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극치
비정상
전형
꿈
포부
미래상
희망
스페셜
"
이상
"(으)로 총 5,759건 검색되었습니다.
[의학사로 보는 세상] 시대가 질병을 만든다
2023.01.31
창립하여 과학적 사고 발전에 큰 역할을 했다. 19세기에 피르호(Rudolf Virchow)는 세포의
이상
이 병을 일으킨다고 주장했고, 코흐(Robert Koch)는 세균이 감염병의 원인이라 주장하면서 이를 증명할 수 있는 4원칙을 정립했다. 이 둘의 업적에 의해 세포병리학과 세균학이 크게 발전했다. 의학이 한층 ... ...
[표지로 읽는 과학] 죽어가는 아마존 산림의 민낯
동아사이언스
l
2023.01.29
사이언스 제공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벌채로 허허벌판이 된 브라질 아마존 산림의 모습을 27일 표지로 실었다. 아마존 산림은 인간 활동의 결과로 빠르게 ... “산림 파괴는 이산화탄소 배출과 생물다양성 손실에 악영향을 미친다”며 “더
이상
의 산림 파괴를 막아야 한다”고 밝혔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예상을 뛰어넘는 단백질 합성의 세계
동아사이언스
l
2023.01.28
의문을 제기하고 유전질환을 치료하는 데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3분의 1
이상
의 유전질환과 상당수의 암은 정지코돈이 너무 빨리 나타나는 돌연변이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칼륨 섭취 많을수록 건강...생물체에서 나트륨은 '조연'
2023.01.25
안)에는 칼륨이 10배나 더 많고 인체의 전체 세포 부피가 혈장/세포외기질 부피보다 두 배
이상
큰 결과다. 놀랍게도 동물뿐 아니라 식물, 심지어 바다에 사는 미생물조차 세포질에는 칼륨이 나트륨보다 훨씬 많다. 그렇다면 나트륨보다 칼륨이 생물에게는 더 중요한 원소가 아닐까. 실제 다양한 ... ...
[표지로 읽는 과학] 대규모 핀란드인 유전자 분석...질병 원인 밝힌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1.21
이번 연구에서는 현재까지 등록된 22만4737명의 유전체 정보를 분석했다. 연구팀은 1900개
이상
의 질환을 대상으로 관련이 있는 유전자 돌연변이를 찾아 나섰다. 분석 결과 681개의 서로 다른 질환에 영향을 미치는 1838개의 유전자 돌연변이를 발견했다. 질환을 일으킬 잠재적 위험이 있는 유전자 ... ...
[과기원은 지금] KAIST, 전자구조 제어 기술을 통한 고성능 리튬-황 전지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1.20
배경을 설정하는 시라고 봤다. 이번 연구를 담은 논문은
이상
문학회가 발행하는 '
이상
리뷰' 18호에 지난달 30일 게재됐다. ■ 포스텍은 조동우 기계공학과 교수와 김준영 건국대 수의과대 교수 공동 연구팀이 각막 재건을 위한 ‘세포외기질 기반의 점착성 실란트’를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이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엉터리 문·이과 ‘통합’에 대한 내로남불식 사과
2023.01.18
문·이과 구분 교육의 정체조차 파악을 못하면서 외치는 어설픈 ‘짝퉁 통합’은 더
이상
설 자리가 없다. 겉으로는 ‘통합’을 외치면서 돌아서서는 뜬금없이 ‘맞춤형’을 외치는 ‘고교 학점제’를 시행하겠다는 고집도 버려야 한다. 맞춤형을 핑계로 과도한 편식을 허용하는 반(反)교육적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헬리코박터가 한세기 늦게 알려진 이유
2023.01.17
점막부위에서 세균집락을 발견하고, 그 세균이 궤양의 원인이 될 것이라 주장했지만 더
이상
의 증거를 찾지는 못했다. 또 1881년에 독일의 클렙스(Edwin Klebs)도 위에서 살고 있는 막대모양의 세균을 발견했다고 주장했다. 1889년에 폴란드의 야보로스키(Walery Jaworski)는 자신이 발견하여 Vibrio rugula라 ... ...
[표지로 읽는 과학] 2100년 지구 빙하 절반이 사라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1.08
자랑한다. 하지만 앞으로 약 100년 뒤면 지금과 같이 거대한 쿰부 빙하의 모습을 더
이상
보지 못하게 될 수 있다. 데이비드 라운스 미국 카네기멜론대 교수 연구팀은 지구 평균 기온을 산업화 이전 보다 1.5도 이내로 제한하는 파리협정의 목표를 달성해도 2100년에는 빙하량이 크게 감소할 것이란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수천년 이어진 장기 이식...'이식용' 부족 해결해야
2023.01.03
가장 먼저 성공한 이유다. 피부이식은 자신의 것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면역기능에
이상
을 일으키지 않는다는 점이 워낙 오래 전부터 행해질 수 있었던 비결이다. 과거에 골수이식이라는 용어를 많이 사용한 것은 뼈 속에서 골수가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을 생산하는 골수를 이식했기 때문이다.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