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부
학업
연구
수업
배우기
면학
스터디
뉴스
"
학습
"(으)로 총 2,855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게시판] 2024 과학기술외교 아카데미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8.27
20일까지 모집한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챌린지는 올해 처음 개최되며 실도로 환경 기반
학습
데이터 세트와 자체개발 자율주행 인공지능 모델을 참여자들에게 제공해 우수한 자율주행 인공지능 소프트웨어를 발굴하기 위한 대회다. 자율주행 인공지능 개발에 관심있는 초기기업·대학(원)생·일반인 ... ...
기후위기 왜 심해지나 봤더니..."대다수 기후정책 실패"
동아사이언스
l
2024.08.26
않았다. 연구팀은 1998년부터 2022년까지 41개국에서 시행된 기후정책 1500개를 기계
학습
기반의 분석법을 사용해 평가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후정책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자료를 활용해 기후변화 정책의 영향을 받은 지역의 시간에 따른 탄소 배출 감소 양상을 확인했다. 그 결과 탄소 ... ...
[동물do감] 어릴 때 못배운 노래, 수컷과 동거하며
학습
한 금화조
동아사이언스
l
2024.08.23
노래가 나오는 끈을 잡아당기도록 했다. 분석 결과 수컷과 함께 살며 노랫소리를
학습
한 금화조는 구애의 노래에 적극적인 반응을 보였다. 수컷과 동거하지 않은 금화조는 구애의 노래에 특별한 선호 행동을 보이지 않았다. 연구팀은 "마치 인터넷이나 스마트폰으로 소통할 때보다 직접 얼굴을 ... ...
말랑말랑 '하이드로젤'이 게임을 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8.23
랩스’가 배양 접시에 키운 뇌세포를 컴퓨터 시스템에 연결해 게임 퐁을 하도록
학습
시켰다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뉴런’에 실었다. 퐁은 1972년 처음 발매된 고전 아케이드 게임이다. 탁구처럼 화면 이리저리 튀어 다니는 공을 판으로 쳐서 반대편으로 날려 보내면 된다. 판으로 공을 ... ...
[과기원NOW] DGIST, 세포 손상 막는 '채널' 작동 원리 밝혔다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8.22
왼쪽부터 대구경북과학기술원 뇌과학과 서병창 뇌과학과 교수, 고우리 박사연구원. DGIST 제공 ■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는 서병창 뇌과학과 교수 ... 디지털 전환으로 생성되는 다양한 도시 데이터를 최적화, 머신러닝, 인공지능
학습
등을 통해 디지털 지능을 발굴하는 연구를 수행한다 ... ...
세계 최초 '인체 질병 연관 미생물 지도'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8.21
장내 미생물 유전체 데이터(샷건 메타지놈 데이터)를 심층 분석했다. 메타분석과 기계
학습
모델을 이용해 건강한 개인과 특정 질병을 가진 사람에게 어떤 박테리아가 가장 많이 나타나는지를 분류하고 특정 기능을 특정 박테리아와 연결시켰다. 분석 결과 환자들의 장내 마이크로바이옴에서는 ... ...
AI끼리 피아노 연주 배틀까지…기계·예술 경계 허물어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8.20
음악 콘텐츠만 대량으로
학습
하는 게 아니라 음악 이론을 기초로 음을 익히고 코드를
학습
한 뒤 작곡과 연주를 한다. 전문가 지식과 노하우를 접목했기 때문에 일반 생성형 AI처럼 많은 데이터가 필요하지 않다. 데이터 사용을 최소화해 에너지 소모를 줄이고 노트북으로도 구동 가능하다. 사람 ... ...
퇴행성뇌질환 원인 뇌 위축 패턴 찾았다…뇌 영상 5만장, AI로 분석
동아사이언스
l
2024.08.20
사실을 확인한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15일 발표했다. 앞선 연구에선 기계
학습
으로 MRI을 분석하면 노화로 인한 체내의 미묘한 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의 연구는 비교적 작은 규모로 이뤄졌기 때문에 뇌의 변화를 상세히 분석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었다. 이번 ... ...
실제 음악 맞춰 꿈 속에서 춤춘다?…자각몽 제어 연구성과 '속속'
동아사이언스
l
2024.08.19
전기 센서로 연결된 근육의 움직임으로 자동차를 운전하는 가상운전프로그램을
학습
했다. 실험에선 참가자들이 수면 상태에 돌입한 것을 확인한 뒤, 번쩍이는 빛을 비춰 장애물을 피하기 위해 방향을 전환해야 한다는 신호를 보냈다. 이윽고 꿈 속의 사람들은 가상운전 프로그램에서와 같은 ... ...
BCI 장치 이식한 루게릭병 환자, 다시 '말할 수 있게' 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8.19
진행됐다. 그 결과 12만5000개의 단어를 변환하는 동안 정확도는 90.2%에 달했다. 추가적인
학습
을 통해 정확도를 97.5%까지 끌어올릴 수 있었다. 이후 환자는 32주에 걸쳐 248시간이 넘는 시간 동안 BCI 장치를 사용해 다른 사람들과 대화를 나눴다. 연구팀은 사용자의 음성을 입히는 기술을 활용하면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