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접
결합
접착
교착
연결
용접
부착
뉴스
"
접합
"(으)로 총 265건 검색되었습니다.
이젠 ‘탠덤 태양전지’ 시대
2014.11.24
물을 분해해 수소를 생산할 수도 있다. 김 연구원은 “탠덤 태양전지는 기존 단일
접합
태양전지 분야에서 발전한 사항을 바로 적용할 수 있다는 것도 장점”이라며 “유무기 하이브리드 탠덤 태양전지를 이용하면 이론적 한계효율을 뛰어넘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연구결과는 ... ...
플라스틱 반도체 개발 성공
2014.10.22
김 교수는 “p형 반도체의 성능과 비슷한 수준의 n형 반도체를 개발한 만큼 둘을
접합
한다면 휘어지는 디스플레이뿐만 아니라 태양전지, 센서 등의 실용화를 앞당길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재료분야 권위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 9월 23일자에 실렸다. ... ...
단점 투성이 유기반도체의 화려한 변신
2014.09.01
연구진은 기존 유기반도체에 많이 쓰이는 물질 ‘펜타센’에 ‘TSB3’라는 유기 절연체를
접합
시키는 방법을 개발해 얇은 유기반도체 박막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이 박막에서는 기존보다 전하가 4배나 더 많이 움직였다. 또 연구진은 수백 나노미터(nm, 1nm=10억분의 1m) 크기의 작은 구멍이 많이 ... ...
반도체 두께가 겨우 원자 몇 개?
2014.08.24
서로 다른 두 가지 종류의 2차원 반도체 전이금속 칼코겐 화합물을 수직으로 쌓아 p-n
접합
면의 두께를 기존 대비 100분의 1로 줄였다. 그 결과 전자가 이동해야 하는 거리가 최소화돼 속도는 물론 효율 또한 증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여기서 그치지 않고 전이금속 칼코겐 화합물 대신 ... ...
[표지로 읽는 과학]지구에서 사라진 생물을 기리며
과학동아
l
2014.07.27
이밖에 연구팀은 물개 각각의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대립유전자끼리 쌍을 이룬 '이형
접합
성'이 증가했다는 사실도 알아냈다. 연구팀은 “지구의 환경변화가 생물의 유전자와 형질에 실제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증명했다”고 연구의 의의를 말했다. ... ...
이런 게 ‘일석이조 다이오드’
과학동아
l
2014.07.16
커지게 만드는 반도체 소자다. 연구진은 기존 실리콘 반도체에 환원그래핀산화물(RGO)을
접합
시킨 형태의 다이오드를 새롭게 개발했다. RGO는 여러 겹의 탄소 원자층에 산소가 일부 결합된 구조로 두께가 3~5nm(나노미터, 1nm는 10억분의 1m)에 불과한 물질이다. 연구진이 이번에 개발한 다이오드에 ... ...
주석 비켜, 구리 나노와이어 납시오
과학동아
l
2014.07.07
레이저광선을 이용해 이런 문제를 해결했다. 미세한 레이저광선으로 구리 나노와이어의
접합
부분만을 선택적으로 가열하는 열처리 방법을 개발한 것이다. 구리를 이용해 투명전극을 만든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기존 공정에 비해 공정단가를 크게 낮출 수 있을 것으로 연구팀은 기대하고 있다. ... ...
금나노 입자, 관절염 치료제 나와라 뚝딱~
동아사이언스
l
2014.05.27
류머티즘 관절염 항체 치료제인 '토실리주맙(Tocilizumab)'에 지름 20nm 정도의 금나노 입자를
접합
한 것이다. 여기에 몸속 윤활제인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도 붙여 관절이 움직이는데 도움을 주도록 했다. 포스텍 연구팀이 개발한 관절염 치료제의 개념도. - 포스텍 제공 이번에 개발한 ... ...
아빠 짚신벌레가 아들만 낳는 이유
과학동아
l
2014.05.25
짚신벌레에서 분리된 형제가 ‘동성근친상간’을 벌이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문제는
접합
후 유전자가 교환된 후 만들어내는 자손의 성별이다. E형은 반드시 E형의 자손을, O형 또한 반드시 O형의 자손을 만들어낸다. 유전자 교환을 통해 E형과 O형 모두의 유전자를 가진 짚신벌레가 후대에게 ... ...
D램, F램은 알겠는데, Re램?
과학동아
l
2014.05.25
파악하지 못해 상용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점. 연구팀은 그래핀이 다른 물질과
접합
할 때 화학적으로 혼합되더라도 경계면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점에 주목하고 이를 전극으로 활용해 Re램을 만들었다. 원자층 증착 방식(ALD)으로 산화티타늄과 산화알루미늄을 25~30nm 두께로 도포해 메모리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