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칠
세븐
일곱
d라이브러리
"
7
"(으)로 총 7,826건 검색되었습니다.
“북한과의 과학기술 교류, 모험연구 장려 앞장선다”
과학동아
l
200912
관심을 갖게 됐다. 그 뒤 2000년 평양 김책공업종합대와 평양정보센터에서 특강을 했고
7
년간 평양정보센터와 공동연구를 추진했다.그가 평양과기대와 인연을 맺게 된 계기는 2001년 연변에서 열린 학술회의에 참석하러 갔다가 연변과학기술대 김진경 총장을 만난 일이다. 당시 북한 당국은 ... ...
지구온난화 주범 이산화탄소 붙잡아 가두려면
과학동아
l
200912
발표했다.소로스가 기자회견 장소로 코펜하겐을 선택한 건 의미심장한 일이다. 오는 12월
7
일 코펜하겐에서 2012년 종료되는 교토의정서를 대체할 새로운 기후변화 협약을 정하는 유엔 기후변화협약(UNFCCC) 당사국 총회가 열리기 때문이다. 이 자리에서 각 국가들이 앞으로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얼마나 ... ...
창의설계 및 생산공학
과학동아
l
200912
또한 평소에 자신이 제작하고 싶었던 생산시스템을 직접 기획하고 제작할 수도 있다.
7
. 취업을 선택하면요?대부분의 기업이 제품을 만들고 판매 수익으로 회사를 운영한다. 따라서 생산을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기업에 진출해 자신이 가진 기술을 실용화할 수 있다. 자동차회사, 전자회사에 취직해 ... ...
반갑다, 과학기술위성 2호야!
어린이과학동아
l
200912
오는
7
월 말, 나로우주센터에서 우주로 발사될 과학기술 2호의 모습이 공개되었습니다.과학기술위성 2호는 우리나라 최초의 소형위성발사체 ... 만들어 놓은 거지요.우리 손으로 만들어 우리 땅에서 처음으로 발사될 과학기술위 성 2호.
7
월 말 성공적인 발사 소식이 들려오길 기대해 봅니다 ... ...
Part 1. 달력의 생명은 정확도!
수학동아
l
200912
30.4일이 나오기 때문에 양력 달력에서는 한 달이 번갈아 30일 또는 31일이 됩니다. 그러면
7
월과 8월이 둘 다 31일이고 2월만 유독 28일로 짧은 이유는 무엇일까요?고대 로마에서는 봄이 시작하는 3월이 한 해의 첫 달이었습니다. 3월부터 시작해 31일과 30일이 번갈아 나타났습니다. 따라서 한 해의 마지막 ... ...
대포 쏴 달나라 간다
과학동아
l
200911
국립연구소에 재직했던 물리학자다. 그는 1990년대에 비슷한 목적으로 만들었던 포신 4
7
m짜리 대포를 이번 연구의 기본 모델로 하고 있다고 뉴사이언티스트는 밝혔다.헌터 박사팀이 구상 중인 초대형 대포는 사람이 아니라 부품이 없는 화물을 우주공간에 올릴 계획이다. 발사 순간 생기는 엄청난 ... ...
신종플루 예방 백신 안전할까
과학동아
l
200911
없었다”고 말했다. 스위스 제약사 노바티스가 제작하는 계절 독감 백신 플루아드는 199
7
년 유럽에서 최초로 허가된 뒤 우리나라를 비롯한 26개국에서 사용되고 있다 ... ...
바다를 달리는 하늘길 인천대교 열렸다
과학동아
l
200911
않았다. 다리 길이가 18.4km라는 점을 감안하면 교량구간이
7
.3km인 서해대교가 완공되는 데
7
년 걸린 것과 비교했을 때 공정속도가 4배가량 빨라졌다. 이처럼 인천대교를 빠르게 건설할 수 있었던 비결은 뭘까. 구간별, 단계별로 설계와 시공을 병행하는 새로운 교량 건설 기술이 도입돼 공사기간을 ... ...
제4회 청소년 표준올림피아드
과학동아
l
200911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한국표준협회에 따르면 한국은 이미 세계에서
7
번째 표준국가 반열에 들지만, 표준화 분야에서 일본과 중국이 한국보다 앞선다. 전 세계 국가에서는 표준화를 위한 기술을 연구하기 위해 투자할 뿐 아니라 청소년에게 표준화에 대한 교육을 하고 있다.지난 8월 1 ... ...
단백질 합성공장 리보솜 비밀 밝혀
과학동아
l
200911
단백질 구조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스타이츠 교수팀에서 박사후연구원을 지냈고 199
7
년 광주과학기술원에 부임했다. X선 결정법을 비롯해 다양한 방법으로 여러 단백질의 구조와 기능을 규명하고 있다. 엄 교수는 연구대상을 원자수준에서 들여다볼 수 있을 때 큰 기쁨을 느낀다.▼관련기사를 ... ...
이전
256
257
258
259
260
261
262
263
2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