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탐구
속행
추적
추격
실행
이행
수행
d라이브러리
"
추구
"(으)로 총 859건 검색되었습니다.
게임 속으로 풍덩~ 내 몸이 게임기가 되는 세상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사용한다는 점이 다르다. 하지만 실제로 몸을 움직이며 느낄 수 있는 체감형 게임을
추구
하는 점은 똑같다. 우탁 KAIST 문화기술대학원 교수는 “인터페이스 기술이 발달하면서 게임이 오히려 전통적인 놀이와 가까워지고 있다”고 설명했다.과거의 놀이는 직접 몸을 써야 했으며 사람과 사람 사이의 ... ...
내 옆에 있는 두 얼굴의 소시오패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양심이 차지하는 범위는 매우 크다. 온갖 치사하고 거짓된 방법으로 집단의 이익을
추구
하는 듯한 소시오패스적 엘리트보다 본인에게 주어진 능력대로 양심적으로 일하는 사람을 사회에서 알아줘야 한다. 그래야 비윤리적으로 성공하는 사람도, 그 때문에 억울한 사람도 생기지 않는 ‘정신이 ... ...
제시문에 기반해 명확한 답 찾기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끼친다.2011학년도 모의 과학논술 분석올해 실시된 논술 모의고사에서도 여전히 고려대가
추구
하는 출제경향이 충실히 반영됐다. 화학은 치아와 호흡과정에서 발생하는 화학평형에 대한 논제가 나왔다. 화학과 생물을 유기적으로 결합하는 출제경향을 유지하고 있다. 생물에서는 오페론의 원리에 ... ...
나의 경험이 세상을 설계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공학자가
추구
하는 사용자경험이나, 인지과학이나 디자이너가
추구
하는 사용자경험이 모두 같은 것이라는 이해가 이뤄진 것이다. 여러 전문가들은 “사용자경험을 통해 여러 분야의 전문가들이 함께 소통할 수 있게 됐다”고 말한다.경험디자인은 앞으로 어떻게 ... ...
돈이 움직이는 두 갈래 길
수학동아
l
2010년 08호
투자은행뿐 아니라 많은 상업은행이 투자은행처럼 큰 위험을 감수하면서 높은 수익을
추구
했던 것이 주된 이유입니다.서브프라임 사태에 대한 이야기는 나중에 더 자세하게 말해 줄게요. 이번 사태는 우리나라처럼 아직 이렇다 할 투자은행이 없는 경우에 선진 은행의 경험을 배우는 좋은 기회가 ... ...
세계 무대 누비는 KAIST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기쁨을 회복하는 교육, 수리적 논리와 감성적 상상력이 조화롭게 발현되는 창의적 교육을
추구
한다. 문화기술대학원에서는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경영, 예술 및 디자인이 시너지효과를 내며 새로운 학문분야를 창출하고 있다. KAIST는 홈페이지에서 “디지털 기술이 삶의 변화를 가져오면서 과학기술, ... ...
로봇의 미래를 말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인류가 나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이에 대해 커즈와일 박사는 “정신적 불멸을
추구
하거나 700년 이상 삶을 이어가는 것은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로 볼 수 있으며 특이점 이후의 시대가 오면 이를 통해 사람들은 한 단계 더 높은 세상을 경험하게 될 것”이라며 “이는 토마스 무어가 중세에 ... ...
미래의 연구자를 위한 최적의 환경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받으며 세계를 이끄는 과학기술인이 되는 꿈을 꾼다.세계 일류 수준의 연구중심대학을
추구
하는 포스텍은 1986년에 개교해 1987년에 첫 입학생을 받았다. 24년이 지난 지금 10개 과에 매년 300명의 입학생을 받고 있다. 여기에 전공을 정하지 않고 입학하는 단일계열(무학과)이 있다. 300명의 입학생 중 ... ...
고성능-고효율 컴퓨팅을 향한 도전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주범으로 몰리고 있다. 따라서 시스템소프트웨어 공학자들은 계산의 고성능만을
추구
하던 시대에서 고효율-고성능을 모두 노려야 하는 어려운 문제에 직면해 있다. 실제로 최신 서버에서는 효과적인 시스템소프트웨어를 도입해 50% 이상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다. UNIST에 있는 우리 연구실은 ... ...
가장 빠른 반도체를 디자인하다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현상을 발견하는 것이 아니라 발명과 창의성의 학문이므로 호기심과 열정, 새로운 것을
추구
하는 모험심이 더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공학적인 디자인 감각이 넘치고, 스티브 잡스 같이 세상을 바꾸고 싶은 사람을 환영한다고 한다. 정 교수는 “공대에 들어오면 전공 과목도 열심히 공부해야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