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d라이브러리
"
빛
"(으)로 총 5,673건 검색되었습니다.
차세대 우주왕복선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가벼워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쓸 수 있지요. 게다가 태양전지판에 도달하는 태양
빛
의 약 30%를 전기로 만들 수 있을 정도로 효율이 좋답니다.여기에 현재 우주왕복선보다 훨씬 속도가 빠른 컴퓨터가 설치돼 있어서 더 안전하고 정확하게 비행할 수 있고, 지구와 빠르게 정보를 주고받을 수 ... ...
빛
입자로 즐기는 하노이의 탑
수학동아
l
2011년 03호
에너지가 서로 다른
빛
입자를 이용한 것이다. 큐비트 2개를 이용하면 다른 공진기로
빛
입자를 옮길 수 있어 하노이의 탑 퍼즐을 만들 수 있다.하노이의 탑은 세 개의 기둥과 크기가 다양한 원판으로 구성돼 있다. 한 기둥에 크기 순서대로 쌓여 있는 원판을 다른 기둥으로 차례로 옮기는데, 큰 ... ...
Part 1. 역사 속의 최초, 그녀는 누구?
수학동아
l
2011년 03호
이후 여성 수학자는 좀처럼 등장하지 않았다. 근대 이후가 돼서야 여성수학자가 그
빛
을 다시 세상에 드러냈다.그중 한 사람이 18세기 프랑스에서 태어난 여성 수학자 소피 제르맹이다.그녀는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났지만 당시 프랑스는 혼란기였다. 오랜 시간 집에서 시간을 보내야 했던 그녀는 ... ...
아름다운 무지개다리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처음
빛
과 42°, 보라색
빛
은 40° 각도를 이룬다. 바깥쪽은 빨간색, 안쪽은 보라색을 띠는
빛
스펙트럼이 나타난다. 물방울 안에서 반사가 여러 번 일어날 때 무지개의 색깔 배열이나 각은 달라진다. 관찰자가 태양과 물방울이 있는 곳 사이에 있다면 무지개는 물방울 지역을 통과하는 원뿔 모양으로 ... ...
‘상어는 색맹’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없었다. 나머지 7종류는 고래와 돌고래, 물개 같은 해양 포유류처럼 파장이 긴
빛
만 받아들이는 한 종류의 원추세포만 있었다. 연구팀은 수렴진화의 원리에 따라 상어도 같은 특성을 지니게 됐다고 추정하고 있다. 연구에 참여한 나단 하트 서호주대 교수는 이 연구가 “상어를 자극하지 않는 ... ...
지구에 숨어든 외계행성의 전사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하늘을 날거나 생각만으로 물건을 움직이거나, 불이나 바람, 번개를 부릴 수 있다. 존은
빛
을 내거나 물건을 마음대로 다룰 수 있다(염력). 가드들은 마력으로 서로 연결돼 있어 정해진 순서대로만 죽을 수 있다. 한 사람이 죽을 때 마다 오른쪽 발목에 띠 모양의 상처가 생긴다. 하지만 가드가 둘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형틀만 바꾸면 중형 및 대형렌즈로 쉽게 만들 수 있다. 렌즈의 크기는 받아들일 수 있는
빛
의 양을 의미하기 때문에 렌즈가 클수록 어두운 물체를 잘 볼 수 있다. 다만 아직은 형상기억합금의 동작 속도가 느리고 제어가 어렵다. 초점을 정확하게 조절하기 위해서는 구동부를 정밀하게 제어하는 ... ...
과학자를 매료시킨 ‘상상의 동물학’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집을 전전하며 암울한 삶을 보냈다. 그러나 천진난만한 상상력은 어두운 삶 속에서도
빛
을 잃지 않는 법. 그는 전에 없던 왕성한 창작력과 필력으로 한 생물 목(생물 분류의 중간 단계)을 그림과 글로 완벽하게 창조해 내기에 이른다. 바로 ‘코쟁이(나조벰)류’라고 이름 붙은 포유류다.코쟁이류는 ... ...
Part2. 지구 살리는 13가지 방법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햇
빛
을 차단한다. 하지만 권운처럼 높은 고도에 떠 있는 얇은 구름은 지구로 들어오는 햇
빛
을 막는 동시에 지구에서 나오는 적외선을 잡아둬 대기를 데운다. 적도 지역은 생성되는 구름의 약 75%가 권운일 정도로 상층 구름이 잘 생긴다. 따라서 적도의 온난화를 방지하고 구름의 냉각효과만 남기려면 ... ...
과학자를 매료시킨 '상상의 동물학'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집을 전전하며 암울한 삶을 보냈다. 그러나 천진난만한 상상력은 어두운 삶 속에서도
빛
을 잃지 않는 법. 그는 전에 없던 왕성한 창작력과 필력으로 한 생물 목(생물 분류의 중간 단계)을 그림과 글로 완벽하게 창조해 내기에 이른다. 바로 ‘코쟁이(나조벰)류’라고 이름 붙은 포유류다.코쟁이류는 ... ...
이전
256
257
258
259
260
261
262
263
2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