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취
부식
감화
소량 가미
옮겨 붓기
주사
포화
스페셜
"
주입
"(으)로 총 434건 검색되었습니다.
[백신 업데이트]노바백스도 임상2상 돌입…임상 중인 코로나 백신 36종
동아사이언스
l
2020.09.18
공식 합류했다. 노바백스는 바이러스 등 병원체 일부의 단백질을 재조합한 뒤 체내에
주입
해 면역 반응과 항체 형성을 유도하는 재조합 단백질(또는 단백질 합성) 방식 가운데 가장 개발 속도가 빠르다. 재조합 단백질 방식은 구제역이나 폐렴구균 등 여러 상용화 백신이 나온 안정적인 백신으로 ... ...
[백신 업데이트]화이자 백신 '중간 또는 경미' 부작용…"우려할 수준 아냐"
동아사이언스
l
2020.09.16
화이자가 개발한 코로나19 백신은 바이러스 유전물질(mRNA)을 특수 포장해 인체에
주입
하는 핵산 백신이다. 마이크로소프트(MS) 창업자인 빌 게이츠가 꼽은 코로나19 백신 개발의 선두주자다. 지난 7월부터 미국 39개 주와 아르헨티나, 브라질, 독일에서 3만명을 대상으로 임상을 3상 진행하고 있다. ... ...
“코로나와 공존하는 박쥐에게서 극복 전략을 배우자”
동아사이언스
l
2020.09.09
갖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며 “벌거숭이 두더지쥐에 있는 특정 요소를 일반 쥐에
주입
해 실험한 결과 수명이 늘어났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소개했다. 고부노바 교수는 “이같은 비교생물학을 통해 노화를 억제하고 퇴행성 질환에 대응하기 위한 방법을 찾을 수 있다”며 ... ...
[백신 업데이트]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암초' 불구 3상 돌입 후보 9종
동아사이언스
l
2020.09.09
핵산 백신을, 중국 기업 시노팜과 시노백이 바이러스 자체 화학적으로 처리한 뒤 체내에
주입
하는 불활성화 바이러스 방식 백신을 개발 중이다. 임상 1~3상에 들어간 전체 백신 후보물질 수는 사노피와 GSK의 합류로 지난주보다 1개 증가한 34개로 나타났다. ●주요 제조사들 "안전성 확인 뒤 승인 ... ...
옥스퍼드대-아스트라제네카 코로나 백신 임상 3상 '일시중단'…"부작용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0.09.09
차량처럼 이용해, 그 안에 코로나19 바이러스 항원을 만들 수 있는 유전자를 넣어 인체에
주입
하는 벡터(전달체) 방식 백신이다. 임상 3상에 돌입한 9종의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 가운데 4종이 이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벡터 방식 백신은 아직 실제 접종이라는 ‘실전’을 많이 겪지 않은 새로운 ... ...
[백신 업데이트] 논란의 러시아 코로나 백신 임상 1/2상 결과 첫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0.09.06
다른 바이러스의 게놈에 코로나19 항원을 생산할 수 있는 유전자를 끼워 넣어 체내에
주입
하는 벡터(전달체) 방식의 백신이다. 영국 옥스퍼드대와 아스트라제네카가 개발 중인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과, 중국 기업 캔시노와 중국군사의과학원이 개발중인 백신 후보물질이 이 방식을 따르고 있다. ... ...
[사이언스N사피엔스]파스퇴르와 백신의 등장
2020.09.03
그러다가 우연히 (실수였다는 얘기도 있다.) 몇 주일 방치된 닭 콜레라균을 건강한 닭에
주입
하게 되었다. 놀랍게도 이 닭은 죽지 않고 살아남았다. 여기에 다시 생생한 닭 콜레라균을 투입하자 여전히 닭은 죽지 않았다. 파스퇴르는 방치된 닭 콜레라균의 독성이 약해진 것이 원인이라 생각해 여러 ... ...
[백신 업데이트] 임상 3상 진입 백신 8종에 中·러 후보물질도 공식 포함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31
있는 유전자를 준비한 뒤 안정적이며 인체에 무해한 다른 바이러스에 끼워 넣어 체내에
주입
하는 전달체(벡터) 방식이다. 캔시노는 인간형 아데노바이러스를 이용하고 가말레야 연구소는 5형 아데노바이러스와 26형 아데노바이러스 두 가지를 혼합해 사용한다. 두 곳 외에 역시 임상 3상 중인 영국 ... ...
몸속 아픈 곳 찾아가 약 주고 스르르 녹는 초소형 캡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8.29
유연한 소자 덕분에 초소형 삽입수술도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기존의 주사
주입
형 약물전달보다 저용량으로 필요 부위에 직접 전달함으로써 약물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고, 반복적인 약물치료 시 추가 수술 없이 약물전달이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구 교수는 “환자 맞춤형 ... ...
건강한 피, 뇌졸중을 치료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28
증상 완화를 위해 투여한 사례가 전부다. 과학자들은 최근 단순히 '젊은 피'를
주입
하는 것보다 혈액에 들어 있는 노화나 치매에 관련된 성분만 추출해 활용하는 방법을 찾고 있다. 위스코레이 교수팀은 지난해 12월 혈액 내 단백질을 분석하면 사람의 나이를 예측할 수 있다고 국제학술지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