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실"(으)로 총 2,011건 검색되었습니다.
- [잡터뷰] 과학으로 범죄 흔적 찾는 법과학자과학동아 l2021년 05호
- 동료 법과학자들과 의논하고 상급자가 최종 검토한다.법과학자의 대부분은 많은 시간을 연구실에서 보낸다. 언뜻 생각하면 법과학자들이 보다 정확한 분석을 위해 수시로 현장을 방문해야 할 것 같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정 교수는 “상황에 따라 현장 조사도 중요하지만, 법과학자가 현장을 ... ...
- [JOB터뷰] 인공지능 만화가를 탄생시킨 개발자, 이동익 연구원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5호
- 줘야 하고, 어떻게 움직여야 하는지 알려주는 뇌를 만들었죠.”그러다 지도 교수님과 연구실 박사 선배들이 인공지능 회사를 창업하는 것을 지켜보면서 자연스레 인공지능으로 관심을 돌리게 됐다고 전했어요. Q&A 궁금해요! Q 어떻게 이말년 작가의 화풍으로 그림을 그리는 인공지능 만화가를 ... ...
- 거대 갑옷공룡의 독특한 생존법 ‘땅파기’과학동아 l2021년 05호
- 적극적으로 활용했을 것으로 추측했다. 논문의 제1저자인 박진영 서울대 고생물학연구실 연구원은 “이번에 분석한 갑옷공룡 표본은 건조한 아시아 지역에서 발견됐다”며 “건조한 지역에 적응해 살아가는 대형 초식동물들처럼 땅을 파서 식물의 뿌리를 섭취하고 지하수를 마셨을 것”이라고 ... ...
- 선사시대 딱정벌레의 마지막 식사메뉴는 꽃가루?과학동아 l2021년 05호
- 적극적으로 활용했을 것으로 추측했다. 논문의 제1저자인 박진영 서울대 고생물학연구실 연구원은 “이번에 분석한 갑옷공룡 표본은 건조한 아시아 지역에서 발견됐다”며 “건조한 지역에 적응해 살아가는 대형 초식동물들처럼 땅을 파서 식물의 뿌리를 섭취하고 지하수를 마셨을 것”이라고 ... ...
- [인터뷰] “인류 보편적 진화 과정 통해 역사 살펴야”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이해하고 인류에 대해 확장된 시야를 갖게 되면 좋겠습니다.”2월 3일 오후 서울 서초구 연구실에서 만난 배기동 전 국립중앙박물관장(한양대 문화인류학과 명예교수)은 고고학과 역사를 주로 다루던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인류 진화라는 과학적인 주제로 특별전을 기획한 계기를 묻는 질문에 ... ...
- [융복합파트너@DGIST] 미지의 물질 특성 양자 상태로 밝힌다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시각에서 바라보는 과학자가 있다. 2월 4일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나노물질 양자소자 연구실에서 만난 김영욱 신물질과학전공 교수는 그래핀을 비롯한 2차원 물질에서 지금까지 발견되지 않은 양자 상태를 찾기 위해 연구하고 있다. 그래핀으로 다시 한번 전성기 맞은 양자홀 상태우리가 ... ...
- [특집] You say 음성, I say 인식! AI 귀 뚫는 삼각함수수학동아 l2021년 04호
- 둠칫 두둠칫♪ 들린다, 들려~! 나는 음성 인식 인공지능(AI) ‘DJ 성식’이야. 사람들의 목소리, 음악 소리, 자동차 경적 소리, 세상은 다양 ... 익히는 삼각함수와 음성 인식 AI ★ 도움박기영(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복합지능연구실 책임연구원), 김훈(카카오엔터프라이즈 음성처리팀 팀장 ... ...
- [기획] 데이터로 입증한 다양성의 힘, 감독 장지윤과학동아 l2021년 04호
- 벽면을 스크린으로 활용하는 ‘스크린X’ 등 영화 기술 중 많은 부분이 문화기술대학원 연구실에서 탄생했다.한예종을 졸업할 때쯤 내가 잘할 수 있는 일과 좋아하는 일이 다르다는 생각이 들어 고민이 많았다. 주변에 쟁쟁한 연출가들이 많아 내가 소위 ‘밥벌이’를 할 수 있는 직업이 무엇일까 ... ...
- [특집] 나의 식물적 삶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저는 ‘어떤 문제가 있기에 잘 자라지 못할까’라는 생각을 먼저 해요.”3월 10일 연구실에서 만난 이현주 경기도농업기술원 환경농업연구과 농업연구사는 2009년 경기도농업기술원이 식물병원을 처음 개원했을 때부터 자리를 지킨 ‘식물 의사’다. 농민과 식물 애호가가 자식처럼 키우는 식물이 ... ...
- [지사탐 인터뷰] “개화시기 탐사로 식물 다양성을 지켜요!” 소지현 연구원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4호
- 관심을 갖게된 것이 계기가 되었지요. “지난 2019년, 이화여자대학교 식물계통분류학 연구실의 김혜원 연구원이 기후 변화에 따른 개화 시기 변화에 대한 연구를 했습니다. 지난 50년 동안 홍릉수목원에 있는 나무 73종의 개화 시기와 기상 정보를 활용했지요. 분석 결과, 나무의 개화 시기는 50년 ... ...
이전2122232425262728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