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생김새"(으)로 총 67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조류의 진화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2호
- 정보를 전달하는 데 도움을 준답니다.단백질을 만드는 구간에 돌연변이가 일어날 경우, 생김새나 기관 같은 ‘표현 형질’이 바뀌어요. 이렇게 바뀐 형질이 후손에게 전달되는 과정이 반복되면 진화가 일어나고 새로운 종이 탄생해요. 반면 단백질을 만들지 않는 구간은 돌연변이가 발생해도 ... ...
- 세상에 이런 이름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0호
- 안젤리나 졸리와 이름이 같은 거미(Aptostichus angelinajolieae)도 있답니다.물체의 이름을 따와 생김새와 특징을 단번에 나타낸 학명도 있어요. 단세포 동물인 Kamera lens (카메라 렌즈)가 대표적인 예지요. 마치 렌즈의 단면처럼 볼록한 형태를 하고 있거든요. 우리나라 과학자들도 빠질 수 없지!한글 이름도 ... ...
- 지렁이 소화 능력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7호
- 3분의 1정도 되는 지점에 있답니다. 환대에서 가까운 쪽 끝이 입, 먼 쪽이 항문이에요.생김새는 단순하지만 이래 봬도 몸속은 혈관, 장, 심장, 뇌 등으로 보통 동물들처럼 복잡하게 이루어져 있으니 얕보지 마세요!너에게 엄청난 소화 능력이 있다는 얘기를 들었어.저는 땅에 섞여 있는 식물 조각이나 ... ...
- 나보다 남이 먼저! 동물의 이타행동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7호
- 것이지요.여러분과 여러분의 동생, 누나, 오빠는 부모님께 공통으로 받은 유전자 때문에 생김새나 행동이 비슷해요. 만약 친동생과 잘 모르는 사람이 동시에 물에 빠졌다고 가정해 보세요. 여러분은 분명 잘 모르는 사람보다 친동생을 먼저 도와 줄 거예요.이에 대해 현대 진화 이론 정리에 큰 ... ...
- 장님 물고기는 먹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5호
- 겨울엔 수온이 낮아지기 때문에 더 따뜻한 곳을 찾아 이동한답니다.그런데 넌 생김새도 특이하구나. 눈은 어쩌다 그렇게 된 거야?우리가 동굴에 들어와 살면서 진화를 거쳐 눈이 거의 없어졌어요. 그건 같은 멕시칸 테트라 종이지만 동굴 밖에 살고 있는 친구들과 우리를 비교해 보면 쉽게 알 수 ... ...
- [가상인터뷰] 사막의 더위를 이기는 사하라 은색개미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4호
- 개미들이랑 다른 점이 있다며? 친구들이 평소에 볼 수 있는 개미들과 생김새부터 달라요. 우리는 뜨거운 모래 위를 걸어다녀야 하기 때문에 다른 개미들보다 롱다리랍니다. 다리가 길어서 뜨거운 땅에서 4mm 정도 떨어져 있을 수 있죠. 그리고 빨리 먹이를 구해 집으로 돌아가야 하기 ... ...
- 고릴라 VS 오랑우탄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4호
- 몸에 비해 팔이 짧아서 나무를 잘 타지 못하고 주로 땅 위에서 산답니다.고릴라는 얼굴 생김새가 무섭고, 흥분하면 뒷발로 서서 이빨을 드러내고 가슴을 두드리는 습성이 있어요. 그래서 영화나 소설 속에서 흉폭한 육식동물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아요. 하지만 사실은 버섯이나 연한 잎을 즐겨먹는 ... ...
- 특종! 투구게의 비밀을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4호
- 봐봐! 이 낯선 생명체를 보기 위해 사람들이 잔뜩 몰려 왔잖아!투구게가 위험하다이상한 생김새에 파란색의 피. 지금까지 살펴본 투구게는 마치 무서운 외계인 같아요. 하지만 투구게는 지구에 살고 있는 생물 중 하나로, 오늘날 위험에 처해 있어요. 사람들이 1800년대부터 엄청난 양의 투구게를 ... ...
- 침팬지도 익힌 음식을 좋아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3호
- 등을 먹으며 육식을 하기도 한답니다.넌 사람들이랑 참 닮은 것 같은데….맞아요. 사람과 생김새가 닮았을 뿐만 아니라 진화학적으로도 다른 동물들에 비해 사람과 가장 가까워요. 인간과 침팬지는 400만 년~600만 년 전까지 공통 조상을 갖고 있다가 갈라졌거든요. 유전자 서열도 사람과 94%나 ... ...
- [지식] 길쭉한 고양이 눈, 네모난 소 눈, 동그란 사자 눈 눈동자의 법칙수학동아 l2015년 11호
- 가까워져도 가로선은 또렷하게 보였지만, 세로선은 희미하게 보였다.연구팀은 눈동자 생김새에 따라 동공의 크기, 동공에서 망막까지의 거리, 망막에 맺히는 상의 지름, 망막에 상이 가장 또렷하게 맺힐 때의 초점거리 등을 관찰해 수학모형으로 만들었다. 그리고 눈동자마다 시각이 어떻게 다른지 ... ...
이전2122232425262728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