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제휴
협동
협조
연합
합작
원조
공동 작업
d라이브러리
"
협력
"(으)로 총 1,439건 검색되었습니다.
[충돌 D-DAY] 소행성의 파편이 떨어진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2호
UN우주임무기획자문그룹이 보낸 우주선 중 하나가 소행성과 충돌하는 데 성공했어요. 그런데 왜 뉴욕이 불바다가 됐던 걸까요? 소행성 추락 때 가장 위험 ... 볼 수 있죠. 훈련에 참여한 과학자들은 하루 빨리 네오캠을 쓸 수 있도록 국제사회에
협력
을 요청하면서 학회를 마무리했답니다 ... ...
2019 과학기술 10대 뉴스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과학기술 분야에서 가장 주목받은 뉴스를 선정했다. 1. 블랙홀 그림자 최초 관측 국제
협력
프로젝트인 ‘이벤트 호라이즌 망원경(EHT,Event Horizon Telescope)’ 연구팀은 전 세계 전파망원경 8기를 동원해 얻은 블랙홀의 그림자를 4월 10일 처음으로 공개했습니다. 지구에서 5500만 광년 떨어진 처녀자리 ... ...
[비하인드 로켓] 나로호 1단 조립완료, 시행착오 1000번 혹독한 지상 검증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모스크바에 한러 공동설계사무소를 열던 2005년,
협력
사인 흐루니체프의 살류트 설계국에서는 나로호(KSLV-I) 1단에 들어갈 부품 설계를 막 시작하고 있었다. 산화제 탱크와 연료 탱크, 주 엔진 등이 들어간 나로호의 1단 동체를 개발하는 것은 러시아의 극비 기술이기에 설계는 삼엄한 경비 속에서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우주로 간 심장외과 의사, 무카이 치아키(向井 千秋)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미국 실리콘밸리 우주 관련 스타트업 로프트 오비탈(Loft Orbital)에서 전략기획 및 국제
협력
담당으로, 미국 워싱턴대 공대에서 자문위원 및 겸직교수로 일하고 있다. 대한민국의 유일한 우주인으로서 열정과 사명감을 갖고 우주산업 시대에 맞춰 과학 대중화 활동에도 힘쓰고 있다. mcax17@gmail.com ... ...
[과학뉴스] NASA, 블랙홀 영상 공개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블랙홀의 시공간 왜곡 현상을 시뮬레이션 했다. 영상 속 블랙홀은 올해 4월 국제연구
협력
프로젝트인 ‘이벤트 호라이즌 망원경(EHT)’ 연구팀이 처녀자리 A 은하 중심에서 최초로 관측해 낸 블랙홀 M87*의 이미지와 유사하다. 시뮬레이션한 블랙홀은 뜨거운 빛을 뿜어내는 얇은 강착원반에 둘러싸여 ... ...
모스크바에 현지사무소를 열다 나로호 설계 본격 스타트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않았다. 몸도 마음도 힘든 상황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끝까지 버티며 러시아와의
협력
을 추진할 수 있었던 것은 한국과 러시아에서 함께 애쓴 동료들 덕분이었다. 요즘처럼 날씨가 쌀쌀할 때는 그 시절 러시아 출장이 특히 생각난다. 밤에 버스를 타고 퇴근해 공동숙소에서 한국 음식을 만들어 ... ...
40년 유인 우주 비행 역사의 산증인 두미트루 도린 프루나리우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미국 실리콘밸리 우주 관련 스타트업 로프트 오비탈(Loft Orbital)에서 전략기획 및 국제
협력
담당으로, 미국 워싱턴대 공대에서 자문위원 및 겸직교수로 일하고 있다. 대한민국의 유일한 우주인으로서 열정과 사명감을 갖고 우주산업 시대에 맞춰 과학 대중화 활동에도 힘쓰고 있다. mcax17@gmail ... ...
[따끈따끈한 수학]
협력
의 힘을 발휘하다! 에르되시-라도의 해바라기 추측
수학동아
l
2019년 11호
...
나로호 프로젝트 본격 시동
협력
파트너를 찾아라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당사자 간의 실무협상을 진행하고 나서야 마침내 2004년 10월 26일 KSLV-I에 대한 한러 기술
협력
계약이 체결됐다. 나로호 프로젝트가 본격적으로 가동되는 뜻깊은 순간이었다. 조광래1988년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의 전신인 천문우주과학연구소에서 과학로켓 개발을 시작해 이후 30년 넘게 발사체 ... ...
지능×IQ 지능은 어떻게 측정할까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의미다. 혼자서 해결할 수 없는 경우에는 언어나 문자를 이용해 타인과 소통하고
협력
해 방법을 찾아낸다.지능을 정의할 때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가장 유명한 이론은 ‘커텔-혼-캐롤(CHC) 이론’과 ‘다중지능이론’ 두 가지다. CHC 이론은 심리학자 레이먼드 커텔에서 시작됐다. 커텔은 1971년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