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분류"(으)로 총 2,541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나는 건강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Mass Index)를 계산해 보는 거예요. 성인은 BMI가 18.5 이하이면 저체중, 25이상이면 비만으로 분류돼요. 어린이와 청소년은 본인의 BMI를 연령별, 성별 체질량지수 곡선과 비교해 봐야 해요. 곡선 아래에 있으면 체격이 마른 편이고, 위에 있으면 큰 편이에요. 체질량지수 15 백분위 수 미만을 저체중, 8 ... ...
- 과학 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껍질 각(殼)’. 이름에서 알 수 있듯 갑각류는 딱딱한 외골격 껍데기를 가진 동물들의 분류군이에요.세계적으로 약 6만 7000종에 이르는 갑각류가 발견되었는데, 대부분은 수생동물이에요. 게, 바닷가재, 새우, 크릴새우 등이 대표적인 갑각류죠. 물론 쥐며느리처럼 육지에서 사는 갑각류도 있고, ... ...
- [수학 잘하는 동물 친구들] 그물무늬 패션의 비밀은?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3호
- 무늬는 아니야! 1758년 스웨덴의 분류학자 카를 린네는 처음으로 기린을 하나의 종으로 분류했어요. 이후 사람들은 기린이 한 가지 종이라고 생각해 왔죠. 그런데 최근 기린이 4개의 종이라는 사실이 밝혀졌어요. 기린의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몸의 무늬와 사는 지역 등에 따라 북부기린, ... ...
- [과학뉴스] 이끼도롱뇽, 빙하기 추위 피하다 한국에 눌러앉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확보했어요. 그리고 미토콘드리아 유전자●를 분석해 유전적으로 비슷한 11개 집단으로 분류했어요. 그 결과, 가장 남쪽인 전라남도 광양에서 강원도 평창, 정선 등 북쪽으로 올라갈수록 최근 진화한 개체였습니다.이는 약 258만 년 전 플라이스토세 빙하기에 동물들이 비교적 따뜻한 남쪽 지역으로 ... ...
- [지구사랑 탐사 현장 취재] 전기차, 매미, 개구리를 살리는 방법은?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2호
- 허지만 연구원의 질문으로 시작됐어요. 이어 매미의 한살이부터 한국에 사는 매미의 분류까지 매미에 대해 자세히 알려주었죠. 그리고 조사 대상인 풀매미를 소개했어요.“한국 전역에 국지적으로 분포하는 풀매미는 우리나라에서 크기가 가장 작아요. 500원 동전의 크기와 비슷해요. 색도 ... ...
- 따뜻하면서 멋스럽게, MZ 세대 겨울 패션 공식과학동아 l2021년 12호
- 바람의 세기가 사람의 온도 감각에 영향을 주는 정도로, 이를 토대로 추위의 위험도를 분류한다. 사람의 피부 온도를 약 33℃로 가정하고 1시간 동안 피부 단위 면적당 발생하는 열 손실을 kcal 단위로 계산한다. 이는 1시간 동안 우리 몸의 체온을 유지하고 저체온증을 예방하는 데 필요한 보온력의 ... ...
- [이달의 우주 날씨] 12월 14일 쌍둥이자리 유성우가 내려요!수학동아 l2021년 12호
- 나가며, 가장 가까워질 때는 수성 궤도보다 안쪽으로 들어온답니다. 현재는 소행성으로 분류돼 있지만 태양계 초기에는 혜성과 같은 천체였을 것으로 예측되는 신기한 천체예요. 쌍둥이자리 유성우는 1년을 마무리하는 12월에 볼 수 있어요. 겨울철의 대표 별자리인 쌍둥이자리에 복사점이 있어서 ... ...
- 마법 같은 효과에 숨은 부작용, 식욕억제제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총 5단계로 분류하는데, 식욕억제제 의약품은 비교적 중독성이 적은(등급이 높은) 단계로 분류된다. 예를들어 펜터민은 4단계, 펜디메트라진은 3단계다. 생리적인 중독성은 상대적으로 낮다는 뜻이다. 하지만 ‘살을 빼야 한다’는 심리적 욕구가 더해져 식욕억제제를 끊지 못해 정신과를 내원하는 ... ...
- 내 이름은 파랑? 초록?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이 실험으로 아기들이 선천 적으로 빨강, 노랑, 초록, 파랑, 보라 다섯 가지 색상을 분류할수 있다고 결론 내렸다. doi: 10.1073/pnas.1612881114하지만 색맹이나 색약인 사람들은 예외다. 색 구분 능력이 정상 색각을 지닌 사람보다 떨어진다. 미국 오하이오대 연구 팀은 적록색맹과 그루 언어권과의 관계를 ... ...
- [기획] 하수도3 싱크홀을 막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애니말은 300m 길이의 하수도 안을 다니며 130개 지점의 상태를 우수, 양호, 보통 단계로 분류해 지도로 표현했고, 하수도 위에 있는 연구원들에게 공유했습니다. 마크로 후터 교수는 ”사람이 직접 들어가 검사한 내용과 비교해 본 결과 92% 일치했다“며, ”애니말은 자체적으로 하수도 결함을 평가할 ... ...
이전2122232425262728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