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휘장
커튼
장막
발
텐트
싸는 것
보자기
뉴스
"
막
"(으)로 총 1,288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만성통증 극복 운동은 '자주, 꾸준히'
2023.02.11
제공 크로스핏을 시작했다. 이제
막
2주차라 잘 모르겠지만, 트레이너 선생님 말에 의하면 크로스핏이란 심박수를 높이는 카디오(cardio) 운동과 근력운동, 웨이트 트레이닝, 민첩성과 순발력을 요구하는 운동 등을 높은 강도로 반복함으로써 단 시간에 큰 효과를 내는 운동이다. 제대로 된 운동이라는 ... ...
KAIST 오송 메디컬캠퍼스 설립 사업 '난항'
동아사이언스
l
2023.02.08
두루 양성하기 위한 취지로 개설돼 까다로운 기준으로 인재를 선발하고 있다"며 "이제
막
첫발을 뗀 단계로 앞으로 이 과정을 이수한 우수한 인재가 바이오 산업계에서 활약하는 모습을 지켜봐달라"고 말했다. KAIST는 올해 상반기 중 바이오메디컬 캠퍼스타운 사업의 타당성을 살핀 외부용역 조사 ... ...
태양전지 효율 높인 공학자들 '엘리자베스 여왕 공학상'
동아사이언스
l
2023.02.08
발전 효율이 22.8%인 퍼크 태양전지를 발표했다. 퍼크는 태양전지 뒷면에 햇빛을 반사하는
막
을 삽입해 태양전지가 빛을 더 효율적으로 활용하도록 만드는 기술이다. 이후 그린 교수는 자오, 왕 박사와 공동연구로 효율을 25%까지 끌어올릴 수 있었다. 호주 뉴사우스웨일스대에서 함께 연구하던 부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칼륨 섭취 많을수록 건강...생물체에서 나트륨은 '조연'
2023.01.25
내 항상성을 유지할 수 있는 통로 단백질과 펌프 단백질이 갖춰져야 했을 것이다. 세포
막
의 단면을 도식화한 그림으로 왼쪽과 오른쪽은 각각 칼륨 이온과 나트륨 이온이 농도차에 따라 이동(확산)하게 하는 통로이고 가운데는 두 이온이 농도를 거슬러 이동할 수 있게 하는 펌프다. 위키피디아 제공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헬리코박터가 한세기 늦게 알려진 이유
2023.01.17
안겨다 준 헬리코박터균 발견 호주의 워렌(John Robin Warren)은 1979년에 위염 환자의 위점
막
에서 새로운 세균을 발견했다. 그 해에 로열퍼스병원으로 온 마샬(Barry James Marshall)은 소화기내과 교수가 되기 위해 연구주제를 찾던 1981년에 워렌을 만나 이 발견에 대해 상세한 이야기를 들었다. 마샬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이산화탄소로 만드는 생분해플라스틱
2023.01.10
단계가 있어야 하므로 비용이 늘어난다. 연구자들은 환원전극 표면을 음이온교환
막
으로 감싸는 등 몇 가지 조치로 배양액 조성으로도 환원 반응이 제대로 일어날 수 있게 만드는 데 성공했다. 전극에서 만들어진 C2가 용액의 흐름을 따라 순환하면서 미생물이 있는 배양기로 바로 공급되는 ... ...
부상·질환으로 손상된 성기능 회복 '인공피부'
동아사이언스
l
2023.01.06
모방해 같은 기능을 구현한다는 것”이라며 “이번 연구에서 고안된 접근방식은 백
막
외에도 인체에서 과부하를 지탱하는 조직들을 모방하는 소재를 개발하는 데 확장될 수 있다”고 말했다 ... ...
이달의 과학기술인상에 반도체 소재 고성능화 이뤄낸 김윤석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3.01.04
정확하게 읽는 능력과 관련이 있다. 하프늄옥사이드는 나노미터 수준의 얇은
막
에서도 우수한 강유전성을 보인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성질로 메모리, 트랜지스터 등 기존 산화물을 대체할 차세대 소재로 꼽힌다. 문제는 하프늄옥사이드의 강유전성 발현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다는 점이다. 이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수천년 이어진 장기 이식...'이식용' 부족 해결해야
2023.01.03
대한 면역반응을 담당하는 세포가 분비하는 물질의 기능을 억제함으로써 거부반응을
막
는 역할을 한다. 면역억제제가 이식수술 성패에 아주 중요하다는 사실이 알려진 후 의학자들은 더 좋은 약을 찾기 위해 노력했다. 그 결과 아자티오프린(azathioprine), 스테로이드 제제, 타크롤리무스(tacrolimus) 등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제설제 원리 적용한 냉장고 나올까
2022.12.27
이에 대해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며 이온 투과 속도를 지금의 100배 수준으로 높인
막
을 개발하는 건 시간문제일 거라고 내다보고 있다. 앞으로 길에 뿌려진 염화칼슘을 보면 어는점 내림 현상을 이용한 냉장고나 에어컨이 떠오를 것 같다.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