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경
경관
풍경
경치
무대
배경
사태
뉴스
"
장면
"(으)로 총 1,971건 검색되었습니다.
북, '광명성4호' 발사 6주년 "세상놀랄 신화 창조될것"
연합뉴스
l
2022.02.08
광명성 4호' 발사
장면
. 북한 다큐멘터리 영상에 삽입된 광명성 4호의 발사
장면
. 조선중앙TV 화면/연합뉴스 제공 북한이 6년 전 장거리 로켓에 실려 발사된 '광명성 4호'(북한 지구관측위성 주장)의 기념일을 맞아 '우주 정복'의 의지를 강조했다. 북한 관영 라디오 조선중앙방송은 7일 ... ...
[강석기의 과학카페]코로나19는 감기가 될까
2022.02.08
세포에서 증식을 마친 오미크론 바이러스 입자들(주황색)이 세포 표면으로 이동하는
장면
이다. 오미크론은 다른 변이에 비해 폐 안쪽 깊숙이까지는 잘 침투하지 못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홍콩대 제공 결정장애라는 말이 있다. 보통은 너무 많은 선택지가 있을 때 오히려 뭘 골라야 할지 결정을 ... ...
조리로봇이 튀기고 볶고 끓인다…'확바뀐' 군부대 식당 첫 공개
연합뉴스
l
2022.02.07
요리를 할 때마다 조리병이 대형 솥 앞에서 땀을 뻘뻘 흘리며 조리 삽을 휘저어야 했던
장면
도 사라졌다. 이날도 조리병은 솥에 재료만 투입하면 되고, 상단에 설치된 직교 로봇이 재료를 섞는 작업을 대신하고 있었다. 쌀 씻는 과정도 자동화 설비로 대체됐다. 고속으로 씻겨 나오는 쌀과 적정량의 ... ...
버릇없는 염소
팝뉴스
l
2022.02.01
염소는 있다. 촬영장소는 일본 오니카와. 사진을 촬영한 사진을 출근길에 자주 이
장면
을 본다고 한다. 즉 염소는 사람 위에 올라가는 것이 버릇인 것이다. 염소 습성도 놀랍지만 사림의 성격이 참 유순하다고 해외 네티즌들은 말한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 ...
사람 때리는 타조
팝뉴스
l
2022.01.28
않다는 평가다. 해외 인터넷에서 최근 화제가 된 영상은 타조가 사람을 공격하는
장면
을 담았다. 타조는 키가 2미터 이상이며 상대는 덩치가 큰 어른 사람이었다. 타조는 사람에게 달려들어 다섯 번 정도 발길질을 한 후에 달아나버렸다. 타조가 사람을 공격한 이유는 알려지지 ... ...
바다에서 겪은 신비한 체험
팝뉴스
l
2022.01.26
주목을 받은 사진이다. 바다에서 카약을 타며 즐기던 남자가 신비한 체험을 하는
장면
이다. 하얀 고래 10마리 정도가 떼를 지어서 남자를 좇았다. 마치 장난을 치듯이 카누를 따라왔다고 한다. 바다에서 하얗고 귀여운 생명체가 갑자기 튀어나와 강아지처럼 따라오니, 놀라고 신비로웠다고 ... ...
고릴라의 놀라운 싱크로율
팝뉴스
l
2022.01.25
제공 어떻게 이런
장면
이 가능할까? 장소는 미국의 한 동물원이다. 유리벽을 사이로 한쪽에는 사람이 있었고 건너편에 고릴라가 있었다. 고릴라는 남자가 하는 행동을 그대로 따라했다. 물구나무를 서는 것까지 그대로 흉내냈다고 한다. 고릴라와 사람은 싱크로나이즈드 스위밍이라도 ... ...
[강석기의 과학카페]사생활 제로 시대의 진화심리학
2022.01.25
않기 때문이다. 위키피디아 제공 끝으로 사생활(사적 통화)이 공영방송을 통해 노출되는
장면
자체에 대한 거부감도 꽤 작용했을 것이다. 녹화나 녹음기술이 나날이 발전하고 인터넷이 깔리면서 사생활이 유출되는 범위가 주변 아는 사람들 정도가 아니라 불특정 다수, 심지어 지구촌인 시대가 ... ...
최악의 반려견 사진들
팝뉴스
l
2022.01.24
두 세개 생기는 경우가 많다. 우스우면서도 무섭다는 평가다 많다. 공포 영화의 한
장면
같다는 것이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만들기도 하지요. 스마트폰이 일상 생활에 들어오면서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유전자와 생명의 이름에 숨겨진 이야기들
2022.01.13
기독교의 창조신화에는 신에 의해 창조된 최초의 인간 아담이, 생물의 이름을 짓는
장면
이 등장한다. 시인 김춘수는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주었을 때, 그는 나에게로 와서 꽃이 되었다”고 말했다. 인간은 사물에 가치를 부여하는 동물이다. 그리고 그 가치는 이름을 지어주는 것에서 시작된다.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