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DNA"(으)로 총 616건 검색되었습니다.
-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 면역 체계, 돌연변이 방어할 수 있나?2021.01.15
- RNA와 DNA 절편을 접종하는 형태이다. 생백신, 사백신, 혹은 단백질 백신보다 RNA/DNA를 기반으로 하는 백신(화이자, 모더나, 아스트라제네카, 얀센 백신 등)은 업데이트가 쉽다는 장점이 있다. 백신 개발 플랫폼은 기존 그대로 이용하면서 돌연변이에 대응하여 맞춤형으로 염기서열을 바꾸기만 하면 ...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 바이러스 변이체 위협적인가? 2021.01.12
- 판독 과정을 거치지 않기 때문에 1000~100,000개 염기 당 1개의 비율로 에러를 일으킨다. DNA 중합 효소보다 약 1,000배 이상 에러 확률이 높다.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유전체는 약 30,000개 염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대략 3개의 바이러스가 생산될 때마다 1개의 돌연변이가 생긴다. 돌연변이는 모든 ... ...
- 코로나 백신 만드는 mRNA 원리 설명할 새 분석방법 개발동아사이언스 l2021.01.11
- 분석하고 정량화하는 새로운 방법을 찾았다고 11일 밝혔다. mRNA는 인간의 몸속 DNA에서 전사되거나 코로나19 mRNA 백신처럼 외부에서 전달될 수 있다. mRNA는 RNA가 단백질을 만들도록 하는 설계도 역할을 한다. 이 과정에서 몸 속 RNA 결합단백질이 RNA와 상호작용을 하며 단백질을 만든다. 이 과정을 ... ...
- [코로나 과학전쟁] PCR보다 빠르고 간편한 분자진단 기술 나온다동아사이언스 l2021.01.11
- 논문 사전 공개사이트 ‘메드아카이브’에 공개했다. 크리스퍼 유전자가위는 특정 DNA 염기를 찾아가 원하는 부위를 잘라내는 기술이다. 난치성 유전질환 치료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연구진은 코로나19 바이러스 RNA를 찾아가는 가이드RNA에 형광입자를 붙였다. 가이드RNA가 바이러스 ... ...
- 유전자 가위 노벨상 받고 다시 세기 특허전쟁 속으로 동아사이언스 l2021.01.11
- 일어나고 있다. 2014년부터 생명공학계의 혁명으로 불린 크리스퍼 유전자가위는 DNA의 특정 염기를 잘라내 난치성 유전질환 치료가 가능한 기술로 향후 수입억 달러(수조원)의 가치를 지닌 것으로 평가된다. 생명공학 분야에서 이른바 ‘세기의 특허전쟁’에 한국의 바이오기업이 판세를 흔들고 ... ...
- GMO 규제하던 영국, 유전자 편집 작물 허용하나2021.01.10
- 항생제 사용을 줄일 수 있다. 유전자가위 기술은 유전질환을 유발하는 특정 부위의 DNA 염기를 잘라내 교정하는 기술이다. 스웨덴 왕립과학원 제공. 하지만 동물과 환경단체 등지에서는 유전자 편집도 윤리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 동물보호단체인 ‘컴패션 인 월드 파밍’의 피터 ... ...
- [사이언스N사피엔스] DNA의 이중나선 구조2021.01.07
- 직감했다. 케임브리지로 돌아간 왓슨은 크릭과 함께 이중나선을 기본골격으로 하는 DNA 분자구조를 만들기로 작심했다. 그러나 이중나선이라고 해도 당-인산의 뼈대를 안쪽에 두고 염기가 바깥으로 뻗어있는 식으로는 만족스런 결과를 얻지 못했다. 극적인 돌파구는 이 발상을 뒤집는 데에서 열리기 ... ...
- 신축년 코로나19 극복의 해 될까…치료제 여기 있'소'동아사이언스 l2021.01.04
- 소 연구를 포함한 것이다. 소는 좋은 항체 공장으로 꼽힌다. 동물의 면역과 관련한 DNA를 바꾸면 인간에게 쓸 수 있는 항체를 생산할 수 있는데 소는 이것이 가능한 동물 중 몸집이 가장 크다. 항체를 담은 혈액량 자체가 많을뿐더러 인간 혈액보다 항체 농도도 2배 높다. 에디 설리번 SAb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팬데믹의 희망과 과학자의 고난2020.12.31
- 바이러스의 상당수는 RNA를 유전물질로 사용한다. 코로나19 바이러스도 마찬가지다. DNA의 정보가 단백질로 번역되기 위해서는 메신저RNA(mRNA)라는 중간단계를 거쳐야 한다. 전령RNA라고도 불리는 mRNA는 단백질을 구성하는 아미노산 서열의 정보를 가진 핵산의 한 종류이며, 세포핵에서 전사라는 ... ...
- "정부 R&D는 20% 불과...이젠 민간 못하는 역할 고민할 때" 과기자문위 부위원장의 쓴소리(재종합)동아사이언스 l2020.12.29
- 배분하는 대신 결과는 책임연구기관과 부처가 책임지라는 것이다. 염 부의장은 “DNA나 항체백신은 기업에서 기술을 갖춘 만큼 곧 개발될 것”이라며 “하지만 화이자나 모더나가 개발한 mRNA 백신은 기초역량이 약해 어렵다”고 말했다. 김빛내리 서울대 교수가 세계에서도 손꼽히는 mRNA의 ... ...
이전2122232425262728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