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chemistry
화학기계
기계
화학물리학
물리학
자연 과학
뉴스
"
화학
"(으)로 총 7,10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NOW] KAIST-생명연 공동연구진, 간 노화 신호 파악해 질병 예측 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6.12
전사체 수준으로 분석할 수 있는 플랫폼을 개발했다. ■ 포스텍은 노준석 기계공학과·
화학
공학과·전자전기공학과·융합대학원 교수팀이 머리카락보다 수천 배 얇은 메타표면을 이용해 손전지 하나 정도의 아주 작은 전기만으로 정보를 완벽하게 숨기고 꺼낼 수 있는 혁신적인 기술을 ... ...
박남규 교수, 한국인 최초 日 'NIMS 어워드'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5.06.12
교수. 성균관대 제공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개척자로 불리는 박남규 성균관대
화학
공학과 교수가 한국인 최초로 일본 국립재료연구소(NIMS)의 'NIMS 어워드'를 수상한다. 성균관대는 12일 박 교수가 'NIMS 어워드 2025' 수상자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NIMS는 박 교수를 포함한 석학 3명을 10일 올해 ... ...
페로브스카이트와 빛의 만남 '100조분의 1초' 순간 포착
동아사이언스
l
2025.06.12
탐구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라며 "앞으로 차세대 광전소자, 양자소자 개발 및 여러
화학
반응에 적용될 응용 연구가 더욱 기대된다"고 밝혔다. - doi.org/10.1038/s41467-025-60313- ... ...
췌장암 정조준하는 치료제 개발…항체·나노전달체 결합
동아사이언스
l
2025.06.12
활동도 억제하는 효과를 보였다. 연구팀은 D3 나노바디에 ‘젬시타빈’이라는
화학
항암제를 탑재한 특수 지질 나노입자(LNP)를 더해 ‘D3-LNP-GEM’이라는 차세대 항암제도 완성했다. 암세포만 정밀하게 겨냥하는 약물을 싣고 가는 유도 미사일 탑재형 ‘스마트 약물 운반차’가 탄생한 셈이다. ... ...
비만치료제 '위고비'보다 더 센 게 온다…'차세대 4중작용제' 후보물질 등장
동아사이언스
l
2025.06.12
펩타이드 분자로 결합해 이른바 '4중작용제'를 구현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미국
화학
회지'에 지난 3일 게재됐다. 이번에 개발된 후보물질은 식욕 억제, 에너지 소비 촉진, 위에서 음식물 배출 지연 등 상이한 기전을 동시에 활용해 체중 감량 효과를 강화하는 것이 핵심이다. 기존 비만 ... ...
폐플라스틱에 햇빛 쬐니 수소 쏟아져…고효율 광촉매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6.11
현택환 나노입자 연구단 연구단장(서울대
화학
생물공학부 석좌교수), 김민호 경희대 응용
화학
과 조교수 공동연구팀이 햇빛만으로 폐페트병에서 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친환경 고효율 광촉매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수소는 최근 주목받고 있는 차세대 청정 에너지원이다. 현재 수소 ... ...
[과기원NOW] KAIST, 고비용 백금 코팅 없이도 우수한 수전해 구현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6.11
고성능 수전해를 구현할 수 있는 새로운 촉매 기술을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김희탁 생명
화학
공학과 교수 연구팀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과 공동으로 전도성과 활성도를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이리듐 산화물 촉매 구조를 구현했다. 전자 이동 저항을 줄이기 위해 촉매 입자 크기를 조절했으며 ... ...
가로세로 양방향 열전달하는 방열 소재
동아사이언스
l
2025.06.11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티리얼즈’에 4월 게재됐다. 김태일 성균관대
화학
공학부 교수. 한국연구재단 제공 - doi.org/10.1002/adfm.20242160 ... ...
中 이공계 인재 풀 더욱 두터워진다…"트럼프 정부가 불붙여"
동아사이언스
l
2025.06.10
SMART)에 정식으로 합류했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나노 과학자인 찰스 리버 전 하버드대
화학
·생물학과장이 중국 칭화대 교수진에 합류한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이 장기적으로 인재를 유치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노력을 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마리나 장 호주 시드니공과대 교수는 "중국이 ... ...
원하는 RNA만 콕 집어
화학
변형시키는 '유전자가위'
동아사이언스
l
2025.06.10
기능을 정확하고 세밀하게 연구할 수 있는 길을 열였다”며 “이번에 개발한 RNA
화학
변형 기술은 향후 RNA 기반 치료제 및 생체 내 RNA 작동을 조절하는 도구로 폭넓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유지환 KAIST 생명과학과 박사과정이 연구에 제1저자로 참여했다. 국제 학술지 ‘네이처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