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간세계"(으)로 총 4,250건 검색되었습니다.
- '아이다호'에 나타난 슬픈 질병, 기면 발작과학동아 l2001년 02호
- 할리우드의 영화‘아이다호’에는 생소한 정신 질환이 등장한다. 도로 한복판에서 잠이 들어버리는 주인공 리버 피닉스. 바로 기면 발작 때문이었다. 영화 때문에 슬프지만 아름다운 질병으로 기억되는 기면 발작. 도대체 어떤 질병일까.시도 때도 없이 잠의 나락에 빠지는 청년이 있다. 어려서 어 ... ...
- 자크모노의 우연과 필연과학동아 l2001년 02호
- “우주 속에 존재하는 모든 사물은 우연과 필연의 열매다”라는 그리스 철학자 데모크리투스의 말, 그리고 “나는 시지프스를 산록에 남겨두고 떠나련다! 인간은 자기의 무거운 짐을 또다시 지게 될 것이다. 그러나 시지프스는 신(神)을 부정하고, 바위를 다시 밀어 올리는 일에 더 충실하도록 가 ... ...
- 서울대 입시 문제를 계기로 본 이공계 대학 심층 구술 면접 새로운 경향과학동아 l2001년 02호
- 2001년도 이공계 대학 진학을 위한 심층면접 내용이 화제가 되고 있다. 단순히 교과서에서 암기한 지식을 테스트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과학분야에 대한 통합적 사고를 요구하고, 실생활과 과학의 연관성을 강조한 질문들이 대거 등장했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사례가 지난 1월 15일 치러진 서울대 심 ... ...
- 바람계곡의 나우시카과학동아 l2001년 02호
- 1월 9일 오후 5시부터 8시까지 장장 3시간에 걸쳐 두번째 방담회가 진행됐다. 애니메이션의 거장,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작품이기 때문인지 감독의 철학이나 사상에 대해 논의하는 등 시종일관 색다르고 흥미로운 대화가 오갔다. 환경과 생태 문제를 다루는 영화로 알려진 만큼 서울대 환경대학원 ... ...
- 2. 인터페이스 첨단연구의 현장 MIT 미디어랩과학동아 l2001년 02호
- 아주 가까운 미래에 우리는 컴퓨터의 존재나 사용방법을 따로 학습할 필요 없이 디지털 정보의 혜택을 누릴 것이다. 바로 새롭게 고안된 인터페이스의 도움으로. 이것이‘인간 인터페이스 혁명’이며, 다가올 디지털 시대의 생활문화와 정보산업의 전략적 도구가 될 전망이다.현재 미국 MIT 미디어 ... ...
- 뱀의 해 , 나라 앞날 걱정한 지혜의 영물과학동아 l2001년 01호
- 사람들은 징그럽다고 하면서도 뱀에 대해 다양한 호기심과 관심을 갖는다. 과연 뱀은 에덴동산에서 이브를 유혹했듯 사악한 동물일까. 아니면 우리나라 설화에 등장한 것처럼 나라를 걱정하는 영물일까. 뱀의 해를 맞아 뱀을 새롭게 이해해 보자.2001년은 뱀의 해이다. 그리고 올해 태어나는 아이들 ... ...
- 기억이 이식된 복제인간 6번째 날과학동아 l2001년 01호
- 지난 12월 12일 오후 3시. 과학동아 제작진은 방담회 준비를 위해‘6번째 날’시사회장을 찾았다. 영화에 대한 관심과 기대 덕분에 시사회장은 전반적으로 활기가 넘치는 분위기였다. 6번째 날이 선정된 것은 인간복제 허용에 대한 논란이 그 어느 때보다 거센 현 시점에 제대로 부합한 영화이기 때문 ... ...
- 리프킨의 엔트로피과학동아 l2001년 01호
- 열역학의 기본 법칙에는 크게 제0, 제1, 제2법칙이 있다. 이 중 ‘엔트로피 법칙’이라 불리는 열역학 제2법칙은 다양한 형태로 표현된다. 독일의 물리학자 클라우지우스는 “열은 스스로 저온의 물체에서 고온의 물체로 이동할 수 없다”고 표현했으며, 영국의 물리학자 켈빈은 “역학적 일은 전부 ... ...
- 3. 태양계에서 노다지 캐는 미래 우주벤처과학동아 l2001년 01호
- 소행성은 두얼굴을 가진다. 끔찍한 재앙인가, 엄청난 자원인가는 전적으로 인류의 노력에 달렸다. 소행성이 지구와 충돌하면 핵폭탄을 능가하는 피해가 발생하고, 소행성들을 다 모아 가치를 따져 지구상의 사람들에게 각각 나눠주면 한사람당 1백20조원씩이 돌아간다는데….1994년 7월 슈메이커-레 ... ...
- 문단의 귀재 이윤기과학동아 l2001년 01호
- ‘신화 전문가’‘국내 최고의 번역가’로 알려진 문단의 귀재 이윤기. 이제 그가 과학에 눈을 돌려 자신의 독특한 생각을 풀어낼 채비를 갖추고 있다. 신화에 얽힌 흥미로운 얘기를 이해하면 현대 첨단과학의 흐름과 용어의 참뜻을 쉽게 알 수 있다는게 그의 지론이다. 내달부터 과학동아에‘과학 ... ...
이전25625725825926026126226326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