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풀"(으)로 총 2,336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다지류 보면 볼수록 귀여워!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3호
- 무엇인가요? 노래기는 느릿느릿 움직이는 채식주의자로 상냥한 동물이에요. 종일 풀을 뜯는 소나 염소의 소형 버전이라고나 할까요? 여러분이 조심스럽게만 행동한다면 노래기를 손바닥 위에서 기어가도록 할 수도 있을 거예요. 노래기는 물거나 쏘지도 않고요. Q다지류 연구가 다른 분야에서도 ... ...
- [융복합@파트너] 빛으로 구현하는 극초고속 계산 기계과학동아 l2022년 03호
- 수학적으로 동치다. 자석의 움직임을 빠르게 모사하는 기계가 있다면 문제를 쉽게 풀 수 있다. 이런 기계를 ‘아이징 머신’이라고 부른다. 아이징 머신은 드론, 자율주행차 등 최적화 문제를 다루는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론 택배가 50개의 물건을 배달한다면, 설계자는 ... ...
- [특집] 거울장수의 수수께끼를 풀어라!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2호
- 앨리슨은 붉은 여왕의 말을 떠올렸어요. ‘어려운 문제를 다른 관점에서 보면 풀 수 있다고 했지. 거울에 비추면 실마리가 보일지도 몰라.’ 거울장수에게 거울 하나를 빌려 카드에 쓰인 글자를 비추니 원래 글자가 나타났어요. “제가 여왕이 된다고요?” 앨리슨이 물었어요. “그럼! 네가 거울 ... ...
- [인터뷰] 평범함이 힘! 꾸준히 노력하는 수학자수학동아 l2022년 02호
- 어떻게 해야 하냐고요. 엘키스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다른 문제를 푸세요! 세상에 풀 문제는 많아요!” 물론 어려운 문제를 마주했을 때 곧바로 포기하라는 말은 아니었을 겁니다. 최선을 다해 도전했지만, 결국 한계에 다다랐을 때 한숨 돌릴 여유가 필요하다는 뜻이지요. 문제를 잠시 간직해 둔 ... ...
- [나도 수학쌤 문장제 문제] #2. 속력 문제의 또 다른 열쇠, 상대속도!수학동아 l2022년 02호
- 대한 지혜의 상대속도는 분속 150(= 60+90)m입니다. STEP 2 조건을 이용해 식 세우고 풀기 상대속도를 알았으니 선호가 가만히 있다고 생각하고 지혜가 1.5km를 움직인다고 가정해 식을 세워 봅시다. ‘거리 = 속력 시간’ 공식에서 지혜가 움직인 시간을 x분이라 하고, 1.5km는 1,500m로 바꿔 ... ...
- [과학동아가 만난 사람]"의사도 데이터 공부 필수인 시대 옵니다"과학동아 l2022년 02호
- 중고등학생 때부터 코딩을 즐기던, “백엔드부터 프런트엔드까지 모두 개발할 수 있는 풀스택 개발자”였던 그는 병원에서도 취미로 병원 게시판 관리 프로그램 등을 만들며 개발 경력을 이어오고 있었다. 이를 눈여겨본 이들이 그를 과제 담당자로 추천했다. “솔직히 첫 번째 든 생각은 ‘컴퓨터 ... ...
- [이달의 과학사] 2009년 1월 23일 멸종 동물의 첫 클론이 태어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2호
- ‘스페인아이벡스’가 살고 있습니다. 멋지게 굽은 뿔을 가진 염소로, 산악 지방에 살며 풀과 관목을 뜯어먹지요.스페인아이벡스는 크게 네 종류의 아종이 있었습니다. 그중 하나인 포르투갈아이벡스는 1892년에 멸종했고, ‘부카르도’라는 이름으로 알려진 피레네아이벡스는 2000년에 ... ...
- [스티브코딩쌤 - 마인크래프트] 마인크래프트에 생태계 피라미드를!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1호
- 채팅창에 입력해서 야간 투시 효과를 얻으세요. ➋ 잔디블록에 뼛가루를 뿌리면 풀들이 자라나 자연스러운 녹지의 모습을 연출할 수 있어요. 또한, 묘목에 뼛가루를 뿌리면 빠르게 나무가 자라나요. 이어서 물 양동이로 연못이나 강을 만들고, 다양한 광물 블록을 이용해서 비생물 요소를 ... ...
- [수학 잘하는 동물 친구들] 토끼가 번식왕인 이유?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1호
- 아주 좋았거든. 토끼들이 먹이를 구하느라 굴을 파고, 나무의 뿌리를 갉아 먹고, 온갖 풀을 뜯어 먹으니 점차 숲이 황폐해졌어. 호주에는 다른 나라에 살지 않는, 호주에서만 볼 수 있는 동물이 많은데, 그런 동물들도 살 곳과 먹을 것을 찾기 힘들어져서 영영 사라지게 됐대. 호주 사람들에게 토끼는 ... ...
- [2022 필즈상 예측] 마리나 비아조프스카 교수, 허준이 교수수학동아 l2022년 01호
- 칠할 때 n개 이하의 색만 써서 칠하는 방법의 수를 나타낸 식입니다. 이 문제는 누구도 풀지 못하다가 전혀 예상치 못했던 분야를 연구하던 허 교수가 대수기하학의 도구를 조합론 문제에 적용해 해결합니다. ▲2018년 고등과학원에 잠시 방문한 허준이 교수와 금종해 현 대학수학회장, 그리고 ... ...
이전2122232425262728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