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톱
네일
머리털
수염
발굽
새끼손톱
새끼
d라이브러리
"
손톱
"(으)로 총 370건 검색되었습니다.
금속과 코일의 숨바꼭질 한판승부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하면 금액이 지불되는 원리는 뭘까?교통카드 앞뒷면의 플라스틱을 벗겨내면 새끼손가락
손톱
보다도 작은 반도체 칩과 사각형 모양으로 감긴 코일이 남는다. 칩을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전기를 사용해야 하지만, 교통카드 내부에는 건전지가 없다. 만약 교통카드에 건전지가 있다면 휴대전화처럼 ... ...
10. 2억년 후 한반도는 초대륙의 중심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살아있는 생명체처럼 끊임없이 움직인다. 그 속도는 연간 수십mm 정도로 우리의
손톱
이 자라는 속도와 비슷하다. 인생은 길게 잡아 1백년 정도로 짧아 이를 느끼기가 어렵지만 말이다. 따라서 2억년이 지난 후 지구의 모습은 사뭇 다를 것이다.그렇다면 그때쯤이면 한반도는 어떻게 달라져있을까? ... ...
빛을 조작하는 자연의 나노기술 광결정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자랑한다. 따라서 광통신처럼 먼 곳에 정보를 전달할 때는 제격이지만 반도체칩처럼
손톱
만한 크기에 실타래처럼 얽혀 있는 회로망에서 돌아다니기를 기대할 수는 없다. 빛보다 느리지만 말을 잘 듣는 전자가 여전히 반도체의 주역인 이유다.그러나 최근 들어 전자가 한계를 드러내기 시작했다. ... ...
사카무라 겐 교수 인터뷰 : "2004년 유비쿼터스가 세상 밖으로 나온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인식칩은 빠른 기술적 발전을 이뤄냈다. 현재 물체 인식기술은 각종 정보를 담은
손톱
의 수백분의 일 크기의 극소형 컴퓨터칩을 물체 안에 심어 이를 인식, 가공하는 단계까지 와있다.또한 공개 아키텍처에 기반한 기술적인 협력의 토대가 잡혔다. ‘티엔진’(T-engine)이라는 이 공개 아키텍처는 서로 ... ...
유인화성탐사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갈륨비소반도체는 초고속컴퓨터 위성통신 광통신 이동통신 군사기술 등에 이용되고 있다
손톱
만한 크기에 신문 1백18페이지에 해당하는 1백2만4천자를 기억시킬 수 있는 최첨단반도체 후지쓰 히타치 NEC 등 일본 반도체 메이커들이 89년부터 시제품만 내놓고 있을 뿐 아직 완제품은 나와 있지 않다 ... ...
모자 미라에 바쳐진 흰 국화꽃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윗입술자리에 드러난 앞니 두개가 서글프다. 가지런히 모아져있는 손끝에 남아있는
손톱
이 오히려 정갈한 느낌을 준다. 말없이 누워있는 살아있는 주검.공기마저 정지한 듯한 박물관을 뒤로하고 문을 나서자 내리쬐는 차가운 햇살이 눈부시다. 순간 ‘삶이란 덧없는 것이라서 더 소중한 것은 ... ...
매운 고추, 효과도 화끈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치료하는 목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연구도 진행중이다. 조금은 심해 보이지만,
손톱
을 물어뜯거나 빠는 아이들의 습관을 고치거나 젖을 떼기 위해 캅사이신을 이용하기도 한다.한국여성이 날씬한 이유최근에는 고추가 다이어트 식품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한동안 고추다이어트 열풍이 불어닥친 ... ...
2003년 가장 '쿨'한 발명품들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GeneChip)에는 인간게놈프로젝트의 최신성과를 반영해 거의 모든 유전자 부위가 담겨있다.
손톱
크기 만한 1.28cm2의 칩 안에 약 1백30만개의 염기들로 구성된 5만여개의 유전자 DNA가 들어있다.3백-5백달러 _ www.affymetrix.com36시간 지속 발기부전 치료제영국 릴리사의 시알리스는 복용후 16분 뒤부터 효과를 ... ...
물리학이 경락의 실체를 밝힌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黃帝內經)을 보면 경락은 전신에, 즉 근육과 내장, 뼈, 심지어
손톱
및 머리카락에까지 뻗쳐있지 않은 곳이 없으며 이를 통해 ‘기’가 흐르기 때문에 인체가 살아서 움직이는 것이라고 기술돼 있다.실제로 경혈∙경락을 통한 한의학적 치료는 최근 서구의학이 해결하지 못하는 만성병과 ... ...
10억분의 1세계에서 반도체용 소자 개발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지나친 비약일까.본격적인 마이크로시대는 반도체 관련 기술의 발달과 함께 열렸다.
손톱
만한 칩위에 최대한 많은 회로를 올려놓기 위한 집적기술은 지난 수십년 간 눈부시게 발전했다. 오늘날에는 머리카락 두께의 수백분의 1 정도는 눈감고 만들어내는 수준이다.이처럼 미세기술이 계속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