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글
글월
문자
글씨
작문
휘장
문장 기술법
d라이브러리
"
문장
"(으)로 총 784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식] 공대생 너무만화
수학동아
l
2016년 08호
프로그래밍 언어다. C와 C++같은 프로그래밍 언어로 컴퓨터에 명령어를 입력할 때, 모든
문장
끝에는 세미콜론(;)을 찍어야 한다. 세미콜론을 치지 않으면 오류가 나서 기껏 다 적어 놓은 내용이 쓸모없어지기 때문이다.이런 환경에서도 지우는 꿋꿋하게 ‘과학이랑 전혀 상관없는 과’인 ... ...
[Knowledge] 칠면조는 왜 짝을 바라만 보고 있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중얼거렸다. 그때였다. 메이나드 스미스의 시선이 ‘포괄 적합도’라는 단어를 담은 한
문장
으로 향했다. 논문의 핵심 아이디어가 섬광처럼 뇌리에 들어왔다. “그래, 왜 나는 이걸 생각하지 못했담!” 그는 길게 탄식했다.이 원고는 윌리엄 해밀턴이 투고한 ‘사회적 행동의 유전적 진화’였다. 196 ... ...
Part 4. 인공지능 키워드 3. 센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7호
하지만 전 세계 사용자가 쌓은 다양한 데이터를 꾸준히 학습한 결과 지금은 긴
문장
도 정확히 받아 적고, 사람마다 각자 다른 발음을 구분해낼 수 있게 됐답니다. 무인자동차에겐 눈이 가장 중요해~ 센서의 발달은 무인기기용 인공지능의 발전도 이끌었어요. 특히 무인자동차는 도로와 주변 ... ...
[Tech & Fun] 익스팬스, 깨어난 괴물의 습격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갈색 오물이 사방에 있었다. 그건 혐기성이니 어딘가에서 접촉했음이 틀림없다.’이
문장
에서 주목해야 할 단어가 두 개있습니다. 바로 ‘갈색 오물’과 ‘혐기성’입니다. 먼저 혐기성은 대사 과정에서 산소가 필요하지 않거나 산소를 싫어하는 성질입니다. 혐기성 세균이라는 말은 많이 ... ...
[인터뷰] 젊은 수학자를 만나다 서재홍 교수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하나 정도는 기억하기 쉽잖아요. 단어의 첫 글자만 따서 만든 비밀번호는 기억 못 해도,
문장
은 기억할 수 있고요. 실제로 패스프레이즈 방법은 충분히 안전하다는 게 검증됐어요. 보통 비밀번호를 깨기 위해 사전에 있는 단어를 이용하는데 자기만 아는 구문의 단어 앞글자로 만든 단어는 세상에 ... ...
PART 1 크다고 다 빅데이터일까?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각 개수를 열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이 ‘데이터 행렬’로 나타낼 수 있다. 그 외에도
문장
의 다른 특징으로 행렬을 구성할 수도 있다. 특징이 많으면 오른쪽으로 긴 행렬이 되고, 데이터가 많으면 아래쪽으로 긴 행렬이 된다. 행렬이 한쪽으로 너무 긴 형태가 되면 풀기가 어렵다. 이럴 때는 ... ...
[소프트웨어] 똑똑한 자동차 ‘알파카’
수학동아
l
2016년 05호
수식으로 신경망을 설계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인공지능 통역기가 ‘Hello’라는
문장
을 ‘안녕하세요’이라고 통역했다면 ‘안녕’이나 ‘여보세요’보다 의미가 정확히 맞을 확률이 높아서지요 ... ...
[Knowledge] 생각해선 안 될 것을 생각하다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캐리어 교수가 전혀 눈치채지 못한 것 같다고 농담했다. “‘유전자’와 ‘행동’을 한
문장
속에서 나란히 쓸 만큼 대담하고 어리석은 움”을 몰라보다니 말이다.외로운 연구자해밀턴은 런던정경대와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에 동시에 소속됐지만 두 곳 모두 거의 코빼기도 비치지 않았다. 그럴 ... ...
[지식]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증명하다!
수학동아
l
2016년 05호
z2)를 약간 다르게 바꾼 식을 자신이 읽고 있던 책의 귀퉁이에 써 놓았다. 아주 간단한 이
문장
이 바로 FLT다. 아마추어 수학자가 증명 없이 남긴 이 글귀를 증명하기 위해 수많은 수학자가 도전했지만번번이 실패했다. FLT는 19세기에도 난해한 문제로 유명했는데, 마지막까지 아무도 증명하지 못해 ... ...
[지식] 고양이의, 고양이에 의한, 고양이를 위한 나라
수학동아
l
2016년 04호
레터스’라는 유명 학술지에 기고했습니다. 하지만 논문을 읽은 담당자가 논문 곳곳에
문장
의 주어로 쓴 ‘We(우리)’를 ‘I(나)’로 고쳐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헤더링턴 혼자서 쓴 논문이기 때문이지요. 하지만 당시에는 일일이 손으로 글자를 고쳐야 했기 때문에 귀찮아진 그는 자신이 기르던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