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지막
종결
결말
최후
대단원
끝판
첨단
d라이브러리
"
끝
"(으)로 총 5,647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으로 영화 보기] 프로야구 왜 133경기 할까?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그런데 더욱 놀라운 일이 생겼다. 오합지졸 그 자체였던 이 야구부가 단 몇 개월의 연습
끝
에 봉황대기 본선에 진출하게 된 것이다! 과연 어떻게 된 일일까?이 엄청난 기적의 비밀은 사실 봉황대기 경기 시스템에 있다. 봉황대기는 40년 전통 전국 규모의 고교 야구대회인데, 전국의 모든 고교 팀이 ... ...
낯선 땅에서 만난 고려인 친구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잇게 될 선의 개수라네. 모든 점을 지나지 않아도 되고. 아마도 문제를 해결하면 시작과
끝
이 연결된 어떤 구역이 나올 것 같네.”“이 구역이 무슨 의미인 거죠?”도형의 질문에 홍석은 어두운 표정으로 말한다.“다음 강제 이주 지역으로 예상하고 있단다. 미리 안다고 해서 달라질 것은 없지만… ... ...
Part 2. 죽음의 안식처, 무덤에게 묻는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미라와 같은 구조의 무덤에서 형성된 또 다른 미라는 없는지 확인하고 싶었다.수소문
끝
에 덜컹거리는 완행버스를 타고 7시간을 달려간 곳은 후베이성(湖北省) 징저우(荊州) 시. 이곳엔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168호 미라’가 전시돼 있다. 더 오래됐다지만 실제로 사망한 시기는 마왕퇴 미라와 몇 ... ...
Part 2. 우주를 지배하는 어둠의 입자 - 암흑물질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미국 항공우주국에서 7년에 걸친 관측
끝
에 완성한 우주배경복사지도. 온도에 따라 색을 달리했다. 배경복사가 이렇게 균등하지 않은 이유 중 하나로 암흑물질의 존재가 꼽히고 있다.]1960년대 후반, 미국 카네기연구소의 천문학자 베라 루빈은 먼 거리에 있는 나선 은하를 관찰했다. 그녀는 ... ...
암흑물질 후보 윔프 입자 ‘없다 VS 있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지구로 쏟아지는 암흑물질을 검출하는 측정기구를 만들었다. 연구팀은 7년간의 실험
끝
에 계절에 따라 측정값이 변하는 물질을 2003년 검출했다. 지구가 공전하면서 암흑물질 농도가 다른 지역에 들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2008년에는 더 많은 양의 요오드화나트륨을 이용해 실험 결과를 재현해 ... ...
반물질 지구는 어디에 있을까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알파자기분광계)라는 분석장비를 국제우주정거장에 설치하는 일이다. 17년의 준비
끝
에(프로젝트가 중단될 뻔한 위기도 있었다) 미국의 우주왕복선 인데버호가 AMS-02를 싣고 5월 16일 발사됐다.우주공간에서는 대기가 없기 때문에 우주선 입자를 고스란히 검출할 수 있다. AMS-02는 전하를 띤 우주선을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1 비가 와도 홍수 걱정
끝
하천을 유지 관리하고 홍수 피해에 미리 대비하기 위해서는 하천에 흐르는 물의 양을 정확히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 하지만 수시로 변하는 물의 양을 사람이 실시간으로 측정하기는 현실상 어렵다. 집중호우가 자주 발생하는 여름을 앞두고 황당맨은 이 일을 자동으로 ... ...
친구들 속에 묻어가기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실크다.
끝
은 열려 있어 머리를 밖으로 내 먹이를 먹거나 이동할 때 사용하고 집
끝
의 구멍으로는 배설물을 버린다. 어른이 돼서도 암컷은 날개를 만들지 않고 단지 페로몬을 뿌려 수컷들을 유인한다. 가장 안전한 집에서 단 한 발자국도 나오지 않는 극단적인 번식 전략이다.끊임없이 생존법 ... ...
허블 3D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성공을 바라지 않았겠는가. 우주에서 수행된 11일의 서비스 미션4는 다행히도 성공적으로
끝
났다.밤하늘을 항해하던 허블우주망원경의 눈은 밝게 빛나는 시리우스 별 위에 펼쳐진 오리온자리로 향한다. 스크린에는 오리온자리가 점점 확대된다. 오리온자리가 가까워지자 오리온 대성운과 ... ...
Part 1. "세계에서 가장 깨끗한 미라"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좋았다. 미라를 살펴보던 김 교수는 안됐다는 듯 한숨을 쉬었다. 만성질환으로 고생
끝
에 죽었을 거라는 것이다. 의료진이 발굴과정에서 육안으로 살펴본 결과 20~30대 사이에 사망한 것으로 추정했다. 특히 한쪽 폐가 비대해진 바싹 마른 체형으로 볼 때 폐병 등 만성질환을 앓 았을 확률이 높았다 ... ...
이전
256
257
258
259
260
261
262
263
2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