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
밑
아래위턱
위턱
웃턱
윗턱
이하
d라이브러리
"
아래
"(으)로 총 5,599건 검색되었습니다.
풍속화 속 수학 김홍도 vs 신윤복
수학동아
l
2011년 12호
양반과 기녀들은 마치 위에서 내려다본 것처럼 그려지고 있다. 이렇게 높은 곳에서 멀리
아래
를 굽어 내려다본 모습으로 그리는 것을‘부감법’이라고 한다. 신윤복은 15°정도 위에서 내려다보는 부감법을 주로 사용했다. 이 그림에선 주인공인 검무하는 두 여인을 부각시키기 위해 가운데에 ... ...
[수학클리닉] 삼각비 정복하기!
수학동아
l
2011년 12호
구면 위에 높여 있다고 생각하고, 두 별사이의 각도를 쟀어요. 측정한 각도를 이용해
아래
그림❸과 같이 삼각형을 만들고 삼각비를 이용해 두 별 사이의 거리를 예측할 수 있었답니다. 선생님만 알고 있는 비밀● 선생님, 삼각비 용어가 헷갈려요!사실 직각삼각형에서 두 변의 길이를 이용한 비는 ... ...
접선이란 무엇인가?
수학동아
l
2011년 12호
한 점에서 만날 뿐만 아니라 원래 도형을 대신한다는 조건도 만족해야 하는 것이죠.
아래
그림처럼 그림➊의 접점 부근을 확대하면 할수록 그림➍, ➎와 같이 원이 평평하게 보이면서 접선과 아주 비슷해 보입니다. 그런데 그림➋를 확대한 그림➏을 보면, 아무리 확대해도 접점 부근에서삼각형과 ... ...
PART 2. 타임머신 터미널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목적지 행성으로 향한다. 보통 지구에서 직선코스로 향하는 것이 최단경로지만, 우주끈(
아래
설명 참조) 주위에는 공간이 떨어져 있으므로 광속으로 향해 가는 우주끈 A의 옆을 도는 쪽이 거리가 짧아진다. 우주선은 우주끈의 경로로 빛에 가까운 속도로 목적지로 향한다. 그러면 지구에서 ... ...
2악장 - 큰 소리가 살아남는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켰어요. 이 때 바이올린처럼 어깨에 얹는 게 아니라 마치 우리나라 악기 해금을 연주하듯
아래
로 늘어뜨린 채 연주했기 때문에 부드러운 소리는 낼 수 있을지언정 강한 소리를 내기엔 불리했죠.이 때문일까요. 17세기 초반만 해도 바이올린보다 흔하게 볼 수 있던 비올 족 악기들은 1730년대를 ... ...
4악장 - 악기 개성의 탄생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크기와 높이를 제외한 모든 요소가 주는 효과”라고 뭉뚱그려 이야기하기도 합니다.
아래
음의 파형을 봐 주세요. 오보에(왼쪽)와 하모니카 두 음은 높이가 라 음으로 똑같고, 크기도 같습니다. 하지만 음을 구성하고 있는 주파수별로 분석해 보면 진폭이 각기 다르다는 사실을 알 수 있어요. 물론 이 ... ...
엘리베이터는 언제 올까?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엘리베이터가 움직일 방향과 거리를 조절할 수 있게 되고서야 현실화될 수 있었다. 또한
아래
위에서 움직이는 엘리베이터가 서로 부딪히지 않도록 두 엘리베이터를 적어도 3m 이상 떨어져 있게 만든 안전제어시스템의 공이 컸다.쌍둥이 이전에도‘더블 데크’라는 기술이 있었다. 엘리베이터 두 ... ...
평면도형의 성질 바로 알기!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공부는 계단을 한 칸씩 올라가는 것과 같아요. 한꺼번에 여러 칸을 오를 수는 있지만,
아래
계단을 밟지 않고는 다음 계단으로 갈 수는 없죠. 그래서 새로운 개념을 배울 땐 확실하게 이해하고 넘어가는 것이 중요해요. 만약 어설프게 이해한 개념이라면 응용문제나 심화문제를 만났을 때 당황하게될 ... ...
[hot science] 브레이크 없는 사막화 기후 양극화 부른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하강기류가 강화된다. 이런 순환의 영향으로 아열대 고기압이 강화되며 이는 고기압
아래
사막을 더욱 확장시킨다. 가뭄으로 갈라지는 땅 한 쪽에선 폭우가…이런 결과는 최첨단 기후 모델들로 예측한 미래 기후 전망에서도 나타난다. 온실가스 농도 증가율에 따라 사막화의 진행 속도는 ... ...
세상이 깜짝! 별별 동물쇼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1호
게, 달팽이와 작은 물고기를 잡아먹어요. 앉아서 받아먹는 여치이 여치는 왜 잎사귀
아래
에 앉아 숨어 있을까요? 작은 곤충이 우연히 나뭇잎 위에 앉으면 얼른 잡아먹기 위해서지요. 2002년 서부 아프리카에서 처음 발견되었어요. 낚싯바늘로 방어하는 개미캄보디아 숲에서 발견된 거대한 개미! ... ...
이전
256
257
258
259
260
261
262
263
2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