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많음
듬뿍
다수
담뿍
d라이브러리
"
잔뜩
"(으)로 총 611건 검색되었습니다.
특종! 투구게의 비밀을 밝혀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4호
외계 생명체라는 의심이 떠나질 않아. 저기 봐봐! 이 낯선 생명체를 보기 위해 사람들이
잔뜩
몰려 왔잖아!투구게가 위험하다이상한 생김새에 파란색의 피. 지금까지 살펴본 투구게는 마치 무서운 외계인 같아요. 하지만 투구게는 지구에 살고 있는 생물 중 하나로, 오늘날 위험에 처해 있어요. ... ...
아이스크림 공장장 ‘ 배스친 로빈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3호
”썰렁홈즈, 드디어 아이스크림을?이제 드디어 아이스크림을 먹게 된 썰렁홈즈.
잔뜩
부푼 기대를 안고 배스친 로빈스가 가리키는 냉장고를 활짝 열었다. 그런데 이게 웬일? 냉장고 속에 있던 아이스크림이 모두 녹아서 흐물거리고 있는게 아닌가!“어쩌죠? 이 못말리는 건망증 때문에 냉장고 플러그 ... ...
PART 3. 생리의학상 자연에서 찾은 기생충 특효약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회선사상충을 옮기는 흑파리가 유속이 빠른 하천 주변에 살기 때문이다. 흑파리가
잔뜩
있는 강에 뛰어들거나 주위에 있을 경우 흑파리를 통해 성체 회선사상충이 사람의 몸으로 침투한다. 성체는 몸속에서 하루에 1000마리 이상 새로운 유충을 만든다. 이런 유충들은 피부와 눈에 치명적이다. ... ...
[Life & Tech] 하늘공원이 품은 것은?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쓰레기 매립지를 안정화하는 공사로 탄생한 인공적인 땅이지요. 문제는 쓰레기가
잔뜩
묻혀 있기 때문에 쓰레기가 썩으면서 가스가 나온다는 점입니다. 그래서 월드컵공원 곳곳에는 100여 개의 가스추출정이 있습니다. 소년은 ‘날 살려라’ 도망쳤지만, 가스추출정 자체가 안전시설이기 때문에 ... ...
신나는 지사탐 활동 시작!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월 30일 경기 안산시에서 열린 현장교육에서는 지난해 막 성체가 된 어린 수원청개구리를
잔뜩
만나기도 했지요. 장이권 교수님과 함께 수원청개구리 연구를 하고 있는 서울대 아마엘 볼체 연구원은 “수원청개구리는 위에서 보면 머리 앞쪽이 V 형태를 이루고, 발가락 끝까지 초록색을 띠고 ... ...
[Life & Tech] 태평양 한가운데 해양연구 전초기지를 가다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예쁜 바다에 숨통이 트여 집에 가기 싫을 정도”라고 했다. 곧바로 중간고사라며 가방
잔뜩
갖고 온 책은, 물론 꺼내지도 않았다. 맹그로브와 잘피도 관찰할 수 있었다. 맹그로브는 민물과 바닷물이 만나는 곳에서 바닷물에 뿌리를 내리고 자라는 열대 나무다. 육지에서 바다로 흘러 들어오는 오염 ... ...
[생활] 고흐의 진짜 해바라기를 찾아라! 명탐정 코난 화염의 해바라기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도착했어. 여느 미술관보다 훨씬 거대한 이곳에는 이름만 대면 알 만한 세계적인 명화가
잔뜩
걸려 있었지. 하지만 나를 놀라게 한 건 따로 있었어. 괴도키드가 훔쳐가겠다고 말한 작품과 똑같은 그림이 10점이나 걸려 있었다는 사실! 괴팍한 미술관장이 괴도키드를 속이겠다고 가짜 9점과 섞어놓았지 ... ...
[지식] 열대과일의 비밀, 파인애플은 알고 있다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일정한 법칙을 따르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나요? 단단한 껍질에 육각형 모양의 눈이
잔뜩
박혀 있는 파인애플에서 생장 법칙을 찾아 보기로 했어요.피보나치 수열이 감싸고 있는 파인애플 껍질파인애플을 통째로 원형 기계에 넣고 꾹 눌러 껍질을 벗기는 장면을 본 적 있나요? 껍질과 중앙의 심이 ... ...
[지식] 매미의 한여름 세레나데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해에
잔뜩
떼를 지어 나타났다가 십수 년 동안 사라진다. 또 특정 주기가 지나면 다시
잔뜩
나타난다. 이들을 주기매미라고 부른다. 주기매미는 6종이 있는데, 그 중 3종은 13년마다 나타나고, 나머지 3종은 17년마다 나타난다.과학자들은 주기매미가 일정한 주기마다 나타나는 이유에 대해 여러 가설을 ... ...
Part 3 특종 인공번개 쏴라~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매단 로켓을 먹구름 속으로 쏴 올렸다. 이 구리선은 땅까지 늘어질 만큼 길었다. 구름에
잔뜩
몰려 있던 전자는 전기 전도성이 큰 구리선을 타고 땅으로 내려왔다. 그래서 번개는 나무뿌리 모양이 아닌 구리선을 따라 일직선으로 생겼다. 구리선이 전하가 잘 흐를 수 있도록 길을 내어준 것이다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