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량
브리지
육교
leg
브릿지
넓적다리
대퇴
스페셜
"
다리
"(으)로 총 287건 검색되었습니다.
눈(雪) 위의 스포츠! 스키와 스노보드 정복하기
KISTI
l
2015.02.16
땅에 닿으면서 전체가 평평해져 미끄러짐이 극대화된다. 반면에 턴을 할 때는 몸과
다리
를 한쪽으로 기울여 ‘에지(edge)’라 불리는 플레이트 양쪽 날이 눈 속을 파고들게 한다. 이때는 캠버가 수평보다 더 아래로 내려가는 ‘리버스 캠버(reverse camber)’ 현상이 발생해 마찰력이 커진다. 또한 눈과 ... ...
휴머노이드, ‘에이바’가 아닌 ‘헬렌’을 꿈꾸며…
2015.01.26
키 1.2미터인 휴머노이드로 바퀴로 움직인다(치마로 가렸다). 아시모나 휴보처럼 두
다리
로 걷은 휴머노이드가 나온지 10년도 넘었는데 그보다 훨씬 못한 페퍼가 어떻게 ‘인류에게 전환점’이 될 수 있을까. 바로 로봇의 가격이다. 대량생산을 하지도 않지만 굳이 주문을 한다면 아시모나 휴보의 ... ...
로제타호가 혜성에 닿기까지
KISTI
l
2015.01.26
갖고 필레는 스크루(Screw, 회전하는 축에 날개깃을 붙인 고정 장치)가 달린 3개의
다리
와 2개의 작살로 표면에 붙도록 했다. 2014년 11월 3일 시도된 착륙에서 표면에 튕겨 나온 후 절벽 옆 그늘진 곳 자리 잡았다. 이에 태양 전지판이 전기를 만들지 못해 배터리의 방전으로 잠깐 탐사 활동을 진행한 후 ... ...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④] “생각하면 이뤄지리라”
2015.01.20
이 전극을 하반신이 마비된 토끼의 척수에 연결하고, 척수 신경신호를 근육에 연결해
다리
를 움직이게 하는 데 성공했다. 수술 없이 뇌파를 읽어내는 장치도 개발 중이다. 박광석 서울대 의대 의공학교실 교수팀은 등산용 모자처럼 생긴 장치를 쓰고 생각만으로 휠체어를 조종하는 데 성공했다. 이 ... ...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③] 장애인 돕는 인공 팔
다리
2015.01.20
이를 이용한 노약자의 팔 운동을 보조하는 기기를 개발하기도 했다. 특히 기존에는
다리
전체를 감싸는 형태가 많았지만 걸을 때 가장 많은 힘이 필요한 허벅지 근육을 보조하는 ‘반바지’ 형태의 로봇으로 만들었다. 이 로봇의 최대 장점은 입고 벗기 편하다는 것. 지금까지 개발된 웨어러블 ... ...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 ②] 맹인 없는 세상 만드는 ‘인공 눈’
2015.01.20
2mm 정도만 열어도 이식이 가능하다. 이렇게 이식 한 장치는 카메라가 달린 안경
다리
와 무선으로 연결해 신호를 주고 받으며 시신경에 정보를 전달한다. 아직 임상실험은 시작하지 않았지만 토끼 등을 통한 동물실험에는 이미 성공했다. 연구팀은 이 기술을 실제 환자 치료에 적용하려면 모든 ... ...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 ①] 청각장애 없앨 ‘인공와우’
2015.01.20
기술을 총 4회에 걸쳐 연재합니다. 글 싣는 순서 ①인공청력 ②인공 눈 ③인공 팔
다리
④뇌-기계 연결기술 인공와우 시스템의 원리 - 서울대 제공 김성준 서울대 교수 소리를 듣는다는 건 매우 경이로운 작업이다. 사람이 소리를 듣기 위해서는 몇 단계의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이다.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2회]
2014.12.29
대신
다리
가 난 것. 대표적인 호메오유전자 돌연변이체들. 더듬이가 날 자리에
다리
가 달린 안테나페디아(오른쪽 위)와 날개가 넷 달린 변이체(오른쪽 아래). - 칼텍 제공 호메오유전자는 초파리(곤충)뿐 아니라 개구리(양서류), 쥐(포유류)에도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당시 유럽에서는 ... ...
손과 발이 찬 이유, 무엇 때문일까?
KISTI
l
2014.12.15
종양이 있으면 감각 인지에 이상이 생긴다. 증상은 신경병증과 마찬가지로 팔이나
다리
가 시리고 저리는 것으로 시작해 나중에는 잘 걷지 못하거나 배뇨 장애 등도 나타난다. ■ 스트레스는 손발을 얼린다 병이 아닌데도 손과 발이 차다면 스트레스가 원인일 수 있다. 우리 몸은 흥분하거나 긴장하면 ... ...
[기술이 바꾼 미래] 병든 도시를 건강한 도시로 바꾼 수세식 변기
KOITA
l
2014.12.08
얻어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다. 고대 로마인들은 식수나 관개수를 운반하기 위해 아치형
다리
위에 수로를 놓은, 이른바 수도교(水道橋)를 건설했다. 로마의 토목공학을 대표하는 수도교는 기원전 312년부터 건설되기 시작하여 기원 후 5세기까지 로마가 진출한 곳에 건설되었다. 여름에 무덥고 건조한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