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지금"(으)로 총 3,847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기원은 지금] KAIST 연구진 "노화로 뇌막에 당 쌓인다" 外동아사이언스 l2023.03.16
- 왼쪽부터 김필남 KAIST 교수, 정용 교수, 김효민 박사과정생. KAIST 제공 ■ 김필남·정용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 연구팀은 노화 때문에 당이 뇌를 감싼 뇌막에 축적된다는 연구를 국제학술지 세포노화에 지난달 28일 공개했다고 15일 밝혔다. 뇌막 자체에 초점을 둬 당 축적에 따른 뇌막 변성·기능 ... ...
- [과기원은 지금] KAIST, 암세포 특이적 약물 전달을 위한 단백질 조립체 개발 外동아사이언스 l2023.03.15
- 김학성 KAIST 생명과학과 교수 연구팀의 '암세포에만 약물 전달 가능한 클라트린 조립체 개발'이 표지논문으로 실린 국제학술지 '스몰' 2월호 표지. KAIST 제공 ■ KAIST는 김학성 생명과학과 교수 연구팀이 암세포에 특이적으로 약물을 전달할 수 있는 클라트린 조립체를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생체 ...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18세기 말 키 2.3미터 거구 시체의 해부2023.03.14
- 후 돈으로 갚는 일도 현재는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존 헌터가 의학발전에 공헌한 것은 지금은 받아들여지지 않는 당시의 시대상황이 도움을 준 셈이다. 다른 여러 사람들의 기록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존 헌터는 목적지향성이 뚜렷하고, 온화하거나 윤리의식이 있는 좋은 성격의 소유자는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타인의 시선에서 생각하기 능력의 중요성2023.03.11
- Science, 17(12), 1068–1074. https://doi.org/10.1111/j.1467-9280.2006.01824.x ※필자소개 박진영. 《나, 지금 이대로 괜찮은 사람》, 《나를 사랑하지 않는 나에게》를 썼다. 삶에 도움이 되는 심리학 연구를 알기 쉽고 공감 가도록 풀어낸 책을 통해 독자와 꾸준히 소통하고 있다. 온라인에서 '지뇽뇽'이라는 ... ...
- [과기원은 지금] KAIST, 기존 대비 50배 우수 데이터 압축기술 개발 外동아사이언스 l2023.03.10
- 신기정 KAIST 김재철인공지능(AI)대학원 교수. KAIST 제공 ■ 신기정 KAIST 김재철인공지능(AI)대학원 교수 연구팀은 9일 기존 대비 50배 이상 우수한 압축률의 데이터 압축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약 2억 건의 비디오 시청 내역 데이터를 10KB 크기로 압축할 수 있는 기술이다. 연구는 오는 5월 미국에서 ... ...
- [과기원은 지금] DGIST 학생 창업기업, 랩 스타트업 배틀 최우수상·우수상 수상동아사이언스 l2023.03.08
- 왼쪽부터 김지현 큐어 대표, 박진영 티아 대표.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제공 ■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학생 창업팀 ‘큐어’와 ‘티아’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최한 실험실 창업 페스티벌 ‘랩 스타트업’에서 각각 최우수상 및 우수상을 수상했다고 7일 밝혔다. 최우수상을 수상한 ... ...
- [과기원은 지금] KAIST 연구팀, 새로운 암 면역치료법 개발동아사이언스 l2023.03.07
- 신의철(왼쪽) KAIST 의과학대학원 교수와 박수형 KAIST 의과학대학원 교수. KAIST 제공 ■박수형 KAIST 의과학대학원 교수 연구팀은 신의철 KAIST 의과학대학원 교수, 서성일·강민용 삼성서울병원 교수 연구팀과 종양 내 ‘조절 T 세포’를 제거하는 새로운 암 면역치료법을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조절 T ... ...
- [박정연의 닥터스] "복용 약 이력 알려주고 믿을만한 건강 동영상도 추천"동아사이언스 l2023.03.06
- 9 시기 비대면 진료가 제한적으로 허용되면서 다양한 의료 관련 IT 서비스들이 등장했다. 지금부터는 환자에게 정말 필요한 서비스만 살아남을 것이라 생각한다. 실제 진료 현장에서 환자와 의사의 편의성을 제고하는 동시에 의료서비스의 질을 저하시키지 않는 것이 핵심이다. 또 IT 기반 서비스로 ...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항생제 내성균은 세균이 진화하는 증거2023.02.28
- 그런지 우리나라는 다른 나라에 비해 항생제 내성을 지닌 결핵이 많아서 앞으로도 지금처럼 치료가 잘 될지 알 수 없는 게 문제다”라고 걱정하시던 교수님 말씀과 다르게 꾸준히 환자가 줄어들고 있는 것이 다행이라 할 수 있다. 계속해서 결핵 환자가 줄고 있는 것은 약을 남용하지 않고 ... ...
- [과기원은 지금] KAIST, RNA 합성에서 합성 종결 인자 '멈춤의 역할' 규명동아사이언스 l2023.02.28
- 종결인자 단백질 로(Rho)에 의한 끝내기 세 갈래의 진행 속도와 조절 양상의 차이. KAIST 제공 ■ KAIST는 강창원 생명과학과 명예교수와 홍성철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 공동 연구팀이 RNA 합성 종결 인자의 동역학적 특성을 발견하고 이 특성이 유전자 발현 조절에 미치는 생물학적 기능을 규명했다 ... ...
이전2122232425262728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