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
밑
아래위턱
위턱
웃턱
윗턱
이하
뉴스
"
아래
"(으)로 총 3,883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서 가장 건조한 사막 지하에도 미생물 군집이 산다"
연합뉴스
l
2024.04.24
어렵고 화성과도 환경이 유사한 것으로 추정되는 칠레 북부 아타카마 사막의 지하 4m
아래
에도 다양한 미생물 군집이 살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독일 포츠담대학 더크 바그너 교수팀은 24일 미 국립과학원(NAS) 학술지 PNAS 넥서스(PNAS Nexus)에서 아타카마 사막의 융가이 계곡(Yungay Valley) 저지대에서 ... ...
[과기원NOW] GIST, 과학기술 ‘나눔 비전’ 선포식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4.24
접촉을 차단해 수소 발생 반응을 최대 3배 이상 억제하고 아연 금속 부식을 막으며
아래
층의 금속불화물은 아연 덴드라이트 형성을 억제할 수 있는 방법이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화학공학저널’에 지난 1일 게재됐다. ■ 포스텍은 김종경 생명과학과 교수 연구팀, 이윤희 서울대 약대 교수 ... ...
뉴욕도 한국도 위험하다...예측할 수 없어 피해 큰 '판 내 지진'
동아사이언스
l
2024.04.12
한반도에 축적되어 있다가 임계점에 다다르면 갑자기 지진이 일어날 수 있다. 한반도
아래
에 존재하는 모든 단층들이 잠재적인 원인이라고 볼 수 있다. 뉴욕보다 한반도가 지진 위험 지대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뉴욕 일대에서 일어난 가장 큰 지진은 규모 5.4로 추정되는 1884년 지진이다. ... ...
달 표면 티타늄, 맨틀까지 가라앉았다가 분출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4.10
달 내부에서 일어난 일의 물리적 증거를 확보한 것"이라며 "달의 초기 역사는 달 표면
아래
에 기록됐고 이 이야기를 밝히기 위해선 모델과 데이터의 적절한 조합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 ...
2년 전 남극 기온, 평균보다 38.5도 상승
동아사이언스
l
2024.04.08
아니라 생태계를 구성하는 다른 생물들에게도 피해가 된다. 남극 대륙 서부 지역의 해빙
아래
조류들이 사라지고 있다. 조류가 사라지면 조류를 먹는 크릴새우가 줄어든다. 물고기, 펭귄, 바다표범, 고래 등 포식자들의 먹이인 크릴새우가 줄어들면 먹이사슬이 깨지고 연쇄적으로 피해가 발생할 수 ... ...
영국서 세계 첫 드론 고속도로 구축…의약품 고속 배송
동아사이언스
l
2024.04.07
영국 중부의 코벤트리와 남동부의 밀턴케인스를 연결한다. 완공되면 드론 초고속도로
아래
지상에서 드론을 조종할 수 있는 타워 30개가 들어선다. 각 타워는 드론이 인간 조종사의 시야 밖에서도 비행할 수 있도록 드론 교통 상황을 조종할 수 있다. 현재 타워 15개가 설치돼 있다. 스태픈 파머 ... ...
상어의 무한재생 이빨, 우리도 가질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24.04.06
가장자리의 이빨이 빠지면 그 뒤에 있는 이빨이 앞으로 이동해 빈 자리를 채운다. 이빨
아래
연조직이 컨베이어 벨트처럼 각 이빨을 고정하고 또 이동시킨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인간이 수십 년밖에 살지 못하고 채집한 음식만 먹었을 때는 유치와 영구치 두 세트만으로 사는 것이 괜찮았습니다. ... ...
쥐라기 화석이 알려준 귀 탄생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4.04.04
보였다. 쥐라기 초기의 디아노코노돈 영이의 화석에서 턱
아래
관절인 하악이 얼굴
아래
부분을 지지하는 턱의 역할을 점점 잃어가고 있는 모습이 나타났다. 디아노코노돈 영이의 화석에는 치아 역할을 하는 뼈 구조도 남아 있었다. 쥐라기 중기 슈오테리드의 하악은 이 역할을 잃고 청각 기능에 더 ... ...
'25년 만의 최대 규모' 대만 지진…과학자들 "추가 지진 가능성"
동아사이언스
l
2024.04.04
유라시아판이라는 지각판이 수렴하는 지점에 있다. 필리핀해판이 유라시아판
아래
로 미끄러져 들어가면서 대만 동쪽에 지진이 발생한다는 설명이다. 유 왕 대만 국립타이완대 지질학과 교수는 "지진은 역단층에서 발생했는데 한 암석 덩어리가 다른 암석 덩어리에 수직으로 이동했다는 것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일본서 사망자 나온 붉은누룩의 비밀
2024.04.03
배경이다. 홍국균은 이차대사산물로 신장독성이 있는 곰팡이독소인 시트리닌(
아래
)을 만든다. 한편 누룩곰팡이속과 푸른곰팡이속의 몇몇 종은 강력한 신장독성이 있는 오크라톡신A(위)도 만들 수 있다. 오크라톡신A 분자의 일부(오른쪽)와 시트리닌 분자의 구조가 꽤 비슷함을 알 수 있다. 이번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