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자리
지위
곳
소재
거주지
처지
d라이브러리
"
위치
"(으)로 총 5,158건 검색되었습니다.
특명! 물을 찾아라
과학동아
l
200402
표면 관측자료를 바탕으로 최종 착륙지점이 결정됐다.스피릿은 화성의 적도 남쪽에
위치
한, 한때 호수였던 것으로 추정되는 구세프 분화구에 착륙했다. 만약 그곳이 호수 바닥이었다면 지표면의 암석에는 퇴적층이 쌓여있을 것이다. 스피릿은 구세프 분화구의 암석을 분석해서 퇴적층이 ... ...
세계 최대의 초호화유람선 퀸 메리 2호
과학동아
l
200402
7m나 높은 곳에 매달려 있다. 구명보트의 손상을 막기 위해 다른 호화유람선보다 2배 높은
위치
로 옮긴 것이다. 테러조직의 불의의 공격에 대비해서는 대폭 강화된 보안 조치를 취하고 있다.퀸 메리 2호의 등장은 호화유람선의 부흥을 이끌 것으로 전망된다. 20세기초까지 배는 가장 핵심적인 장거리 ... ...
3. 거리_디지털 거리를 걷는다
과학동아
l
200402
상암동에
위치
한 디지털미디어시티(DMC)는 약 17만평 규모의 부지 위에 건립되는 미래형 도시 모델로, 정보미디어 산업의 집적지이자 비즈니스의 중심지로 조성되고 있다. 또한 이곳은 도시계획을 통해 구현된 첨단기술의 실험장이자, 미래를 향한 관문이며, 디지털 기술의 모든 가능성이 열려있는 ... ...
쌓인 눈 넉가래질하는 "은하"
과학동아
l
200402
진입해 ‘푸른빛’으로 불타는 우주선과 비슷하다. 그림의 주인공은 용자리 근처에
위치
한 C153이라는 이름의 은하다. 보통 나선형이나 타원형을 한 은하와는 다르게 넉가래 모양을 하고 있다. C153은 왜 이런 모습을 하게 된 것일까. 그 이유를 용자리에 내려오는 전설에서 찾는다면 억지일까.1억년의 ... ...
유인화성탐사
과학동아
l
200402
따라 조금씩 다르다 남방 진동지수(Southern Oscillation Index, SOI)는 남위 17도와 서경 1백50도에
위치
하는 타히티섬과 호주 대륙 다윈의 월 평균 기압의 편차로 나타낸다 남방 진동지수는 평상시에는 양의 값을 가지나, 엘니뇨 기간에는 음의 값을 갖는다 이는 인도네시아 부근 서태평양의 저압부가 태평양 ... ...
5. 공공서비스_편리하고 똑똑해진 공공 서비스
과학동아
l
200402
라는 자동 결제시스템이 가동 중에 있다. 또 자신의 휴대단말기로 등록된 버스나 택시의
위치
를 추적하는 일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버스나 택시를 무작정 기다리는 일도 없어진다.이처럼 무선 기술은 모든 공공서비스를 신속하게 이용할 수 있는 기본 환경을 조성한다. 이와 같은 신속성은 서비스 ... ...
풍선 타고 우주 향하는 인류의 도전
과학동아
l
200402
1997년부터 세계일주 비행에 도전했는데 2002년 6번째만에 성공했다. 포셋은 미 워싱턴에
위치
한 스미소니안박물관에 자신이 사용했던 곤돌라를 기증했다. 재미있는 사실은 이 곤돌라를 제작한 사람이 지난해 9월에 최고고도비행에 도전했던 엘슨이라는 것이다.포셋의 모험적인 삶은 지금도 계속되고 ... ...
2. 가정_집이 곧 컴퓨터다
과학동아
l
200402
집안 곳곳에 설치된 카메라로 사람들의
위치
를 추적하고 시선을 인식해 적당한
위치
에 정보를 투영하는 기술이다. 앞으로 집안의 모든 벽면들은 빔프로젝터를 위한 화면으로 바뀌게 된다. 또한 이를 응용할 경우 허공에 리모콘 모습을 비춰놓고 손가락 움직임만으로 정보를 입력하는 가상 ... ...
밤하늘에 핀 장미한송이
과학동아
l
200401
크다. 이 성단에서 가장 밝은 별은 5.8등급의 노란색 별로서 나란한 두줄의 끝 부분에
위치
해 있다. 다른 별들은 푸른색의 별들로 그 모습이 상당히 인상적이다. 성단을 이루는 별들의 수는 대략 20여개를 헤아릴 수 있다.성단의 주변은 엷은 커튼이 드리워진 것처럼 다소 답답한 느낌을 얻는다. 이것이 ... ...
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시간을 알았을까
과학동아
l
200401
사람들이 휴대하고 다니기도 했다. 해시계는 해가 움직이면서 변하는 그림자의
위치
를 보고 시간을 측정한다. 따라서 한양에 있는 해시계와 강릉에 있는 해시계의 눈금은 동시에 읽으면 정확히 일치하지 않았을 것이다. 한양과 강릉 하늘에 떠있는 해의 고도가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이 외에도 ... ...
이전
256
257
258
259
260
261
262
263
2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