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현
가망
d라이브러리
"
가능
"(으)로 총 13,089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 수사의 최전선, 겹친 지문을 분리하라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쉽게 말해 영상을 원하는 위치에 구현하는 기술이다. SF 영화에나 등장하는 실현 불
가능
한 기술로 생각하는 경우가 많지만 초기 단계의 홀로그램을 구현한 연구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이 교수팀은 기존 홀로그램 기술의 한계였던 낮은 해상도와 좁은 시야각을 대폭 개선한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 ...
[Issue] 액면분할 이후 삼성전자 주가는 어떻게 될까?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타며 생산비용을 대폭 절감해버린 상태이기 때문이다. 마지막 조건인 대체상품의 이용
가능
성은 최근 이슈가 되는 자율주행자동차를 통해 설명해보자. 사람이 운전해야 하는 기존 자동차에 비해, 경로만 입력하면 스스로 운전하는 자율주행자동차는 매우 혁신적인 제품이며 또 상당한 대체 수요를 ... ...
[인터뷰] “파격적인 입학전형이 DGIST의 경쟁력”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차세대 리더가 될 수 있다”며 “한 분야의 전문가이면서 동시에 다른 전공과 소통이
가능
한 융합인재가 되고 싶은 학생들이 DGIST에 많이 지원해 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 ...
움직임을 지배하는 운동의 법칙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다른 힘들의 합력을 구할 수 있는데, 이는 서로 다른 힘들의 작용점이 일치할 경우에만
가능
하다. 이렇게 다양한 힘들의 합을 합력 혹은 알짜힘이라고 한다. 1687년 영국의 과학자 뉴턴은 ‘자연 철학의 수학적 원리(프린키피아)’라는 책에서 물체의 운동에 대한 물리 법칙을 발표했다. 이를 뉴턴의 ... ...
심판이 볼 수 없다면 수학이 본다! 심판 판정 돕는 기술
수학동아
l
2018년 04호
‘수학’입니다. 먼저 공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초당 500프레임 이상의 촬영이
가능
한 고성능 카메라로 실시간으로 공을 찍어 컴퓨터로 전송합니다. 카메라 여러 대가 각자의 위치에서 촬영한 공의 궤적을 갖고 컴퓨터는 공의 위치를 추적하는데, 이때 사용하는 방법이 ... ...
Part 3. 집에서도 즐기는 인생맛집
수학동아
l
2018년 04호
2개의 로봇팔이 요리사의 동작을 똑같이 따라합니다. 요리사의 모습을 흉내 내는 게
가능
한 건 모션 캡쳐 시스템 덕분입니다. 모션 캡쳐란 몸에 센서를 부착해 사람의 움직임을 디지털 형태로 기록하는 작업입니다. 센서의 위치값을 이용해 가상캐릭터가 사람과 똑같은 동작으로 움직일 수 있지요 ... ...
[과학뉴스] 다이아몬드가 밝힌 맨틀의 비밀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예상했지만, 이번에 제7형 얼음을 발견하면서 맨틀 아래 훨씬 깊은 곳에 물이 존재할
가능
성이 생겼다. 샤우너 교수는 “이번 발견으로 지구 내부의 운동을 이해하는 새로운 열쇠를 찾았다”고 밝혔다. doi:10.1126/science.aao303 ... ...
[과학뉴스] 러시아, 소행성 폭파 실험 진행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통해 소행성이 파괴되는 과정을 모델링할 수 있다”며 “만약 소행성이 지구에 충돌할
가능
성이 있는 경우 연구 결과를 활용해 막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팀은 현재 소행성을 파괴하지 않고 소행성 궤도를 바꾸게 만드는 방법도 연구하고 있다. doi:10.1134/S106377611801013 ... ...
[과학뉴스] ‘꿈의 신소재’로 손상 없이 머리 염색?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손상 없이 염색이
가능
한 ‘그래핀 염색약’이 개발됐다. 아름다운 색감은 물론, 머리카락이 일종의 전자기기 역할도 할 수 있다. 황 자싱 미국 노스웨스턴대 재료과학과 교수팀은 그래핀을 이용해 무독성이며 모발 손상이 없고 색이 오래 유지되는 새로운 염색약을 개발했다고 국제학술지 ‘켐 ... ...
[Origin] 지구가 주사위 모양이라면?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만유인력이 훨씬 커지는 탓에 실제 지구에서처럼 안정적인 궤도로 돌지 못하고 충돌할
가능
성이 매우 높다”고 설명했다. 실제 우주에서 정육면체 모양의 천체는 존재할 수 없다. 만약 존재한다고 하더라도 생명체가 살 수 있는 땅이 거의 없다. 고 교수는 “학문적인 호기심 차원에서는 충분히 ... ...
이전
256
257
258
259
260
261
262
263
2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