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영역"(으)로 총 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2. 태양계 축소판, 16개 위성과 소행성 가족과학동아 l1994년 06호
- 적외선 망원경에 의해 여러 파장에 걸처 관측돼 왔는데 ${H}_{3}^{+}$ 이온에 의한 3.4미크론 영역의 적외선 오로라가 가장 밝고 아름답다. 이 ${H}_{3}^{+}$ 오로라는 필자와 바론박사에 의해 1991년 세계 최초로 촬영됐다(사진5). 에우로파 가니메데 칼리스토 위성들은 분화구가 없으므로 이오와 같이 활발히 ... ...
- 1. 지구질량 318배, 수소·헬륨의 가스행성과학동아 l1994년 06호
- 발견되지 않았을까? 아마도 목성 오로라의 파장대가 지상에서는 관측할 수 없는 자외선 영역이기 때문이었으리라. 그러나 1980년대부터는 국제 자외선 탐사(International Ultraviolet Explorer) 위성으로 목성의 오로라가 꾸준히 관측되었다. 이 관측으로부터 목성의 오로라를 일으키는 전자 에너지가 약 10- ... ...
- 우주 팽창·수축의 열쇠, 암흑물질과학동아 l1994년 06호
- 줄어들지 않았던 것이다.한편 스위스의 천문학자 프리츠즈비키는 보다 규모가 큰 영역에서 암흑물질의 존재를 증명해주는 사례를 발견해냈다. 은하들이 모여있는 은하단에서도 개별은하들이 움직이는 속도가 이론적인 계산수치보다 훨씬 크다는 것이다. 즈비키가 조사한 것은 코마은하단. 이 ... ...
- 제10행성설, 카이파벨트의 실체과학동아 l1994년 06호
- 명왕성 저 너머에 태양계 10번째 행성은 존재하는 것일까. 1930년 톰보우가 명왕성을 발견한 이후 많은 천문학자들은 10행성을 찾기 위해 여러가지 노력을 기울여왔 ... 넓혀질 것으로 예상된다. 만약 카이파의 실제 모습이 드러나면 우리 태양계는 그 영역이 3-5배 이상 넓혀질 것으로 보인다 ... ...
- (1) 세포 상호 의사소통, 생체기능 조절과학동아 l1994년 06호
- 경우가 많다. 이 '냄새의 페로몬적 작용'이란 개가 자신의 분비물 냄새로 자신의 영역을 표시하거나 수컷 사향노루가 암컷을 유인할 때 쓰이는 것. 긴 시간 포유동물에 있어 페로몬과 같은 화학정보전달작용을 나타내는 것은 휘발성 냄새물질이라 여겨졌다.최근에는 포유류에서도 페로몬이라 ... ...
- 침술(鍼術), 초과학의 영역인가과학동아 l1994년 05호
- 밝혀지지 않은 채로 있다.한의학은 미신이나 신비의 영역이 아니고 초과학(超科學)의 영역이다. 그러나 눈부시게 과학이 발달하고 있고 전세계의 과학자들이 수많은 연구를 진행시키고 있다. 오히려 우리나라가 뒤지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므로 언젠가는 경락이나 침의 신비가 과학적으로 풀릴지도 ... ...
- 3. 살 길 찾아 아시아·유럽으로과학동아 l1994년 05호
- 충분한 지적인 능력을 갖추고 있었다고 추정된다. 또 동남아시아지역에서 일찍부터 그 영역을 북쪽으로 확장해 동북 중국지역까지 진출했다고 믿어지며 이 지역에서 상당한 기간 동안 진화가 이루어졌다는 것을 주구점유적의 북경원인을 통해서 알 수 있다 ... ...
- 3. 전자보다 1천배고속 21세기 광자시대과학동아 l1994년 05호
- }$)시대를 지나 기가비트(${10}^{9}$)시대에 진입해 있다. 20세기 초반에는 테라비트 ${10}^{12}$ 영역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된다.테라비트 광통신은 '테라 헤르츠'라는 빛의 높은 주파수특성과 파동성을 헤테로다인 또는 호모다인 방식으로 이용하는 코히런트 통신방식, 그리고 광섬유 증폭과 비선형 ... ...
- 목성·혜성충돌, 지름 3천㎞ 버섯구름의 대장관과학동아 l1994년 05호
- 반사돼 다시 표면으로 되돌아 올 수 있으므로 이를 자세히 관찰하면 아직까지 미지의 영역인 목성 내부 세계를 들여다 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다.충돌은 지구 반대편 목성 표면에서 일어나는데 거대한 버섯구름(지름 약 3천㎞)이 생길 가능성이 높다. 지구에서는 충돌 40분 후 충돌자국을 ... ...
- 윈도즈용 프로그램 베스트 15과학동아 l1994년 05호
- 사용할 수 있다.화면 캡쳐가 주목적이므로 특별한 기능은 없으나 캡쳐할 화면을 특정 영역별, 특정 윈도우, 전체 윈도우, 타이틀 바를 뺀 화면부분, 화면의 메뉴부분 등으로 구분하여 작업할 수 있다.그리고 각 화면 캡쳐 방법에 대한 단축키가 제공되므로 태스크 스위치를 할 필요 없이 바로 화면 ... ...
이전25625725825926026126226326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