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용제
솔벤트
뉴스
"
용매
"(으)로 총 272건 검색되었습니다.
은으로 종이 크로마토그래피 정밀도 높였다
2016.02.01
흡수시켜 혼합물의 성분을 분리한다. 혼합물의 각 성분마다 종이와 반응하는 힘이 달라
용매
에 끌려 올라가는 정도가 달라진다는 점을 이용한 것이다. 그런 다음 분리된 물질에 빛을 쪼였을 때 나오는 파장을 통해 어떤 성분인지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종이 크로마토그래피는 간편하고 저렴한 ... ...
폭발 위험 없는 배터리 나온다
2015.12.29
교수는 “새로운 고체전해질은 전도도가 높고 공기 중에서 안정할 뿐 아니라 원재료나
용매
의 가격이 싸고 독성 문제도 없다”며 “이 기술을 이용하면 전고체 리튬전지의 상용화를 크게 앞당길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연구 결과는 재료분야 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Advanced ... ...
구멍 ‘송송’ 뚫린 新액체 개발
2015.11.15
180도로 높기 때문에 상온에서는 고체 형태로 존재한다. 연구진은 이 물질을 특정 유기
용매
(15-크라운-5)에 녹이는 과정을 거쳐 상온에서도 액체 형태인 기능성 물질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진은 이 물질의 가스 포집 능력이 다공성 고체 물질보다 뛰어나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특히 구멍 ... ...
줄기세포 배양 효율 8배 높이는 기술 개발
2015.11.13
후 수증기가 많은 환경에 두면 균질하지 않게 성장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 용액에서
용매
만 제거해 밀도가 높던 부분은 막, 낮던 부분은 구멍이 각각 돼 구멍이 무수히 많은 수 백 나노미터(nm·1nm는 10억 분의 1m) 수준의 분리막을 형성하는 데 성공했다. 공배양에 사용됐던 기존 분리막은 두께 1 ... ...
지난해 실험실 안전사고 22건은 ‘화학물질’ 때문
2015.11.09
둘이 화학반응을 일으켜 유해 가스가 발생했다. 2010년에는 폐수 저장용기에 황산과 유기
용매
인 톨루엔을 함께 넣는 바람에 용기가 폭발하는 일도 있었다. 2013년에는 질산과 개미산을 한 수거용기에 동시에 버리는 바람에 유독 가스가 발생해 해당 실험실은 물론이고 인접 실험실에 있는 연구원들이 ... ...
아이폰 6S, 남자라면 ‘핑크’다
동아사이언스
l
2015.10.21
만들기 충분했습니다. 안료를 만들 때면 자연에 존재하는 붉은색 재료를 빻아서 각종
용매
에 녹이거나 섞어서 사용합니다. 평범한 붉은 색이라면 자연에서 찾기 매우 쉽습니다. 철이 녹슬면 붉은색을 띄는 것을 이용해 황토를 이용할 수도 있지요. 하지만 선홍빛을 띄는 안료이자, 가장 인기가 ... ...
이렇게 하면 안 갈라져요~ ‘무결점’ 나노입자 코팅법 찾았다
2015.10.20
나노입자를 ‘클로이드’ 상태로 만드는 과정이 필요하다. 클로이드란 액체
용매
속에 미세입자가 고르게 분산돼 있는 상태를 뜻한다. 문제는 나노입자가 든 클로이드를 소자 표면에 분사하고 건조시키는 과정에서 비 온 뒤 진흙이 굳으며 갈라지고 틈이 생기는 것처럼 크랙이 발생한다는 점이다. ... ...
다공성물질로 이산화탄소 꽉 잡는다
2015.10.16
때문에 물속에서도 구조를 그대로 유지한다. 지금까지 개발된 다공성물질은 유기
용매
속에서 만들어져 물에 들어가면 쉽게 망가진다는 한계가 있었다. 물질 내부에 이산화탄소를 모을 수 있는 능력도 기존 다공성물질 보다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산화탄소를 모은 과정에 별도의 ... ...
신토불이 과학연구 노벨상 거머쥐다!
2015.10.06
써있었던 것. 투 교수팀은 에탄올을 이용해 추출하던 기존 방법 대신 차가운 에테르(유기
용매
)를 써서 청호 추출물을 얻었다. 그리고 동물실험을 한 결과 말라리아 기생충이 100% 죽었다. 투 교수팀은 이 추출물에서 유효성분을 분리해 청호소(靑蒿素)라고 불렀다. 바로 아르테미시닌이다. 중국 ... ...
1953년 스탠리 밀러의 초기 지구 조건에서 아미노산 합성 실험
과학동아
l
2015.09.20
다르기 때문이다. 혼합물을 좀 더 확실히 분리하려면 종이를 90° 돌려 다른 조성의
용매
로 다시 한번 분리한다. 즉 2차원 종이크로마토그래피다. 결과는 놀라웠다. 종이 위에 분리된 화합물들을 분석한 결과 단백질을 이루는 구성성분인 아미노산이 여럿 발견됐기 때문이다. 즉 글리신, 알라닌,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