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상"(으)로 총 13,38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5. 바다와 논밭을 누빈다! 농수산 군집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이동할 때 V자 모양으로 날면서 에너지를 아끼는 데서 착안한 거지요. 1시간에 200kg 이상의 해파리를 제거하는 탁월한 능력을 갖춘 제로스는 현재 전북 고창, 군산 등의 국내 바다를 누비며 맹활약하고 있답니다. # 군집로봇이 정말 다양한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다는 걸 알겠지? 로봇 하나만 봤을 ... ...
- [과학뉴스] 태양이 죽으면 어떻게 될까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교수는 “태양 질량의 1.1배 이하인 별들은 희미한 성운을 만들고, 태양 질량의 3배 이상인 별들은 밝은 성운을 만드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말했다. doi:10.1038/s41550-018-0453- ... ...
- [Culture] ‘팔뚝 요정’이 들려주는 팔씨름의 과학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있는 상태에서 상대편 팔을 패드에 닿게 하기만 하면 이기기 때문이다(단 팔꿈치가 2번 이상 떨어지면 실격이다). 선수들과 배우들은 몸의 높이와 어깨의 각도, 팔씨름을 하지 않는 손등을 역동적으로 움직였다. 강력한 팔뚝 만드는 법자세와 기술을 머릿속으로 이해해도 실전은 별개다. 백 선수는 ... ...
- [시사기획 Part 2] 내년 2월 결과 발표, 정부 연구단 “조사 중”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얘기하기 조심스럽다”면서도 “기상청과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이 전국에 설치한 100개 이상의 지진계에 기록된 포항지진의 지진파를 분석해 얻은 결과”라고 말했다. 포항지진의 진원에 대해서는 지진 발생 이후 발표된 여러 기관의 분석 결과에서도 차이가 많았다. 기상청에서는 진원을 지하 6. ... ...
- [Culture] 세상의 모든 사이비과학에 경고를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소금으로 만들어 안전한 락스, 아토피 유발을 막는 글루텐 프리 음식… 최소 한 가지 이상의 효능을 가진 제품들이 쏟아져 나오는 요즘, 광고를 통해 강조되는 이런 효능은 소비자에게는 물건을 선택하는 기준이 되곤 한다. 하지만 이들 광고의 대다수는 과학적 근거가 희박하고, 효과가 있는지조차 ... ...
- [Culture] 체육대회 묵시록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못한다. 2 잘못 되었는지 검증해 보는 계산을 해야 하는데 계산 결과 중에서 알파 값이 1.0 이상으로 나오면 레이저 빔으로 소행성을 잘라야 한다. 3. 알파 값이 1.0 이하면 작은 미사일 여러 개로 소행성을 공격해야 막을 수 있다.그리고, 검증 계산식과 계산에서 알파 값을 구하는 방식. 그리고 그것을 ... ...
- [이투스교육] 살아 움직이는 지구 시스템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발생하며, 천발지진뿐 아니라 중발지진(깊이 70~300km에서 발생하는 지진)과 심발지진(300km 이상 깊이에서 발생하는 지진)이 일어나기도 한다. 알프스 산맥이나 히말라야 산맥은 대륙판과 대륙판이 만나는 수렴형 경계다. 지진활동은 나타나지만 화산활동은 일어나지 않는다. 하지만 대륙판과 ... ...
- Part 3. 정신력으로 무장 하라!수학동아 l2018년 06호
- 파란색 곡선처럼 뒤이어 먹이를 찾아가는 개미의 수가 0에 가까웠어. 그런데 500마리 이상일 때부터는 앞서 먹이를 찾으러 간 개미들이 페로몬을 잘 보충한 경우, 빨간색 곡선처럼 개미의 수와 비례해서 높아졌지. 즉, 개미의 수가 같아도 앞서 페로몬을 보충한 개미가 많으면 뒤이어 페로몬을 ... ...
- 네 마음을 알고 싶어! 마스터마인드수학동아 l2018년 06호
- 이 16개 경우 중에서 어떤 게 진짜 암호인지 알아볼게요. 각 경우에 대해 빨간 핀이 한 개 이상 나올 수 있도록 1213을 시도합니다. 빨간 핀이 n개 꼽힌 경우를 nR, 흰색 핀이 m개 꼽힌 경우를 mW로 나타내서 각각의 경우에 어떤 핀이 꽂힐지 따져봅시다. 예를 들어 2231을 1213과 비교하면 두 번째 2의 위치와 ... ...
- [과학뉴스] 무당벌레까지 느끼는 인공 피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347개의 촉감 센서가 빼곡하게 들어있는 인공 피부를 만들었어요. 이 인공 피부는 1000번 이상 잡아당겨도, 길이를 2배로 늘려도 문제없이 작동을 했답니다. 이후 제난 바오 교수팀은 인공 피부의 크기를 10배로 늘린 뒤, 직접 손바닥에 붙이고 성능을 시험해 봤어요. 그 결과, 촉감 센서는 울퉁불퉁한 ... ...
이전25625725825926026126226326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