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전공학
뉴스
"
유전자공학
"(으)로 총 971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 파괴 인공효소 만드는 '합성생물학' 혁신 '눈앞'
동아사이언스
l
2022.11.28
미 국립보건원(NIH) 제공 영국 과학자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바이러스를 파괴하는 인공 효소를 만들었다. 알렉산더 테일러 영국 케임브리지대 치료면역학 및 전염병연구소 연구원팀은 “바이러스를 체내에서 자체적으로 죽일 수 없는 약한 면역체계를 가진 사람들을 위한 치료 ... ...
펩타이드, 코로나19 치료제 활용 가능성
동아사이언스
l
2022.11.24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발병기전에서 펩타이드 한 종류 '아펠린13'의 치료효과 가능성을 나타낸 모식도. GIST 제공 아미노산 결합체인 펩타이드의 한 종류인 ‘아펠린13’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치료에 활용될 가능성이 제시됐다.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오창명 의 ... ...
온실가스 '메탄'을 산업용 소재로 바꾸는 '인공 미생물'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11.24
메탄을 고부가가치 바이오화학 소재로 바꿔주는 '메탄영양세균'의 모습. 생명연 제공 국내 연구진이 온실가스 주범인 메탄을 산업현장에서 널리 쓰이는 소재로 바꿔주는 인공미생물을 개발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이승구 합성생물학연구소장 연구팀이 합성생물학 기술을 이용해 메탄을 ... ...
울릉도·남극 미생물 섞어 암 전이 억제물질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1.17
장재혁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화학생물연구센터장 연구팀. 생명연 제공 국내 연구팀이 울릉도 토양에 서식하는 토종 미생물과 남극에 서식하는 곰팡이를 혼합해 암 전이 억제물질을 만들었다. 이 물질은 유방암 세포의 이동성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재혁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화학생물연구센 ... ...
[과기원은 지금] DGIST, 두발로 걷는 물고기 미스터리 밝혀내다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11.15
백명인 DGIST 뇌과학과 교수(오른쪽)와 박준희 석박통합과정생. DGIST 제공. ■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백명인 뇌과학과 교수 연구팀이 서울대, 뉴욕대 의대와 함께 ‘작은고슴도치홍어’의 고품질 전장유전체를 구축하고 이를 이용한 비교유전체 분석을 진행했다고 15일 밝혔다. 연구진은 작은고 ... ...
유전자가위로 암 치료 가능성 열려…미국 연구진 임상시험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2.11.11
게티이미지뱅크 미국 과학자들이 생명정보를 담은 DNA 염기를 잘랐다 붙이는 유전자 편집 기술인 ‘크리스퍼(CRISPR) 유전자가위’로 면역세포를 편집해 암 세포를 파괴하는 임상시험에 성공했다. 안토니 리바스 미국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대 의대 교수 연구팀은 세포로 이뤄진 단단한 덩어리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유전자 '조작'의 명과 암...어디까지 허용될까
2022.11.09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나는 유전자 조작 식품이 싫어.” 유전자를 조작해 식재료의 형질을 바꿔 놓은 음식에 혐오감을 느끼는 분들이 있다. 그런데 유전자를 조작한 음식을 전혀 먹지 않고 현시대를 살아가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그만큼 유전자 조작 식품이 우리 사회에 널러 퍼져있기 때문 ... ...
[과기원은 지금] KAIST, 왜곡 신호 없는 전자전도 정량적 추출 방법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11.08
도전재 종류에 따른 130 사이클 전후 C-AFM 결과 모식도. KAIST 제공 ■ KAIST는 홍승범 신소재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LG에너지솔루션과 협업해 나노스케일 분해능으로 전극 내 전자 전도 채널을 왜곡 신호 없이 정량적으로 추출하는 방법론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8일 밝혔다. 연구팀은 전극 소재와 같 ... ...
[프리미엄 리포트] 메추리 알과 까치의 알이 색, 무늬가 다른 이유
2022.10.22
새의 알이 가진 색상과 무늬는 포식자로부터 보호하는 위장 기능일 것이라 여겨졌다. 하지만 최근에는 이외의 다양한 기능과 역할을 찾는 연구가 이뤄진다. 퍼블릭도메인/과학동아DB 쉽게 발견하기 어려워 그 모습을 상상하기 어렵지만 새의 알은 색상과 무늬가 천차만별입니다. 도시에서 흔히 볼 ... ...
[기후위기와 산림] 현대판 '노아의 방주'에 소나무를 태우려면
2022.10.13
남태평양 통가의 해저화산이 분화하면서 발생한 쓰나미로 인해 미국 캘리포니아주 산타크루즈 지역에 바닷물이 밀려 들어오면서 상당수의 주택과 차량이 물에 잠겼다. 연합뉴스 제공 2009년 개봉한 SF영화 ‘2012’에선 대도시를 무너뜨리는 지진과 화산폭발, 히말라야 산맥까지 집어삼키는 해일 등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