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현"(으)로 총 1,061건 검색되었습니다.
- 귀뚜라미는 왜 수컷만 노래할까요?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9호
- 귀뚜라미 수컷의 앞날개의 윗부분에는 가로로 난 줄이 있는데, 이 줄이 바이올린의 현 역할을 해요. 줄을 따라 날개의 끝 쪽에는 바이올린의 활 역할을 하는 딱딱한 ‘긁개’가 있어요. 귀뚜라미가 양쪽 앞날개를 비비면, 바이올린을 켜듯 한 쪽 날개의 긁개(활)가 다른 쪽 날개의 줄(현)을 켜게 되는 ...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수학의 실체와 예술수학동아 l2014년 12호
- 왔다. 고대 그리스의 천재들이 어려워했던 수학을 초등학생들도 이해할 수 있게 된 현 상황이 어떻게 가능해졌는지 늘 놀랍기만 하다. 그런 가운데 치버스의 작품은 예술가의 수학적 시각 역시 시대에 적합하게 발전해 간다는 사실을 확실하게 보여 준다.괴델의 불완전성 정리★ 미국의 수학자 ... ...
- [잘 가르치는 대학이 뜬다 1] 숭실대과학동아 l2014년 12호
- 3학년 때는 학생들끼리 팀을 이뤄 PC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한다. 4학년 때는 현장에서 근무하는 멘토와 지도교수가 짝을 이뤄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나머지는 합숙훈련이다. 학생들의 신청을 받아 겨울방학에 기숙사에서 5주간 합숙을 하며 프로그래밍을 집중적으로 배운다. 컴퓨터학부 ... ...
- INTERVIEW 2. 톰슨로이터가 지목한 한국인 후보들과학동아 l2014년 11호
- 개수가 이런 차이를 낳는다는 사실을 밝혀낸 것이다. 이 소장은 “개념은 새롭지만 현상 자체는 염기분석을 해 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봤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DNA의 염기서열을 분석하면 보통 직선 모양의 데이터가 나온다. 하지만 종종 그렇지 않은 부분이 나타나는데, 연구자들은 그동안 이를 ... ...
- [knowledge] 핵쓰레기 묻을까? 태울까?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비교해 보며 새로운 길을 모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핵폐기물 문제는 발등의 불이고, 현재 나와 있는 어떤 해결책도 100% 만족스럽지는 않다. 핵변환이라는 새로운 기술이, 공전의 늪에 빠진 사용후핵연료 문제 해결에 의미 있는 돌파구를 마련해 줄까 ... ...
- INTRO. 에볼라의 모든 것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주변에서 에볼라 바이러스와 유사한 질병 증상이 보고됐기 때문이다.● 에볼라는 현재까지 수단, 자이르, 레스턴, 코트디부아르, 번디분교 다섯 종류가 있다. 이중 가장 높은 치사율을 기록한 종은 자이르로 지난 30년간 평균 80% 이상의 치사율을 보였다.치료법● 증상에 대해서 치료하는 대증치료가 ... ...
- 세상에서 가장 강력한 컴퓨터과학동아 l2014년 09호
- 푸는데 사용된 튜링의 ‘봄브’(위). 양자컴퓨터 칩의 모습(아래).양자컴퓨터는 언제쯤 실현될까2001년 IBM의 연구자들은 쇼어의 알고리듬을 사용해 15를 소인수 분해하는 데 성공했다. 15는 3×5다. 이를 위해 분자 내에 있는 원자핵스핀 7개를 이용했다. 7큐비트 양자컴퓨터인 셈이다. 물론 3×5가 15라는 ... ...
- PART2 - 군집로봇 뇌 속엔 무엇이 들었을까과학동아 l2014년 08호
- 가끔 “연구 과정에서 무엇이 가장 힘들었냐”는 질문을 받으면 “로봇을 실제로 구현하는 것”이라고 답하 는 이유다. 해파리퇴치 군집로봇도 넓은 해양에서 임무 를 수행하기 위해 수많은 전자장치를 갖추고 있는데, 실 험 전날 점검하는 데만 모든 팀원들이 꼬박 밤을 새야 한다. 아무리 꼼꼼히 ... ...
- 수학에 희망을 드립니다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서적이자, 지금도 꾸준히 나오고 있는 ‘경문수학산책’ 시리즈다. 1994년 처음 나온 뒤 현재 43권까지 나왔다. 수학전공자와 수학교사가 읽고 주변에 알리기 좋은 주제로 돼 있으며 지금도 시리즈가 나올 때마다 기본적으로 1000부 이상씩 나가는 스테디셀러다. 대부분이 번역서이며 두 권을 국내 ... ...
- PART1 - 영화 속 거미군단이 온다과학동아 l2014년 08호
- 때문에 충돌할 염려가 없다. 키바 도입으로 아마존은 최대 40%의 비용을 절 감했다. 현재 군집 기술에서 가장 앞서 있는 미국은 방 위고등연구계획국(DARPA)과 항공우주국(NASA)이 연구를 주도하고 있다. 특히 행성에서 무인 건축 작업, 무인정찰용 군용차량 행렬 통제, 로봇 정찰 소대 제어, 지뢰의 ... ...
이전2122232425262728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