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알력
충격
불화
싸움
격돌
접촉
불일치
스페셜
"
충돌
"(으)로 총 393건 검색되었습니다.
국제우주정거장 파편 피해 회피기동…우주비행사도 "대피"
연합뉴스
l
2020.09.23
이하 한국시간) 원래 궤도에서 고도를 높이는 '회피기동'을 통해 미확인 우주 쓰레기와의
충돌
위기를 넘겼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ISS가 이날 오전 7시21분께 미확인 파편이 불과 1.39㎞ 이내로 지나갈 것으로 예측됨에 따라 약 1시간 전인 6시 19분께 150초간 고도를 올리는 회피기동을 했다고 ... ...
1조5000억원짜리 중이온가속기 구축사업 또 ‘삐걱’...일정 연장 불가피
동아사이언스
l
2020.09.17
가장 무거운 원자핵을 가진 우라늄 입자를 무거운 이온 상태로 가속시켜 다른 표적에
충돌
시킨다. 이때 2차로 생성되는 입자를 이용해 주기율표 상에 존재하지 않는 원소를 찾아내 우주 탄생의 근원을 연구한다. 희귀 동위원소를 발굴해 암 치료 등 의료 분야에도 활용할 수도 있다. 중이온가속기는 ... ...
[화보+]영국 그리니치왕립천문대 선정 올해의 천문사진
동아사이언스
l
2020.09.13
모습이다. 달 남극에 위치한 티코 크레이터를 촬영했다. 티코 크레이터는 지름 85km의
충돌
분지로 약 1억년 전 생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달에서 가장 유명한 분화구 중 하나다. 파란색은 산화티나늄, 빨간색은 산화철 농도를 나타낸다. 달 부문에서 수상했다. 루카즈 수즈카/영국 그리니치왕립천문대 ... ...
소행성 베누, 표면은 살아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10
지구와
충돌
위험이 큰 소행성으로 분류된다. 22세기 말에는 2700분의 1 확률로 지구와
충돌
할 가능성이 있다. 이에 NASA는 베누 탐사를 위해 2016년 탐사선 오시리스-렉스를 발사했다. 이 탐사선은 2018년 12월 베누에 도착한 후 베누를 돌며 탐사를 진행하고 있다. 베누에서 돌조각이 떨어져 나오는 ... ...
지금까지 발견된 가장 큰 블랙홀 병합 중력파로 첫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0.09.02
블랙홀로, 이들 역시 이전 병합에 의해 탄생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또 이 두 블랙홀의
충돌
로 태양 질량의 142배인 중간질량 블랙홀이 탄생했음을 처음 확인했다. 중간질량 블랙홀의 존재를 직접 확인한 첫 연구이자, 이 블랙홀이 병합 과정으로 탄생한다는 사실을 증명한 첫 사례다. 라이고 ... ...
"안드로메다 은하 둘러싼 가스 우리 은하와 이미
충돌
중"
연합뉴스
l
2020.09.01
이는 우리 은하와의 거리에서 절반을 넘어선 것으로 우리 은하의 헤일로와 이미
충돌
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연구팀은 해석했다. 배경 속 점은 퀘이사를 나타낸다. [NASA, ESA, and E. Wheatley (STScI)/ 재판매 및 DB 금지] 또 안드로메다 은하의 헤일로 가스가 두 개의 주요 층으로 구성된 것도 ... ...
공기에 떠다니는 바이러스 빠르게 측정하는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31
기존에는 진공청소기처럼 압력을 이용해 입자를 가속한 뒤 액체나 고체 물질에
충돌
시켜 채집하는 방식을 썼지만, 0.03~0.1㎛(마이크로미터, 1㎛는 100만 분의 1m) 크기의 작은 입자는 10%도 채집하지 못하는 등 기능에 제한이 있고 채집 과정에서 바이러스가 손상되는 단점이 있었다. 연구팀은 전기장을 ... ...
별 헤는 밤 망치는 우주쓰레기 어이할꼬
동아사이언스
l
2020.08.25
깊어져 가고 있다. 아무리 추적을 한들 인공위성의 숫자 자체가 늘어나면 우주 쓰레기와
충돌
할 가능성이 많아진다는 것이다. 인공위성의 숫자가 늘면 천체 관측에 장애를 주고 전파방해를 초래할 수도 있다. 데이브 클레멘츠 영국 임페리얼칼리지런던 천체물리학과 교수는 “수만 개의 ... ...
충돌
확률 0.41% 지름 2m짜리 소행성 지구로 접근한다는데…
동아사이언스
l
2020.08.24
소행성이 지구와
충돌
할 확률은 수백만 분의 1이라고 한다"며 "그런 점을 놓고 봤을 때
충돌
할 확률이 낮지는 않다"고 설명했다. 이어 "5m 아래 소행성들은 크기가 작아 관측이 힘들다"며 "통상 지름 5m 아래 소행성은 1년에 1~2개 지구 대기권에 들어오는 것으로 추정한다"고 말했다. NASA는 “소행성 ... ...
소행성 '세레스' 땅 속엔 거대한 소금 호수가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11
화산을 관찰했다. 돈은 2018년 6월에서 10월까지 세레스 표면 35km에 다가가 오카토르
충돌
구 탐사를 하는 마지막 임무를 진행했다. 돈은 연료가 고갈돼 임무를 마쳤으나 세레스에 유기물질이 있고 물이 있는 것으로 추정돼 NASA 행성 보호 규칙에 따라 세레스 궤도를 수십 년간 더 돌기로 했다. 탐사선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