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간
기한
음량
척도
표준
기준
깊이
d라이브러리
"
길이
"(으)로 총 4,932건 검색되었습니다.
면발의 힘 글루텐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미국밀에 비해 α-아밀라아제라는 녹말분해효소가 덜 들어 있다. 따라서 녹말분자의
길이
가 더 길어 면의 탄력성이 큰 것. 또 밀가루색이 누렇게 변하게 만드는 폴리페놀옥시다제라는 효소도 적어 밀가루 색이 더 밝다. 김 연구원은 “밀의품종이나 재배환경에 따라 밀가루의 특성이 다르다”며 ... ...
‘제8회 3M 청소년 사이언스캠프’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영향을 주는 요인을 찾아나가는 방식이다. 김 연구원의 말이 끝나자마자 학생들은 막대
길이
나 당기는 각도를 바꾸면서 돌이 날아가는 거리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측정했다.김 연구원은 “오래 생각하고, 정해진 규칙에 따라 실험하고, 반복하라”고 강조했다. 답을 먼저 알려주는 것이 아니라 ... ...
나로 호, 우주강국 ‘궤도 진입’ 실패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나로 호는 발사 54초 만에 음속을 돌파하고 하늘 위의 밝은 점이 될 만큼 멀어졌다.
길이
33.5m, 지름 2.9m, 무게 140t에 이르는 ‘대한민국의 꿈’이 드디어 지상을 박차고 웅비한 순간이었다.시내 곳곳에서 텔레비전을 통해 발사 상황을 지켜보던 시민들은 박수를 치며 흥분된 얼굴을 감추지 못했다. 200 ... ...
마음을 울리는 청아한 소리 양금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일치하지 않는다. 울림통에는 줄을 지탱하기 위한 괘 2개가 가로질러 놓여 있고 그 위로
길이
가 서로 다른 줄 14개가 걸쳐 있다. 각 줄은 다시 가느다란 쇠줄 4개로 이뤄진다. 실제로는 총 56개의 줄이 쓰이는 셈이다.국립국악원 창작악단의 민혜인 씨는 “이렇게 여러 가닥의 줄을 쓰는 이유는 양금의 ... ...
맛있는 세계 면류 총집합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2005년 중국의 고고학자들은 이곳에서 스파게티와 비슷한 면의 일부를 발견했다. 두께 3mm,
길이
50cm의 이 국수는 얼음에 갇혀 있었던 탓에 4000년 전의 모습을 그대로 유지했다. 하지만 고고학자들을 더욱 놀라게 한 것은 이 국수 재료가 밀이 아닌 기장이라는 사실이다. 기장은 밀보다 경작한 지 얼마 ... ...
1. 공간 절약의 비법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CD 크기는 왜 12 cm?1978년 CD를 최초 개발한 필립스는 CD지름을 카세트 테이프의 대각선
길이
에 해댱하는 11.5cm(약 60분 분량)로 만들었어요. 하지만 이듬해 소니와 표준화 논의를 거치면서 12cm(74분 분량)로 늘이는 것에 합의했어요.경영진이 기준으로 제시했던 베토벤 9번 교향곡 전체를 담기 위해서는 7 ... ...
실전 맛보기!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않게 늘어놓아 될 수 있는대로 작은 정사각형을 만들려고 합니다. 이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
는 몇 cm입니까?해결 포인트 직사각형을 늘어놓아서 정사각형을 만든다면 그 정사각형은 처음의 직사각형보다 당연히 크다. 단지 ‘작은’이라는 말 때문에 약수를 구해 버리는 실수를 저지르지는 말자 ... ...
3. 오늘 바로 절약의 고수되기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어떻게 될까요? 부피는 각각 1×1×1, 2×2×2이므로 부피의 비는 1:8이랍니다. 부피의 비는
길이
의 세제곱에 비례하기 때문이죠.이를 복숭아에 적용하면 복숭아의 부피는 반지름의 세제곱에 비례해요. 지름이 10cm인 복숭아 4개와 지름이 8cm인 복숭아 7개의 부피의 비는 5×5×5×4개 : 4×4×4×7개이므로 500 : 44 ... ...
100년 넘은 광학법칙 깨뜨린 나노렌즈 개발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어떤 모양이나 재질도 회절 한계를 벗어날 수 없습니다. 그런데 렌즈 크기가 빛의 파장
길이
정도가 되면 기존의 기하광학 원리가 더 이상 적용되지 않습니다.”이번 논문의 공동 교신저자인 미국 컬럼비아대 물리학과 김필립 교수는 저널에 실린 주요 논문에 대해 토론을 하는 자리인 ‘네이처 ... ...
21세기 녹색성장 이끄는 생태공학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단절돼 섬처럼 고립된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동물의 이동통로를 마련해줬지만
길이
동물이 다니는 환경이 아니라 실효를 거두지 못했다.“대한토목학회에서 2005년 생태공학분과를 신설한 이유도 토목공학자와 생태학자가 함께 논의해 자연과 공존할 수있는 구조물을 만들어야 한다는 ... ...
이전
256
257
258
259
260
261
262
263
2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