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탐식
대식
음식물
배부름
약탈
포획
탈취
뉴스
"
포식
"(으)로 총 443건 검색되었습니다.
질긴 바닷가재 배 보호막으로 고무 만들까
동아사이언스
l
2019.04.08
배 부위 관절에는 부드러우면서도 질긴 막이 존재한다. 이 막은 질기고 씹기 어려워
포식
자가 사냥을 포기하도록 만드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밍 구워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기계공학과 교수팀은 ‘미국 로브스터’로 불리는 ‘호마루스 아메리타누스(Homarus americanus)’에서 뱃살을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왜 대부분의 감정은 부정적일까
2019.03.24
반대로 ‘유리한 상황’도 있습니다. 먹을 것이 풍족하고 환경이 안정적이며 위협적인
포식
자가 없는 상태입니다. 내적인 항상성도 잘 유지되는 상태, 즉 건강한 상태라면 ‘긍정적 느낌’이 들 것입니다. 아마 이때 ‘유쾌’하게 느낀 조상은 그 자리에 머물러 있었을 것이고 보다 나은 적합도를 ... ...
[애니멀리포트] 상어 가족은 엄마가 힘이 세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03.23
줄어든 곳에서 초식 어류도 줄어든 것을 발견했습니다. 상어가 줄어 도미와 같은 중간
포식
자가 늘어나자, 이들의 먹이인 파랑비늘돔과 같은 초식 어류가 줄어든 것입니다. 초식 어류는 식물인 조류를 먹는데, 조류는 산호가 자라는 암초를 두고 산호와 경쟁하는 관계입니다. 초식 어류 감소로 ... ...
[이강운의 곤충記] 곤충의 속도 경쟁
2019.03.20
암컷 항공기 탄생이 단 한 종에 불과한 인간을 전체 생태계를 호령하고 주름잡는 최상위
포식
자로 만들었다. 마침내 비행기 날개를 달고 하늘을 날기 시작하면서, 곤충이 날개를 진화시켰을 때처럼 인간은 지구의 모든 지역을 마음대로 요리하고 있다. 어디든 접근할 수 있는 비행 기술로 얼음으로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인간은 본능적으로 괴담에 잘 빠진다
2019.03.16
도망치는 쪽이 점점 신속한 공포와 도주 반응을 진화시키면,
포식
자는 굶게 됩니다.
포식
자는 더욱 살금살금 다가와서 갑자기 공격하는 전략을 진화시킵니다. 끝없는 군비경쟁이 일어납니다. 국경을 지키는 레이더는 종종 새떼와 비행기를 잘 구분하지 못해서 잘못된 경고를 울립니다. 하지만 ... ...
[표지로 읽는 과학] 우아한 도둑 파랑새 큰애니
동아사이언스
l
2019.03.09
네이처 제공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파나마의 열대숲에 우아하게 앉아 있는 '큰애니(Crotophaga major)'를 7일자 표지에 실었다. 큰애니는 뻐꾸 ... 낳은 알은 개수는 적지만 부화율이 높았다. 연구팀은 두 가지 방법 모두 큰애니가
포식
자를 피하기 위해 진화적으로 선택한 전략이라고 설명했다 ... ...
'불면의 밤' 보내면 뇌에 무슨 일이?
연합뉴스
l
2019.03.08
건, 후손에 유전자를 전달한다는 '진화적 이익'에 배치된다. 원시시대 자연 생태계에선
포식
자에 잡아먹힐 위험이 깨어 있을 때보다 크기 때문이다. 그런데 인간을 포함한 모든 동물은 잠을 자야 살 수 있다. 이 또한 진화의 결과다. 인간은 잠이 부족하면 인지 기능 저하, 면역력 약화 등 여러 가지 ... ...
[이강운의 곤충記] 곤충 날개의 등장은 필승 전략이었다
2019.03.06
포자는 영양만점이었기 때문에 모든 절지동물들이 선호하는 식사였다. 끝없이 달려드는
포식
자로부터 포자를 보호하기 위해 양치식물은 리그닌과 셀룰로스로 몸을 꼿꼿이 세우고 포자낭을 맨 꼭대기에 배치했다. 곤충은 발로 기어오르는 기술을 터득하기보다 날아서 한 번에 접근할 수 있는 필승 ... ...
난폭한 '백상아리' 사라지니 '칠성상어' 등장해
포식
2019.02.14
일이 없어졌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연구팀은 보도자료를 통해 이번 연구가 최상위
포식
자가 사라졌을 때 해양 생태계에 나타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에 관한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하는 것이라고 자평했다. 닐 햄머쉴라그 제공 /연합뉴스 ... ...
식물 종자·동물의 알, 태어나기 전부터 정보교환한다
2019.02.12
플라나리아는 도롱룡 새끼를 먹지만 알은 먹지 않기 때문에 부화하지 않음으소써
포식
자가 지나가도록 하는 것으로 보인다. 거꾸로 빨리 부화한 사례도 있다. "먼저 도망해 버리는" 전략인 것으로 추정된다. 무카이 연구원은 "종자와 알은 '수동적 존재'라는게 일반적 인식이지만 사실은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