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영어"(으)로 총 1,669건 검색되었습니다.
- [섭섭박사의 메이커스쿨] 무엇이든 만들어요! 밴드 블록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3호
- 면, 공간의 성질에 대해 연구하는 수학의 한 분야를 ‘기하학’이라고 해요. 기하학은 영어로 ‘지오매트리(geometry)’라고 하는데, 이는 ‘땅을 측량하다’라는 뜻의 그리스어에서 유래했답니다. 기하학이 땅의 크기를 재는 행위에서 비롯되었기 때문이죠. 고대 그리스를 포함한 고대 문명은 물이 ... ...
- 빛으로 뇌를 조종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않아도 영어를 술술 말할 수 있으면 얼마나 좋을까요? 해외여행을 떠날 때 그 나라의 언어를 뇌에 심을 수 있다면요? 이런 SF영화 속에서나 일어날 법한 일들이 아주 먼 미래의 일이 아닐 수 있답니다! 최근 빛으로 뇌를 조종하는 연구가 발표됐거든요. 아기새, 배운 적 없는 노래를 불렀다?!아기새의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신경세포 사이를 메우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풀을 뜻하는 ‘아교’란 이름이 붙었지요. 영어로도 풀을 뜻하는 글루(Glue)에서 유래해 ‘Glial cell’이라고 불린답니다.아교세포는 뇌 속에서 그 수가 가장 많은 세포로, 약 850억 개가 있을 것으로 추정돼요. 신경세포에 영양 물질을 공급하기도 하고, ... ...
- ㅇㅅㅇㅇ···우리 생물에게 우리말 이름을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9호
- 멸치와 함께 이동하는 특성을 고려해 ‘멸치고래’라고 이름 붙여졌지요. 또 영어 이름을 그대로 읽던 ‘로후’는 ‘큰입술잉어’로, 학명을 그대로 읽던 ‘알로바테스 페모라리스’는 ‘넓적다리독개구리’로 바뀌었답니다.국립해양생물자원관 동물자원과 유정선 과장은 “매해 전문가들이 ... ...
- ㄱㅇㅈ···기술로 언어를 지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9호
- 학교에서는 부모 세대부터 다켈 부족 언어를 쓰는 게 금지돼 왔어요. 학교에서는 강제로 영어를 쓰도록 했죠. 그러면서 다켈 부족 언어를 쓰는 일은 부끄러운 일이 됐고, 다음 세대로 언어가 이어지지 못했어요. Q왜 애플리케이션(앱)을 개발하게 됐나요?‘듀오링고’라는 앱으로 프랑스어를 ... ...
- ㅅㅇ···사라지는 언어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9호
- 언어만 쓰면서 토착 언어가 설 자리는 줄어들고 있지요. 실제로 미국과 캐나다 등에서는 영어를 쓰는 사람이 늘어나며 토착 언어가 빠르게 사라졌답니다. 한편, 전쟁이나 자연재해 때문에 토착 언어가 사라지기도 해요. 2004년 인도양 쓰나미 때문에 섬이 폐허가 되자 원주민들은 일자리를 구하기 ... ...
- [섭섭박사와 만들라보] 아껴야 산다! '칭찬 저금통'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9호
- 사람들은 항아리의 재료인 붉은 진흙을 ‘피그(pygg)’라 불렀는데, 돼지를 뜻하는 영어 단어인 ‘피그(pig)’와 발음이 비슷하죠? 그 때문인지 18세기가 되자 정말로 돼지 모양 저금통이 팔리기 시작했죠. 저금통이 꼭 돼지 모양일 필요는 없어요. 오늘은 적당한 크기의 마분지 상자를 이용해 ... ...
- [통합과학교과서] 부자가 된 흥부의 의뢰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6호
- 유해 물질을 밖으로 배출시키는 ‘베이크 아웃’을 꼭 해줘야 해요. ‘굽다’라는 뜻의 영어 단어인 ‘베이크(bake)’가 붙은 이유는 베이크 아웃의 가장 첫 단계가 집의 온도를 35~40℃ 정도로 높이는 것이기 때문이에요. 새집증후군을 일으키는 유해 물질들은 대부분 ‘휘발성’을 지녔어요. ... ...
- [과학용어] 로봇·코딩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5호
- ‘코덱스’에서 유래한 거죠.‘코딩’은 ‘코드(Code)’에 ‘~를 하는 것’을 뜻하는 영어 단어 ‘ing’를 붙여 만든 단어예요. 어떤 명령을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형태의 언어인 코드로 입력하는 것을 뜻하지요. 예를 들어, 컴퓨터 프로그램을 만들려면 인간의 명령을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코드로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4호
- 재료’라는 의미를 담은 이름이죠. 또한 효모를 뜻하는 영어 ‘이스트(yeast)’는 고대 영어 ‘gyst’에서 유래된 단어예요. gyst는 ‘끓다’라는 뜻인데, 효모를 이용해 술을 만들 때 생기는 거품이 마치 끓는 것처럼 보여서 이런 이름이 붙여진 거랍니다. 이 거품의 정체는 효모가 당을 분해하면서 ... ...
이전2122232425262728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