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나무
목본
관목
입목
교목
d라이브러리
"
수목
"(으)로 총 295건 검색되었습니다.
장수말벌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새끼 기르기는 물론 먹이 물 등도 운반한다. 일벌과 거의 같은 작업을 하는 셈. 집은 썩은
수목
하단의 큰 구멍이 난 곳이라든가 땅속에 만든다. 우리나라 인도 중국 일본 등에 분포하고 있다. 사진에는 뽀뽀하듯이 먹이를 교환하는 장면이 생생하게 포착돼 있다 ... ...
살아있는 지질학 교과서 그랜드 캐년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건조지역이지만 남북에 전개되는 광대한 고원에는 소나무 삼나무 전나무 포플러 등의
수목
이 무성하게 자란다. 특히 북쪽의 카이밥고원은 남쪽의 코코니노고원보다 고도가 4백여m나 높기 때문에 기온이 낮고 눈이 많이 내려 침엽수림이 크게 발달해 있다.동물상도 풍부해 새는 1백80여종이나 된다. ... ...
남극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현재의 지구 최남단 위치로 이동하게 되었다. 그 대륙에 한랭한 기후가 닥쳐옴에 따라
수목
과 동물들이 모두 멸종되고, 그 일부가 결국 화석으로 현재까지 남아 있다. 이것을 뒷받침해주는 이론이 판(板)구조론(plate tectonics)인데 이 판구조론의 요체는 지구 외부의 단단한 지각을 이루는 여러 개의 ... ...
5.극심한 생물계의 수난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1만㎡ 안에서 약 3백종의
수목
이 발견됐다. 우리 한반도 전체에서 지금까지 약 1천 종의
수목
을 찾아냈다는 사실과 비교해 보면 열대우림지역을 왜 신종의 보고(寶庫)라고 하는지 짐작이 갈 것이다.열대우림지역 뿐만 아니라 열대해역의 생물상도 매우 다양하다. 특히 필리핀 자바섬 뉴기니섬을 잇는 ... ...
4.7종의 기체가 대기를 울린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기온증가를 가속시킨다.이때 이산화탄소의 증가에 따른 기온변화에 적응하지 못한
수목
들은 급속한 감소현상을 보인다. 결국 그 지역의 사막화가 초래 된다. 일반적으로 아시아제국의 농토는 벼를 재배하는 논이 대부분이다. 수분함유량과 산소소모가 많은 논은 육지 안에서 메탄가스 ... ...
오키펀오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습지에도 악어가 많이 자생하고 있다.습지에서는 모터보트가 주요 교통수단이다.
수목
을 걷어내고 만든 물길을 따라 보트를 운전하다 보면, 스크루에서 드르륵하는 소리가 자주 들린다. 이것은 스크루가 악어의 등을 긁을 때 나는 마찰음이다. 오키펀오키 습지에서는 수영이 금지돼 있다. 필자가 ... ...
「울릉도까치방사」 생태계 교란우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이에대한 연구보고서를 작성 중인 구태회교수는 "울릉도에는 까치가 둥지를 틀 수 있는
수목
(활엽수)은 존재하나, 대형조류와의 관계가 미지수이며, 습도가 많고 눈이 많이 오는 기후에 어떻게 적응하느냐가 관건"이라고 말하면서 "만약 번식에 성공한다면 울릉도 생태계 전반에 심각한 영향을 ... ...
강원도 민통선 북방지역 식물탐사를 마치고 '한국특산식물의 정리와 보호육성 시급해…'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비로용담 끈끈이주걱 등을 직접 확인한 것이 저에게는 큰 소득이었습니다. 돌아가면
수목
원등에 학생들과 함께 찾아가서 각 식물별 키 캐릭터(key character)에 대한 체계적인 지식을 쌓아보고 싶군요.이팽-용높은 수위(水位)등 자연환경의 변화나 인간의 간섭에 쉽게 영향을 받을만한 곳이 아닙니까. ... ...
대기오염 정화에 큰 몫하는 자작나무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정화능을 보였으나 생산량이 적어 우수한 수종으로 평가되지 않았다. 따라서 어떤
수목
이 대기오염정화에 효율적인가를 판단하는 데는 체내 황 축적량과 생산량이 가장 중요한 기준이라 할 수 있다.여러가지 측정기준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보면 활엽교목류에서는 자작나무 가죽나무 수원포플러 ... ...
수컷은 훨훨, 암컷은 자루 속에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왕도롱이의 수컷은 암컷보다 일찍 성충으로 돼, 우화(羽化)한 곳에서 여기저기 흩어져
수목
의 줄기라든가 굵은 가지 같은데서 죽은듯이 쉬고 있는데, 저녁 7시경이 되면 쉬고 있던 왕도롱이나방은 몸을 좌우로 흔들면서 암컷의 근처를 배회한다. 이처럼 수컷이 암컷을 찾을 수 있는 이유는 암컷이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