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한양대학교
한양대
뉴스
"
한양대학
"(으)로 총 327건 검색되었습니다.
이공계 대학원생의 고민, 정치인에게 전달될까
과학동아
l
2016.03.31
20대 총선을 앞두고 정치권이 이공계 학생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는 자리가 마련됐다. 4월 2일(토) 오후 2시, 대전 KAIST 창의학습관 터만홀에서 '이공계 대학생과 함께하는 20대 총선 정책토론회'가 열린다. 이공계 학생대표들이 이공계 대학·대학원의 구조적 문제를 제기하고, 이에 대해 4개 원 ... ...
[웨어러블 로봇의 세계] 한국 웨어러블 로봇 기술의 현주소는?
2016.03.26
국내 웨어러블 로봇 연구는 2000년대 들어 대학과 연구소를 중심으로 시작됐다. 저출산과 고령화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면서 웨어러블 로봇이 해결책을 제시해 줄 것으로 기대했기 때문이다. 웨어러블 로봇은 작업능률을 높여 노동인구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근골격계 질환을 극복하는 데 도움을 ... ...
알파고-아이폰-카카오톡 아버지의 공통점 ‘게임’
바이라인 네트워크
l
2016.03.17
이세돌 9단과 인공지능 컴퓨터 ‘알파고’의 바둑대결이 관심을 끌면서, 신문과 TV에 자주 등장하는 인물이 있죠. 알파고의 아버지라는 별명을 가진 ‘데미스 하사비스’가 주인공입니다. 하사비스는 1976년 그리스계 아버지와 싱가포르계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습니다. 어려서부터 천재 소리를 ... ...
[AI 시대가 온다 ⑤] 과학계, ‘알파고 쇼크’에 충격
2016.03.16
과학계 대부분는 ‘알파고 쇼크’에 충격을 받은 분위기다. 인공지능(AI)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자성의 목소리도 흘러나온다. 무인기 전문가인 심현철 KAIST 항공우주공학과 교수는 “알파고를 보며 AI 기술의 발전 속도를 다시 한번 실감했다”며 “최근 미국 등에서는 IT 관련 학과가 큰 인기를 끌 ... ...
[단독]생명과학-SW 뜨고… 수학-건축 지고
동아일보
l
2016.03.14
[동아일보] 이공-자연계 인기학과 5년간 어떻게 바뀌었나 ‘공대 톱6’ 대학 경쟁률-합격선 분석 ‘대세는 바이오와 컴퓨터.’ 최근 5년 동안 주요 대학 이공계·자연계에서 생명과학이나 컴퓨터 관련 학과는 경쟁률이 오른 반면 건축이나 수학 관련 학과는 하락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아일 ... ...
황북기 교수님의 따끈따끈 실험교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02.15
독자 친구들도 추운 겨울을 과학실험으로 따뜻하게 보내 보세요~! 도움★황북기 (
한양대학
교 청소년과학진흥센터 연구교수) (뜨인돌, 2015)에서도 만나볼 수 있어요~! - 김은영 기자 gomu51@donga.com 제공" src="http://image.dongascience.com/Photo/2016/02/14552405924977.jpg" border="0" /> 기사에 나온 실험들은 황 ... ...
기상예보처럼 ‘의료사고 주의보’ 내린다
동아일보
l
2016.02.15
[동아일보] 복지부, 7월부터 시스템 가동 “한 번만 더 항암치료 받으면 완치될 수 있다고 믿었는데….” 고 정종현 군(사망 당시 9세)은 2007년 백혈병 진단을 받고 2010년까지 3년 동안 16차례 항암치료의 고통을 참아내고 있었다. 의료진은 17차 항암치료까지만 마치면 완치의 길이 열릴 거라고 말했다 ... ...
과학자 12명, 음악밴드 만들어 ‘엔트로피 사랑’을 노래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6.02.11
엔트로피(Entropy) : 열역학 제 2법칙의 개념으로 우주 전체에서 결코 줄어들지 않고 항상 증가하는 것이 특징인 물리량. 마치 퍼도 퍼도 줄지 않는 사랑과도 같다. 과학과 사람들 제공 과학자들이 ‘발렌타인 데이’ 를 맞아 음원을 발표했다. 음악 취미를 갖고 있는 한 두명이 아니라 무려 12명 ... ...
‘국산 인공태양’의 불꽃을 만든 과학자
2016.01.27
※ 편집자 주 국내 정부 과학기술 연구소 설립 50주년을 맞아 기획한 출연연 50주년 인터뷰 시리즈를 마칩니다. 그동안 많은 관심 보내주신 독자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원대한 꿈인 에너지 자립국가의 역(력)사적 사명을 연출하는 곳.” 거창하게 들리는 사행시를 자신있게 내놓은 이 ... ...
“고교 커리큘럼 보면 수능성적 보인다”… 본보 상하위高 각 10곳 수학 분석
동아일보
l
2016.01.19
[동아일보] 상위권高 2학년에 모든 과정 끝낼때… 하위권高 3학년까지 진도나가기 급급 서울지역 고등학교의 교육과정 진도 격차가 학교별로 큰 것으로 확인됐다. 본보가 종로학원하늘교육과 2015학년도 서울지역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 상·하위권 일반고 10곳씩의 수학 커리큘럼을 분석한 결과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