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공"(으)로 총 2,198건 검색되었습니다.
- 더 빠르게, 더 스마트하게│인공지능 반도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AI 반도체 설계에서 가장 중요하다.궁재하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정보통신융합전공 교수는 “AI 반도체를 설계할 때 가장 중요한 점은 알고리즘의 처리 순서에 따라 필요한 데이터를 차례로 불러오게 하는 것”이라며 “이를 구현하는 대표적인 기술로 필드프로그래머블게이트어레이(FPGA), ... ...
- [과동 키즈] 쿠키처럼 달콤한 과학 이야기를 당신에게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얼마나 뜨겁고 짜릿하고 무겁고 많은가’를 촬영한 건 일생일대의 기회였다. 물리학 전공자에게 꿈의 학회인 ‘제26차 국제도량형총회(CGPM)’에 방문한 날은 평생 잊을 수 없을 것이다. CGPM은 과학의 근간을 만들어 준 ‘측정’의 기준과 기본단위를 정하는 회의다. 이 회의에서 ‘kg’이라는 단위의 ... ...
- [특집] 생물주권 때문이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6호
- 자기가 전공하는 생물이 그 어떤 생물보다 예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입니다. 파리를 전공한 사람은 파리가 제일 예쁘게 보이지요. 자신이 좋아하는 생물을 채집하기 위해서라면 깜깜한 바닷속에 들어가는 것이 무서워도 그 속으로 들어가요. 그리고 새로운 종을 발견했을 때의 기쁨이 생물자원을 ... ...
- [과동키즈] 어린 날에 바라보던 저 달은 여전한데과학동아 l2021년 06호
- 호기심과 지식에 대한 열정을 키워준 곳이 동아리였기에, 가능하다면 대학 졸업장에 전공이 아닌 동아리 이름을 적어 놓고 싶을 정도였다. 좋아서 하는 일들 사이로 찾아온 슬럼프졸업하고서도 음악 활동을 계속했다. 자작곡이 어느 정도 모였을 즈음 친구들과 밴드를 만들어 거리공연을 시작했다 ... ...
- [수학자의 연구노트] 예상치 못했던 수학자와의 만남수학동아 l2021년 06호
- 지금은 세상을 뜨신 명효철 교수님의 칠순 기념학회가 열렸다. 명 교수님의 전공은 대수학으로 나와는 거리가 있었지만, 명 교수님과의 친분으로 나도 초청 강연을 했다. 당시 나는 대수학 전문가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강연하려고 노력했고, 청중의 흥미를 끌기 위해 강연 도중에 내가 발표한 결과와 ... ...
- [인터뷰] “에너지 문제 해결해 고국 과학기술 발전 이끌겠습니다”과학동아 l2021년 06호
- 막는다이런 배경에서 엥가르 연구원은 최근에 눈에 띄는 성과를 냈다. 대학에서 세부 전공으로 응집물리학을 공부했던 그는 배터리 연구에 새로운 개념을 도입했다. 전자 장치에 쓰이는 반도체를 이용해서 리튬이온배터리의 화재 원인을 해결하고자 한 것이다. 휴대폰, 노트북 등 우리가 사용하는 ... ...
- [IBSX수학동아] 수학자는 수학세계를 탐험하는 모험가-황준묵 교수수학동아 l2021년 06호
- 단장은 한국이 배출한 세계적인 기하학자입니다. 저와 같은 대학교에서 함께 물리학을 전공한 뒤부터 오랜 기간 지켜본 황 단장은, 논문을 쓰기 좋은 연구 주제가 아닌 쉽게 해결할 수 없으나 파급 효과가 큰 기하학 분야의 난제를 골라서 연구하는 학자입니다. 또 연구뿐 아니라 많은 젊은 ... ...
- ‘뉴락’ 장한나 작가 “플라스틱 시대를 작품으로 기록합니다”과학동아 l2021년 06호
- 것은 뉴락이 처음은 아니었다. 2011년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에는 방사능에 관심을 갖고, 전공 분야였던 조소가 아닌 식물 세밀화를 통해 자신의 생각을 표현했다. 인터넷과 전문서적, 다른 작품 등을 참고해 방사능에 노출된 식물의 형태가 어떻게 바뀔지 조사한 뒤 자신만의 상상력을 더해 ... ...
- 수중 생태계, 미학의 과학 아쿠아스케이프과학동아 l2021년 06호
- “무엇보다 생물의 생육 환경이 최적화돼야 한다”라고 설명했다. 기계공학을 전공한 이영주 작가 역시 “물 생활에는 모든 과학이 집합돼 있다”라며 “물 순환에 대한 화학 지식, 물고기를 다루는 생물학 지식, 수초 속에 서식하는 미생물에 관한 과학적 지식, 여과기, 조명 등에 대한 전기공학 ... ...
- [이공계 잡터뷰] 의료기기도 데이터 시대, 데이터 과학자과학동아 l2021년 06호
- 수 있다. 김 대리는 대학과 대학원에서 의공학, 의과학을 전공했다. 김 대리는 “두 전공에서는 생체데이터에 대한 전문지식을 배울 기회가 있었다”고 말했다.물론 수학과 컴퓨터과학도 중요하다. 아무리 전문지식이 많다고 해도 데이터과학자는 데이터를 도구로 사용하기 때문이다. 김 대리는 ... ...
이전2122232425262728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