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위원소
방사성
뉴스
"
방사성동위원소
"(으)로 총 251건 검색되었습니다.
700년 만에 깨어난 씨앗의 꿈
어린이과학동아
l
2014.03.12
따뜻한 봄이 되자 점심을 먹고 나면 어김없이 눈꺼풀이 무거워진다. 이렇게 잠이 쏟아질 때면 동물들이 긴 겨울잠을 자듯 오랫동안 잠에 빠져보고 싶은 생각이 절로 든다. 하지만 사람은 꾸준히 밥도 먹어야 하고, 친구들과 신 나게 놀기도 해야 한다. 휴일에 한번 늘어지게 자기로 마음 먹어도 12 ... ...
연구용 원자로 ‘하나로’ 3000일 운전 ‘끄떡 없네’
동아사이언스
l
2014.02.10
다목적 연구용원자로 하나로는 2014년 2월 10일 0시를 기해, 가동한지 3000일이 지났다. 하나로원자로는 산업용 및 의료용 방사성 동위원소 생산과 함께 각종 첨단 소재 개발에 이용되고 있다. - 한국원자력연구원 제공 한국원자력연구원은 다목적 연구용 원자로(HANARO)가 이달 10일 0시를 기해 운전 ... ...
치료용 동위원소 생산할 중형 입자가속기 국내 첫 가동
동아사이언스
l
2014.01.28
가속된 입자가 통과하는 빔라인 - 한국원자력연구원 제공 치료용 방사선 동위원소를 생산해 낼 수 있는 중형 사이클로트론(나선형 입자가속기)이 올해부터 본격 가동될 전망이다. 한국원자력연구원 정읍 첨단방사선연구소은 한국원자력의학원이 개발한 30MeV(100만 전자볼트)급 중형 사이클 ... ...
선천성 빈혈 발병 원인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0.13
중간이 움푹 패인 빨간색 원반이 수북이 쌓여있는 것 같다. 하지만 이는 주사형 전자 현미경으로 찍은 적혈구의 적외선 사진. 적혈구는 우리 피를 빨갛게 보이게 하는 주인공이다. 적혈구는 지름이 약 7㎛(마이크로미터·1㎛는 100만 분의 1m)인 세포다. 우리 몸 구석구석까지 산소를 운반하는 ... ...
우주탐사선 원자력 전지, 플루토늄-238 대체 물질을 찾아라
동아사이언스
l
2013.10.11
태양전지와 원자력 전지 기술 개발이 병행돼야 한다”며 “한국원자력연구원이
방사성동위원소
를 이용한 원자력 전지 기초 연구를 10여 년 전부터 해왔고 한국전기연구원 등이 열을 전기로 바꿔주는 열전 기술을 연구해 왔기 때문에 우리나라도 기반 기술은 이미 확보하고 있는 셈”이라고 말했다. ... ...
실험실에 갇힌 동물 해방의 그날 오나
동아사이언스
l
2013.10.04
의약품이나 화장품 개발을 위해서는 반드시 거쳐야 하는 과정이 있다. 제품의 독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사람이 쓰거나 먹지만 사람을 대상으로 실험할 수 없기 때문에 생쥐나 원숭이, 토끼 같은 동물로 실험을 한다. 문제는 한 차례의 독성시험에서도 수백 마리의 생쥐가 희생되는 등 우리나라에 ... ...
韓, 국제 핵사찰 참여국 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9.11
한국원자력연구원에 설치된 사찰시료분석 청정시험시설(CLASS) 내부 모습. - 한국원자력연구원 제공 우리나라도 이제 국제원자력기구(IAEA) 핵사찰 작업에 참여하게 됐다. 한국원자력연구원과 원자력안전위원회는 IAEA가 세계 각국에서 보내 오는 핵사찰 시료에 포함된 극미량의 핵물질을 ... ...
갑상샘 호르몬은 ‘중용’이 최고
동아일보
l
2013.08.12
갑상샘암은 다른 암과 달리 조기 발견만 하면 100% 완치된다. 수술로 갑상샘을 제거한 뒤
방사성동위원소
치료를 한다. 평생 갑상샘 호르몬 제제를 복용해야 하는 게 단점이다.(도움말=삼성서울병원 내분비대사내과 정재훈 교수) 김상훈 기자 corekim@donga.com [화제의 뉴스] - 베트남戰때 밀림 피신 父子 4 ... ...
지하철 냉난방 '地熱'로 한다고?
동아사이언스
l
2013.06.25
최근 서울시가 현재 건설 중인 지하철 9호선 7개 역사와 경전철의 냉·난방에 지하 180m ‘지열’을 이용하겠다고 밝혔다. 180m 깊이에서는 지상과는 상관없이 온도가 항상 15도 내외로 일정하다. 지열을 이용할 경우 연간 134MWh의 전기를 아낄 수 있을 것으로 시는 예상하고 있다. 태양·풍력·수 ... ...
폐열로 우주탐사선 움직일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5.29
장착돼 있다. RTG는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1960년대에 개발한 우주선 전용 전력원으로,
방사성동위원소
를 이용해 약 300W의 전력을 꾸준히 생산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보이저 1, 2호는 오는 2025년까지 운행이 가능하다. RTG와 같이 열을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기술을 ‘열전 변환기술’이라고 ... ...
이전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