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술자
학자
명수
숙련가
권위자
기교가
프로
스페셜
"
전문가
"(으)로 총 310건 검색되었습니다.
현장의 목소리로 들어본 한국 생명공학의 미래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습니다. 지금까지 정부의 정책 연구는 대부분 몇몇
전문가
들의 소규모 자료조사를 통해 이뤄졌습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정책연구 결과가 일반에 공개되지 않고 과학계 현장의 정보를 반영하기에 부족한 점이 많았습니다. 동아사이언스와 ... ...
“기반 기술 ‘나노’, 이제는 산업화에 주력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공동으로 기획 시리즈 ‘나노人’을 시작합니다. 국내외에 나노기술 과학자, 정책
전문가
를 찾아가는 릴레이 인터뷰 시리즈를 매월 두 차례 소개하고 있습니다. 독자 여러분의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
나노 원천기술 개발 비결은? “공동연구가 해법이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공동으로 기획 시리즈 ‘나노人’을 시작합니다. 국내외에 나노기술 과학자, 정책
전문가
를 찾아가는 릴레이 인터뷰 시리즈를 매월 두 차례 소개할 예정입니다. 독자 여러분의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
세상을 바꾸고, 미래를 선도하는 혁신기술_반도체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기존 반도체기술에 한계가 왔다는 분석이 과학자와 공학자 사이에서 제기되기 시작했다.
전문가
들에 따르면 현재 반도체기술 발전은 포화단계에 이르렀으며, 향후 5년, 길게는 10년 안에 기존 반도체기술로는 무어의 법칙이 폐기될 것이라고 한다. 이미 인텔과 삼성 등의 기업들은 한계를 감지하고 ... ...
미래창조과학부 성공의 조건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04.30
심판을 겸하고 있다"는 비판을 듣지 않도록 원칙을 분명히 세워야 한다는 점이다. 민간인
전문가
를 영입해 권한을 분산시키는 해결책도 제기되고 있다. 넷째는 교육과학기술부와의 차별성 확보다. 지난 정부는 교육과 과학기술을 하나로 묶어 많은 비판을 들었지만 창의교육과 산학협력 등에 ... ...
연구실 사고조사반원 위촉장 수여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o 사고조사반은 사고조사단 중에서 선정한 3명과 사고발생 기관의 장이 추천하는
전문가
1명 및 담당공무원 등 5명 내외로 즉시 구성하여 사고현장에 파견하게 된다. o 사고조사반의 주요 임무는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의 이행여부와 사고원인 및 사고경위 조사, 사고발생 ... ...
의공학 미래, 의사와 공학자의 소통에 달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15
주장한다면 아무리 좋은 기술이 있어도 의료기기 개발로 이어지긴 어렵다”고 지적했다.
전문가
들은 정부도 개별적으로 진행되는 사업에 지원하기보다 기초원천기술에서 산업화까지 전주기적 구도를 가지고 우선순위를 정해 투자할 필요가 있다고 입을 모았다. 최정우 서강대 화공생명공학과 ... ...
과학수사도 ‘콘트롤 타워’ 필요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3.31
국가연구개발사업개선 및 선진화 방안 연구’ 토론회 모습. 각계
전문가
가 패널토론자로 나섰다. 이상진 고려대 교수는 “생명과학기술은 물론 컴퓨터분야 법과학인 ‘디지털포렌식’ 역시 강화하자”고 제안했다. 이승환 대검찰청 디엔에이수사담광관실 실장은 “과학수사 연구는 정부 출연과제 ... ...
“대한민국 이종이식 연구, 9년 간의 성과를 공개합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3.13
이런 상황에서 이종이식 분야 연구현황을 이해하고 국내 연구 실태를 알아보기 위한
전문가
토론회가 열렸다.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는 12일 서울 서초구 반포동 서울팔래스호텔에서 ‘이종이식 현황 고찰 및 원천기술 확보 전략’이라는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했다. ●세계 손꼽히는 연구그룹 ... ...
“미래창조과학부 핵심은 ICT아닌 BMT돼야”
동아사이언스
l
2013.02.25
제대로 내지 못하는 연구자를 퇴출시킬 수도 있어야죠. 또 우리나라에 있는 분야별
전문가
가 소수인 만큼 잘 융합해서 좋은 결과를 만들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해야 합니다.” 박 본부장은 연구단지의 가장 큰 장점을 ‘다른 배경이나 생각을 가진 사람 간 소통’이라고 강조했다. 거리가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