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참조자료
전거자료
인용자료
관련자료
참고문헌
뉴스
"
참고자료
"(으)로 총 2,226건 검색되었습니다.
[동물do감] 침대 만드는 오랑우탄…밤잠 부족하면 낮잠 늘려
동아사이언스
l
2025.06.27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수아크 발림빙 관측소(Suaq Balimbing monitoring station)에서 암컷 수마트라오랑우탄 시시(Cissy)가 나뭇가지로 둥지를 만들고 낮잠을 자고 있다. Natasha Bartalotta/SUAQ 제공 오랑우탄도 사람처럼 자기 전에 나뭇가지를 엮어서 나무 위에 침대 같은 둥지를 만들고 밤잠이 부족하면 낮잠 시 ... ...
녹인 설탕 첨가해 친환경·고효율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구현
동아사이언스
l
2025.06.27
설탕은 보통 사탕수수나 사탕무에서 유래하는 천연 물질로 단당류인 포도당과 과당이 결합한 이당류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국내 연구팀이 고온에서 녹아 캐러멜화(caramelize)된 설탕(sucrose)을 첨가해 친환경·고효율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개발했다. 전력변환효율(PCE)은 25.26%로 천연 재료를 ... ...
2차원반도체 발광효율 1600배 향상…초절전 디스플레이 길 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6.27
왼쪽부터 김용빈 물리학과 박사과정, 김연정 물리학과 통합과정, 박경덕 물리학과∙반도체공학과∙융합대학원 교수. 오른쪽 위에서부터 노준석 기계공학과∙화학공학과∙전자전기공학과∙융합대학원 교수, 오동교 기계공학과 박사과정. 포스텍 제공 국내 연구진이 원자층 두께의 2차원반도체에 ... ...
[동물do감] 달팽이도 햇빛 먹는다…광합성 유지 '엽록체 냉장고' 포착
동아사이언스
l
2025.06.26
광합성을 하는 바다민달팽이종 Alysia. Credit: Corey Allard 광합성을 할 수 있는 바다민달팽이가 체내에 ‘엽록체 저장소’를 따로 만들어 햇빛 에너지를 보관한다는 사실이 처음으로 밝혀졌다. 외부에서 빼앗아온 엽록체를 살아 있는 상태로 유지해 햇빛을 영양분으로 바꾸도록 돕는 것으로 나타났다. ... ...
먹으면 근력 세지는 '운동 효과' 나타나는 물질이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6.26
동물실험에서 베타인 섭취 시 운동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됐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운동을 하지 않아도 아미노산의 일종인 ‘베타인’을 먹으면 운동 효과가 나타난다는 점이 확인됐다. 동물실험 결과로 인간에게도 동일한 효과가 나타날지는 아직 알 수 없다. 광후이 리우 중국과학 ... ...
계단에서 길 잃던 로봇에 '방향감각'을 불어넣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6.26
왼쪽부터 광주과학기술원(GIST) 기계로봇공학과 김표진 교수, 함중일 학생. G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경사로와 계단처럼 복잡한 지형에서도 로봇이 정확하게 방향을 인식하게 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다양한 지형에서 안정적인 자율주행을 가능하게 할 핵심 기술로 주목된다.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 ...
폐타이어, 고무·나일론 원료로 전환
동아사이언스
l
2025.06.26
국내 연구진이 폐타이어에서 플라스틱·섬유 원료로 활용되는 고순도 화학 물질을 효율적으로 추출하는 데 성공했다. 기 타이어가 쌓여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국내 연구진이 폐타이어에서 플라스틱과 섬유의 원료로 활용되는 고순도 화학 물질을 효율적으로 추출하는 데 성공했다. 기존 열분 ... ...
버려진 키조개 부산물로 '고대 황금실크' 재현
동아사이언스
l
2025.06.26
연구팀이 키조개 부산물을 이용해 황금빛 섬유인 시실크를 만들었다. 포스텍 제공. 고대 황제들이 사용했던 최고급 섬유를 국내 연구팀이 재현했다. 연구팀은 버려지는 키조개 부산물로 친환경 섬유를 만들었다. 포스텍은 황동수 환경공학부·시스템생명공학과정·융합대학원 교수, 이기라 화 ... ...
구석기 도구만으로 3만년전 인류 이주 재현한 과학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25.06.26
카이푸 유스케 일본 도쿄대 교수팀이 구석기 시대 기술만으로 배를 만들어 대만에서 일본 류쿠 제도를 향해 항해를 시작하고 나서 몇 시간 뒤에 촬영된 사진. Yousuke Kaifu 제공 과학자들이 구석기 시대 기술만으로 약 3만년 전 대만에서 일본 류쿠 제도로 바다를 건너 이주한 인류의 역사를 재현했다. ... ...
[과기원NOW] KAIST, 신소재로 軍 개인 맞춤형 훈련시대 연다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6.25
왼쪽부터 스티브 박 KAIST 신소재공학과 교수, 박규순 박사과정생(육군 소령). KAIST 제공 ■ KAIST는 스티브 박 신소재공학과 교수팀이 섬유에 전자회로를 그려 넣는 기술을 통해 전투원 개인의 특성과 전투 상황에 맞춰 최적화된 훈련을 제공할 수 있는 전자섬유 플랫폼을 개발했다고 25일 밝혔다. 연구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