칠 현상으로 전망됐다. KISTEP은 이번에 10대 이슈에는 들지 ... ...
온난화의 역설…'청정국가' 캐나다 세계 온난화 속도 1위
동아사이언스
l
2019.04.04
범람하는 문제도 일어날 것으로 추측했다. 지구 온난화의 원인으로 보고서에서는
자연
적인 기후 변화와 인간의 산업활동으로 봤다. 특히 캐나다에서 진행된 온난화는 대부분 인간 활동 때문인 것으로 파악했다. 전문가들은 또 캐나다의 북극이 눈과 빙하로 뒤덮여 있어 다른 지역에 비해 태양 ... ...
염소 크기만한 티라노사우루스 사촌 발견
과학동아
l
2019.04.03
미국에서 티라노사우루스의 사촌격인 화석을 분석한 결과가 나왔다. 미국 북캐롤라이나
자연
사박물관 연구팀은 유타주에서 발굴한 공룡의 뒷다리 화석이 티라노사우루스와 유사한 친척 종으로 크기가 염소만 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약 9500만 년 전에 살았던 이 종이 깃털을 갖고 있었으며, 무게가 ... ...
3D 프린터로 찍어낸 미래 우주기지 엿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03
나선형 타워를 만들어 건물의 지속적인 보강을 가능하게 하고 중간중간 구멍을 뚫어
자연
채광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건설기계와 중장비를 동원하지 않고 3D프린터 기술로 찍어낸 기지다. 조퍼하우스 팀의 우주 기지 상상도. 조퍼하우스 제공 2위팀은 미국 아칸사스에서 온 ... ...
지구온난화 주범 메탄가스를 메탄올로 변환시키는 효소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4.02
존재했다. 연구팀은 유전공학 기술로 메탄산화효소의 핵심 활성 부위만을 활용해
자연
상태의 메탄산화효소와 거의 같은 수준의 활성을 갖는 효소 나노입자를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메탄산화효소의 핵심활성부위를 표출시킨 형태의 새로운 효소 나노입자를 만들었다. 이 효소 나노입자는 빠른 ... ...
美 서부 가뭄 유발 ‘워커순환’ 강화 원인 지구온난화 아닌 ‘
자연
변동성’
동아사이언스
l
2019.04.02
실험 결과가 상당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연구진은 기후시스템 내
자연
변동성이 최근 워커순환 강화 경향의 주 원인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정의석 IBS 기후물리연구단 연구위원은 “이번 연구로 기후시스템의 여러 과정을 보다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전 지구를 ... ...
이전
256
257
258
259
260
261
262
263
2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