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휴
공중 장애
아이들링
운행
헛돌기
대기잡음
잡음
뉴스
"
공전
"(으)로 총 407건 검색되었습니다.
"물, 소행성 기원설 수정될 듯" 美·日 주도 소행성 탐사 첫 분석결과 나란히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19.03.20
모양 소행성으로 태양에서 멀리는 화성 안쪽, 가까이는 금성 궤도 안쪽을 도는 타원형
공전
궤도를 갖고 있다. 지구에 가까이 접근할 가능성이 있어 지구근접소행성으로 분류된다. 하야부사2는 지난해 9월 말에는 어른 주먹 두 개 크기에 무게가 1.1kg인 소형 측정 로봇 두 개를 류구 표면에 ... ...
日 다음 탐사대상 소행성 ‘파에톤’ 특성, 국내 연구팀이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19
이 관측에 동원됐다. 연구팀은 파에톤이 스스로 빛을 내지 않고 태양빛을 반사하며,
공전
및 자전을 하면 반사되는 햇빛의 양이 변한다는 사실을 바탕으로 파에톤의 형태와 자전축의 방향, 자전주기 등을 밝혀냈다. 먼저 전체 형태를 추정한 결과, 파에톤은 마치 팽이 아래 부분을 두 개 위아래로 ... ...
출력 밀도 높고 충방전 속도 빠른 ‘슈퍼 커패시터’ 원리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19.03.05
이런 이온성 액체 슈퍼 커패시터의 경우 충·방전 과정 중 반대전하 이온들의 흡착보다는
공전
하 이온의 탈착이 충전에 크게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연구팀은 이런 현상을 ‘비움 효과(Vacating effect)’라 이름 지었다. 또 전극 표면에 존재하는 이온 뿐 아니라 시스템 전체 이온들의 ... ...
해왕성 14번째 초미니 위성 발견 “40억 년 전 충돌로 형성”
동아사이언스
l
2019.02.21
2004~2016년에 걸쳐 해왕성 및 주변을 가시광선 및 적외선 연속사진으로 찍은 뒤, 위성의
공전
속도를 고려해 위성이 이동한 위성 영상 픽셀의 위치를 찾고, 이 픽셀을 기존 위치의 픽셀과 계속 겹치는 방법을 썼다. 연구팀은 이 방법으로 실제로는 수백 초 노출로 찍은 희미한 히포캄프 영상을 최대 3 ... ...
올해 가장 큰 ‘슈퍼문’ 20일에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8
평소 보름달보다 더 크게 보이는 달을 ‘슈퍼문’이라고 부른다. 타원형 궤도로 지구를
공전
하는 달은 지구와 달의 거리에 따라 관측 크기가 달라진다. 지구와 달 사이가 가까워질수록 보름달이 더 둥글고 크게 보이는 이유다. 슈퍼문이 뜰 때 지구와 달 거리는 약 35만7151km다. 지구와 달 사이 ... ...
토성의 ‘절대 고리’가 사라진다
2019.02.16
결과는 2011년보다 H3+방출선의 명암 대비가 더 컸다. 계절이 바뀌고 있어서였다. 토성의
공전
궤도면에 대한 자전축의 기울기는 약 27도다. 따라서 계절에 따라 고리는 거의 보이지 않았다가 넓게 보였다가를 반복한다. 1610년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망원경으로 토성을 보고 깜짝 놀랐던 이유도 바로 ... ...
세계 첫 인공 유성우 2020년께 일본서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18
가까이 지나가면서 태양풍이나 중력에 의해 여러 파편으로 쪼개진다. 지구가 태양을
공전
하면서 이 파편들이 있는 곳을 지나가게 된다. 이 때 파편들이 지구의 대기권으로 빨려 들어와 평소와 달리 다수의 유성이 타면서 마치 비가 내리는 것처럼 보이는 게 유성우다. ALE은 여러 화합물들을 ... ...
21일 뜨는 '슈퍼 울프 블러드문'…한국선 직접 못봐
동아사이언스
l
2019.01.14
지구에서 가장 가깝게 위치할 때 그 크기가 크고 밝게 보이는 현상을 뜻한다. 달의
공전
궤도를 보면 달과 지구의 거리는 일정하지 않다. 일정한 주기를 가지고 멀어졌다 가까워지곤 한다. 그 중 달이 지구에 가장 근접했을 때와 보름달이 뜨는 시기가 겹쳐 평소보다 더 크게 관측되는 보름달을 ... ...
中, 창어 4호가 찍은 달 뒷면 파노라마 사진 첫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19.01.13
볼 수 있는 위치에 있는 통신중계 위성 '췌차오(오작교)‘를 거쳐 지구로 전송됐다. 달은
공전
주기와 자전 주기는 27.3일로 같아 달의 뒷면에서 지구와 직접 교신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중국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난해 5월 췌자오를 달에서 6만 5000㎞ 떨어진 헤일로 궤도로 올려보냈다 ... ...
케플러 우주망원경의 후예 테스…외계 행성·초신성 첫 관측
동아사이언스
l
2019.01.10
새로 확인된 외계행성 ‘Pi Mensae c'는 6일마다 태양 크기의 항성인 ‘Pi Mensae’를
공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구보다 약 1.3배 정도 큰 ‘LHS 3884b'는 태양의 약 5분의 1 정도 되는 왜소 항성 주위를 11시간의 한 번 꼴로 매우 가깝게 돌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밖에도 이번 테스우주망원경의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