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택
광
빛
광휘
잔물결
세파
차례
d라이브러리
"
윤
"(으)로 총 275건 검색되었습니다.
옛지도
과학동아
l
1995년 03호
것으로 정조 20년(1796)에 간행된 책이다. 이 책의 북극고도(北極高度)조에는 "역관(曆官)
윤
사웅 최천구 이무림을 각각 강화부의 마니산, 갑산부의 백두산, 제주목의 한라산에 파견해서 그곳의 북극고, 즉 북극성의 고도를 측정시킨 이야기가 관상감 일기에 실려 있으나 그 측정치는 전하지 않는다"고 ... ...
'93 EXPO 국제마이크로 로봇 대회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3'는 올해 예선에서 1등을 차지한 마우스로, 22초73을 기록해 학생부 특별상을 받았다.
윤
씨는 대학 2학년 때부터 마우스를 만들기 시작, 작년 대회에 처음 출전해 5등을 차지한 바 있다. 그는 입상소감으로 "제작 여건만 갖춰지면 외국 것보다 훨씬 잘 만들 수 있다"고 말해 국내 제작 환경에 아쉬움을 ... ...
노벨상 못타도 부끄럽지 않은 과학자 길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두번째 있는 김종오 박사는 입자물리학을 전공하고 고려대 명예교수로 있으며 네번째의
윤
박사는 캐나다의 토론토대학 교수로 있다.맨 오른쪽에 서 있는 박재영 박사(6회)는 원자핵 물리학을 전공하고 현재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수(미국에는 정년퇴임제가 없다)이고 그 옆에 계신 분은 ... ...
3. 국내업체들, 잠재수요 겨냥해 독창적 서체 개발 경쟁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세계박람회 조직위원회의 의뢰를 받아 전용 서체를 제작하는 개가를 올리기도 하였다.
윤
영기씨는 컴퓨터를 사용해 서체를 제작하면서 수작업을 하던 때보다 훨씬 편리해지기는 했으나 컴퓨터 작업이 풍기는 딱딱한 느낌을 보완하여 자연스럽고 인간적인 느낌을 갖도록 디자인에 최대한 노력을 ... ...
왜 겨울달이 여름달보다 길까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자세한 것은 지면상 생략하기로 한다.지금까지 음력의 한 달을 결정하는 방법과
윤
달 두는 법에 대해 간략히 설명했지만, 이것만으로 음력의 모든 것을 이해할 수는 없다. 나중에 기회가 있으면 다시 소개하기로 하고 몇 마디 더 첨언고자 한다.이 글의 첫 머리에 지적한 것처럼 음력을 정식으로 ... ...
행글라이딩 무료교육 실시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좋고, 중급자 이상은 개방형이 좋다는 것. 무게에 따라서도 속도와 성능이 차이가 난다.
윤
청회장은 "국내 행글라이딩의 역사는 10년에 가깝지만 체계적인 교육기관이 부재하고 '위험하다'는 인식이 광범위하게 깔려 있어 크게 발전하지 못하고 있다"고 말하면서 "체계적인 교육만 밑받침 된다면 ... ...
새기술 새발명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등을 줄일 수 있고 운전미숙으로 인한 항공기추락 등 최악의 상황을 피할 수 있다고
윤
박사는 들려준다.사람의 착각을 이용한 이 모의장치는 컴퓨터 그래픽의 도입으로 80년대 이후 비약적으로 발달하기 시작했다. 미국 등 이 분야 선진국에서는 11단계의 훈련장치를 마련해 단계별로 훈련시키고 ... ...
망원경제작의 1인자 이만성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성인들은 고작해야 열명 내외였다. 망원경 할아버지 나은선씨를 비롯 김성수
윤
실
윤
태석 변상식씨 등 현재 아마추어천문가로 명성을 날리고 있는 분들이 다수 참가했다. 이만성씨도 제대를 앞둔 군인의 신분으로 이 행사에 참가했던 것. 성인들이라는 공통점만으로 이들은 모임을 만들었고 후에 이 ... ...
개량형 틀니 개발해 국제발명전 휩쓴 치과의사
윤
한석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있지 못 하면 결국 사라져 버리고 만다는 사실을 날이 갈수록 더 절실히 느낀다는 게
윤
한석씨의 얘기다."남은 시간들은 못다한 일에 바쳐야죠. 더디 가기는 해도 가기는 반드시 갑니다. ... ...
남해안 철새도래지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여마리를 발견한 것은 큰 수확.거제도 연안의 우점종은 아비류로 5백여 개체가 발견됐다.
윤
교수의 설명에 따르면 이 숫자는 해가 갈수록 줄어든다는 것. 아비는 가장 하등조류로 잘 날지 못하기 때문에 배로 좇아가면 물속으로 숨어버린다. 영어명이 다이버(diver). 그러나 한번 날면 높이 오래 난다고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