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녕
빵꾸
홀
함정
입
바람구멍
바람
뉴스
"
구멍
"(으)로 총 1,128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암세포가 면역체계를 회피하는 또 다른 방법
동아사이언스
l
2022.04.24
분비해 표적 세포 표면에 작은
구멍
을 만든다. 이후 세포독성이 있는 그랜자임 단백질을
구멍
으로 넣어 세포를 손상시켜 사멸을 유도한다. 그런데 암세포는 퍼포린이 막 손상을 일으키자 손상된 부분에 물질 수송에 필요한 단백질인 엔도좀 분류 복합체(ESCRT)를 모으는 것으로 나타났다. ESCRT ... ...
터널 화재 막는 공사, 로봇이 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4.13
높은 작업차에 탑승한 채 운반과 정렬, 고정을 해야 한다. 고정 작업시 천장면에
구멍
을 뚫는 작업 등이 요구돼 안전사고 부담이 높다. 도로터널 내화보드 설치는 지난 2020년 터널 내 대형 화재로 인명 피해가 발생한 ‘순천-완주간 고속도로 추돌 사고’를 계기로 중요해졌다. MFR은 내화보드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도무지 사라지지 않는 ‘천연 상술’
2022.04.13
제거하는 제습제의 용도로 사용할 수도 있다. 충분히 건조시킨 제올라이트의 작은
구멍
이 공기 중에 떠다니는 냄새의 원인 물질이나 수분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역시 다공성 물질은 숯·활성탄을 탈취제나 제습제로 사용하는 것과 똑같은 원리다. 가습기의 안전성 미세 다공성 구조의 점토성 ... ...
[프리미엄 리포트] 암흑물질을 찾는 사람들
과학동아
l
2022.04.09
광학 모듈의 개수만 총 5160개에 달한다. 로트 교수는 연구팀의 일원으로 남극 빙하에
구멍
을 뚫고, 전자 광학 모듈을 설치하는 작업부터 직접 참여했다. 전자 광학 모듈을 줄에 묶어 내리는 모습. 미국 국립과학재단(NSF) 제공 “우리가 알고 있는 기본적인 우주의 구성요소에 빈칸이 있습니다. 이 ... ...
유해물질 비스페놀A·과산화수소 동시검출 센서 첫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4.07
통해 그래핀과 전도성고분자, 팔라듐 나노입자를 3D 복합소재로 합성했다. 복합소재는
구멍
이 많아 넓은 표면적을 가져 유해물질을 감지하는 데 유리하다. 전도성고분자는 소재 안전성을 높이고 균일한 결합을 유도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이렇게 만든 센서는 두 물질이 나노몰(nM, 물질량 단위로 ... ...
무섭고도 웃긴 옆집 개
팝뉴스
l
2022.04.06
그게 더 이상할 것이다. 그런데 가만히 보고 있으면 우습기도 하다. 울타리에 뚫린
구멍
에 보이는 개는 웃긴 만화 캐릭터 같다. 사진은 미국의 이미지 공유 사이트에서 웃음을 주며 인기를 끌었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 ...
인간 유전체 풀리지 않던 '8% 빈칸' 모두 채웠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4.04
한 번에 약 2만 개의 염기쌍을 정확하게 분석한다. 나노미터(nm·10억 분의 1m) 크기
구멍
에 DNA를 통과시켜 염기쌍을 읽는 세포의 기능을 구현한 울트라 롱 리드는 정확도는 다소 떨어지지만 한 번에 최대 100만 개의 염기쌍을 읽어낸다. 연구팀은 이번에 2억 개의 DNA 염기쌍을 새롭게 밝혀내면서 ... ...
'낮에 나온' 600만년 전 고대 올빼미…밤 생활 거부
연합뉴스
l
2022.03.29
알아낸 것이다. M. 디우르나 화석은 눈의 연조직이 썩어 사라지면서 공막소골편이 눈
구멍
으로 주저앉은 상태로 발견됐으며, 16개의 작은 뼛조각을 일일이 맞춘 끝에 눈의 크기와 형태를 파악했다. 연구팀은 올빼미를 비롯한 조류 360여 종과 파충류 55종의 공막소골편과 비교하고 통계적 분석을 ... ...
국내 연구진 장수풍뎅이 모방해 반응속도 1만배 빠른 광학 습도센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3.28
수많은 나노금속입자를 판형태로 만든 결과 사이사이에 수많은
구멍
이 생겼고 이
구멍
으로 수분이 더 빠르게 흡수되거나 증발했다. 센서의 반응속도가 기존보다 1만배 빨라진 성과를 거뒀다. 노 교수는 “이 센서는 나노물질과 나노구조가 적용됐지만 저비용으로 대량생산할 수 있다는 게 ... ...
[과학게시판] DNA메모리·바이오닉 슈트 등 미개척 융합기술개발 공모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3.23
위에 지름 8마이크로미터(㎛·100만 분의 1m) 크기
구멍
수만 개를 규칙적으로 배열한 뒤
구멍
에 블록코폴리머를 넣고 전계를 걸어 비눗방물 모양의 구조물을 만든 뒤 외부를 다공성 하이드로젤로 채워 고정해 50일 이상 형태를 유지했다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