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모두
전체
일체
모든
완전
완비
큰 도끼
스페셜
"
전부
"(으)로 총 320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나무로 지은 아파트에서 사는 시대 올까?
2017.05.30
2014년 학술지 ‘지속가능한 임학 저널’에 실린 논문에 따르면 철골과 철근콘크리트를
전부
목재로 대체할 경우 이산화탄소 발생량을 무려 31%나 줄일 수 있다고 한다. 100% 대체한다는 건 현실적이지 않지만 그만큼 효과가 크다는 말이다. 그러나 목조 건물의 비율이 늘어날 경우 목재를 구하기 위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왜 어떤 사람들은 오이를 싫어할까?
2017.04.18
러닝과 존 헤이스는 글 말미에 음식의 선호도에서 선천적인 요소가 크게 작용하지만
전부
는 아니라고 언급했다. 음식이 웬만하면 먹고살기 마련이라는 것이다. 그럼에도 오싫모의 경우처럼 어떤 음식을 강하게 거부한다면 거기에는 그럴만한 이유가 있을 것이고 아마도 그 배경에는 생물적 기반이 ... ...
11만 년 전 동아시아에는 머리가 아주 큰 사람이 살았다
2017.03.14
데니소바인이 어떤 인류였는지 알지 못한다”며 “우리가 아는 건 그들의 DNA서열이
전부
”라며 선을 그었다. 물론 연구자들 역시 궁금한 건 마찬가지였고 뼈 조각 세 개에서 DNA 추출을 시도했지만 다 실패했다. 중국 남부 후난성에서 발굴된 약 10만 년 전 호모 사피엔스의 치아로 현대인의 치아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박테리아도 튜링테스트 받았다
2017.02.14
이 유전자를 발현시켜 단백질로 번역할 수 있는 ‘전사/번역 시스템’이 들어 있는 게
전부
다. 따라서 단백질을 만드는 일(대사에 해당)은 제한된 범위 내에서 할 수 있지만 세포분열은 커녕 시간이 얼마 지나면 깨져 사라질 운명이다. 그렇다면 왜 합성생물을 만드는 시대에 인공세포를 연구할까. ... ...
[지뇽뇽의 色수다] (ep9) 나이들수록 성적 만족도 떨어진다?
2017.01.22
감소 추세가 가파르게 나타나기도 하다. 하지만 중요한 사실은 나이와 성의 관계는 그게
전부
가 아니라는 점이다. GIB 제공 가장 최근 미국에서 큰 규모로 실시된 연구를 하나 살펴보자. 참가자는 총6278명 이었으며 자료는 9년 간격으로 1995, 2004, 2013 총 세 번 수집되었다. 성적만족도(sexual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성공, IQ보다 성격에 달렸다?!
2017.01.10
자연스러운 현상일 것이다. GIB 제공 ● Hard skill? Soft skill? 이러한 성격의 중요성은 이
전부
터 주목 받아 왔다. 어떤 학자들은 IQ같은 인지적 능력을 hard skill, 성격 같은 특성을 soft skill로 구별하면서 사실 성적 못지 않게 ‘취업’같은 영역도 사회성 같은 soft skill들에 크게 좌우될 것이라고 이야기 ... ...
[카드뉴스] 우리가 사는 세계가
전부
가 아니다, 영화 맨 인 블랙
동아사이언스
l
2016.12.21
IBS 제공 IBS 제공 IBS 제공 IBS 제공 IBS 제공 IBS 제공 IBS 제공 IBS 제공 IBS 제공 IBS 제공 * 본 콘텐츠는 기초과학연구원의 온라인 뉴스레터 IBS 뉴스레터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 기초과학연구원(IBS) 뉴스레터 구독신청 ...
서민이 보수정당에 투표하는 이유
2016.11.30
남성이 공공장소에서 격앙된 목소리로 불법 이민자들이 아주 큰 문제이며 이들을
전부
내쫓아야 한다는 이야기를 해서 의아했던 적이 있었다. 이민자를 반대하는 정서가 생기면 가장 큰 불이익을 볼 대상들이 히스패닉계일 것이기 때문이다. 왜 본인에게 불리할 이야기를 하는 걸까? 하지만 다시 ... ...
사이비 종교에 빠지면 빠져나오지 못하는 이유
2016.11.09
이렇게 종교가 단순한 사회적 활동 이상으로 개인의 정체성과 사회적 관계, 도덕관
전부
를 형성하고, 신비함, 사회적 규범, 집단적 압력과 권위 등을 통해 사람들을 압박할 때 사람들은 그 내용이 어떤 것이든 거기에서 벗어나기 어려울 수 밖에 없다. 이런 요소가 클수록 집단 내에서 문제가 ... ...
‘이해하는 것’과 '행동하는 것’은 별개!
2016.11.05
관계적인 문제나 일상 생활 속의 스트레스 등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도록 한다. 이 과정은
전부
동의 하에 촬영되었다. 둘 중 한 명이 주로 ‘이야기 하는 사람(화자)’을 맡고 다른 한 명이 ‘듣는 사람(청자)’의 역할을 맡았다. 그런 다음 청자들로 하여금 촬영된 화면을 다시 보게 한다. 청자들이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